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 일반
· ISBN : 9788950912765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07-11-19
책 소개
목차
저자 서문 ― 경영이 인문을 만나야 하는 이유
제1장 ― 역사, 흥륭과 쇠망의 이중주_흥륭사
제2장 ― 창의성, 새로운 문화를 만드는 힘
제3장 ― 디지털, 그 감각의 제국을 지배하라
제4장 ― 스토리, 미래 사회를 사로잡는 힘
제5장 ― 욕망, 결코 포화되지 않는 시장
제6장 ― 유혹, 소리 없는 점령군
제7장 ― 매너, 마음의 문을 여는 열쇠
제8장 ― 전쟁, 먼저 사람을 얻어라
제9장 ― 모험, 패배 앞에 무릎 꿇지 말라
제10장 ― 역사, 흥륭과 쇠망의 이중주_쇠망사
참고 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우리는 왜 인문학에 새삼 주목하는가? 다름 아닌 '통찰의 힘'을 키우기 위해서다. 여기서 말하는 통찰은 '통찰(洞察)'이면서 동시에 '통찰(通察)'이다. '통찰(洞察)'은 예리한 관찰력으로 사물을 꿰뚫어 보는 것을 말한다. 인사이트(insight)다. 아울러 통찰(通察)은 곧 통람(通覽)이다.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훑어 두루 살펴보는 것이다. 오버뷰(overview)다. 결국 통찰의 힘은 바로 통찰과 통람의 융합이며 인사이트와 오버뷰의 시너지다.-본문 4p 중에서
힘 있는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날것의 사고'를 할 필요가 있다. 레비스트로스는 자신의 저작 <야생의 사고>에서 '미개함'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 "사람들은 흔히 원주민들을 일컬어 미개인이라고 비하하여 말하지만 미개하다는 것은 선진과 후진이 가늠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지 부정적이고 나쁜 것은 아니다."
미개함은 원시적인 것, 아직 재배되지 않고 익지 않은 날것의 사고, 야생의 패턴 그 자체다. 드림 소사이어티에서 이야기의 힘을 얻으려면 바로 그 야생의 사고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아무리 현대의 생활상을 하고 있다고 하나, 우리 안에는 분명히 수억 년을 이어온 야생의 유전자가 남아 있다.-본문 132~133p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