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88950932961
· 쪽수 : 631쪽
· 출판일 : 2011-12-15
책 소개
목차
서문
1부 경영혁신
1장 스마트 시대의 신경영
01 경영파괴 키워드
02 미친 경영자와 창조경영
03 정보화시대의 환경 변화와 기업의 대응
04 정보화시대의 사고와 전략
05 정보화시대의 경영 과제: 혁신, 속도
06 정보화시대는 관계, 협력, 기업가정신이 중요하다
07 정보화시대의 기업경영
08 ABB 사례
09 CNN 사례
10 국제 환경 변화와 기업경엉
11 협력의 중요성과 속도경영
12 지금은 브레인&브랜드 시대
2장 기업 구조조정과 경영혁신
01 혁신과 성장의 2가지 전략
02 자율적 기업문화의 정립
03 혁신적 기업문화의 조성
04 시장 환경과 조직, 그리고 새로운 경영
05 IMF 위기 이후 한국 기업의 구조조정과 경영혁신
06 한국 기업의 경영혁신으로부터 배울 것
07 구조혁신을 통한 기업 경쟁력 강화
08 마음경영을 통한 원가주도전략의 성공적 실행: 한국전기초자의 사례
2부 경영전략
1장 비전
01 비전이란 무엇인가
02 비전의 요소
03 비전의 개발, 평가와 홍보
2장 전략
01 블루오션
02 전략은 다양하다
03 전략이란 무엇인가
04 틈새전략과 살포전략의 비교
05 정보화시대의 소프트전략
06 고객지향적 조직의 요소
07 고객충성심에는 고객지각이 중요하다
08 고객감동과 잠재상품
09 사업전략 수립의 2가지 방법
3장 목표관리
01 MBO는 특별한 것이 아니다
02 MBO의 전개 과정
03 MBO의 역사와 진화
04 우수경영의 모델과 MBO
05 평가는 왜, 그리고 어떻게 해야 하는가?
06 목표관리와 평가의 기본
07 목표관리의 문화적 고려 사항
08 목표관리제도와 인사고과의 연계
09 목표관리 도입 과정
3부 휴먼경영
1장 인간적 경영
01 성품과 가치 중심의 인간적 경영
02 영속하는 기업은 열정과 애정이 있다
03 일과 관계의 문화를 심화시키자
04 조직을 위한 사람인가, 사람을 위한 조직인가
05 정보화시대의 공장관리
06 자율성,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
07 종업원들의 참여와 몰입
08 민주주의와 시장경제
09 교도소와 인간적 경영
10 셈코 사례
11 미라이공업 사례
12 이나식품공업 사례
13 일본전산 사례
14 주켄공업 사례
2장 우수기업의 리더십
01 전략의 고리: 경쟁력의 기본
02 전략의 고리 실천
03 전략의 고리 기업 사례
04 우수기업의 경영모델
05 생명과 창조의 경영: 기업가정신과 잠재력 개발
06 제3수준의 경영: V이론
07 신자유주의는 인간적이다
08 사업적 가치관과 집중력
09 7요소 리더십 모델과 이순신 장군
10 유일한의 기업가정신과 경영
11 리더십의 본질
12 자기 확신을 가진 지도자가 필요하다
주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정보화시대는 변화의 시대이다. 변화를 위해서는 긴박감이 요구된다. 긴박감은 변화의 필요성을 느끼고 무언가 해야겠다는 의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우리를 행동 지향적으로 만든다. 긴박감은 위기의식과 도전의식으로부터 나온다. 위기의식은 이래서는 안 되겠다는 것이고 도전의식은 우리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보통 변화를 모르고 침체되어 있는 조직은 경험의 한계 속에 갇혀 문제를 인식하지 못하고 있거나 성공 경험에 도취된 나머지 자만에 빠져 곧 나아지겠지, 설마 망하기야 하겠나 하는 안일한 생각을 하고 있다. 나는 이렇게 안일한 생각에 빠진 상태를 위기의식의 반대 의미로 ‘설마의식’이라고 부르고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우리는 안 돼, 어쩔 수 없어, 이 정도면 됐다’라며 도전의식과 반대되는 ‘패배의식’에 젖어 있다. 설마의식과 패배의식으로부터 나올 수 있는 것은 해이감이다. 해이감에 젖으면 바깥세상은 바뀌고 있는데 그에 상응하는 변화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현상유지에 만족하게 된다. 문제를 찾아 돌파구를 마련해야겠다는 생각을 하지 못하고 다람쥐 쳇바퀴 돌리듯이 매일 같은 일을 반복하는 것이다. 이것은 살아 있되 죽어 있는 것이다.
블라식푸드Vlasic Foods에서 일하다 고어에 채용된 소비자 마케팅 전문가인 스티브 영Steve Young은“만약 당신이 이곳에서 누구에게 어떤 일을 하라고 지시한다면, 그들은 두 번 다시 당신과 함께 일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구글에서는 세상에서 가장 똑똑한 사람들이 공동의 비전을 가지고 높은 수준으로 동기부여되어 있을 때 명령과 통제는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구글의 문화는 ‘당신은 할 수 없다’라는 관료주의 문화가 아니라‘나는 할 수 있다’라는 자유주의 문화이다.
지시 통제하는 것이 아니라 조언하고 격려할 때 관리의 폭Span of Control은 커질 수 있다. 구글의 관리자는 바로 이러한 관리의 폭이 넓다. 관리자는 보통 50명 이상의 부하로부터 직접 보고를 받고 어떤 리더들은 100명 이상이 되기도 한다.
진화적 성장의 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맥나이트의 접근방식은 3M의 전 역사를 통해 흔히 다음과 같은 구절로 표현되고 있다.
“처음에는 멍청하게 들리더라도 아이디어를 가진 사람의 이야기를 항상 경청하라.”
“격려하라. 이것저것 간섭하지 마라. 아이디어가 있으면 그것을 발전시키도록 배려하라.”
“유능한 사람을 고용하라. 그리고 그들을 혼자 내버려두라.”
“만일 사람들을 통제하면 양처럼 유순한 사람들만 남게 될 것이다. 그들이 필요로 하는 자유를 제공하라.”
“당장 성과가 나지 않더라도 실험을 장려하라.”
“한번 해보게 하라. 그것도 당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