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91196198602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17-10-23
책 소개
목차
저자의 말⋅3 | 용어 설명⋅7 | 이 책의 구성⋅8
프롤로그 우리는 행복한가?
일과 사람에 대한 인식을 바꿔야 한다⋅18 | 행복은 자아실현이다⋅20 | 조직은 공동체다⋅20 | 중요한 것은 우리의 인격이다⋅21 | [부록1] 행복이란 무엇인가?⋅23 | [부록2] 인격이란 무엇인가?⋅29
1부 기존 경영의 문제점
1장 권위주의: 한국경영의 문제점
한국경영의 문제는 권위주의에 있다⋅36 | 권위주의는 대화를 막고 충성을 요구한다⋅37 | 권위주의는 자기개발을 억제한다⋅39 | 권위주의는 단기적 비윤리적 경영을 낳는다⋅40 | 권위주의는 스트레스를 유발한다⋅42 | 한국 직장인은 직무 안정성에 민감하다⋅44 | 한국 직장인은 우울증을 느끼고 있다⋅45 | 권위주의의 결과: 낮은 직장 만족도⋅47 | 한국의 직장인은 일에 몰입하지 못하고 있다⋅49 | 권위주의는 불신사회의 뿌리⋅51
2장 X이론과 Y이론
한국 기업경영, 잘 변하지 않고 있다⋅54 | X이론⋅58 | Y이론⋅63 | [사례1] 어느 잡지사의 경영⋅60 | [사례2] 어느 제조기업의 경영⋅61
3장 Y이론의 평가와 문제점
Y이론의 핵심은 통합과 자율⋅65 | 통합이 구체적이지 않아 인간적 경영이 되지 않고 있다⋅66 | Y이론의 성공 사례와 실패 사례⋅68 | Y이론의 문제점⋅70
2부 새로운 경영의 기본 개념
4장 일과 사람에 대한 인식
1. 일이란 무엇인가?
일은 존재이유, 창조적 표현이다⋅76 | 일은 자아실현의 원천이다⋅78 | 일은 영적노동이 되어야 한다⋅80 | 영적노동은 창의력을 제공한다⋅81 | 영적노동은 치유와 화합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83
2. 사람이란 무엇인가?
사람은 육체적 존재, 본능적 존재, 지적 존재, 사회적 존재, 정서적 존재, 실존적 존재이다⋅84 | X이론: 사람은 육체적 존재, 본능적 존재, 그리고 자산이다⋅85 | Y이론: 사람은 지적 존재, 사회적 존재, 그리고 자원이다⋅85 | 정서적 욕구가 간과되고 있다⋅86 | V이론: 사람은 정서적 존재, 영성적 존재, 그리고 실존적 존재이다⋅88
5장 자아실현
잠재력은 일을 통해서 개발된다⋅90 | 일은 사명이다⋅91 | 일은 도전이다⋅91 | 일은 기능이 통합된 프로젝트이다⋅92 | 기능적 조직에서 팀조직으로⋅94 | 팀조직은 사람을 위한 조직이다⋅95 | 잠재력은 자율성이고 자율성은 애정이다⋅97 | 잠재력은 열정과 애정을 요구한다⋅99 | [사례3] 교세라의 이나모리 가즈오와 자아실현⋅101 | <도표1> 자아실현의 과정⋅104
6장 공동체 조직
공동체 의식은 엄청난 에너지를 제공한다⋅105 | 지금 조직은 분열되고 파편화되고 있다⋅106 | 중간관리자의 역할이 강화되어야 한다⋅108 | 공동체 조직은 개인의 개성을 존중하고 영속적 관계를 지향한다⋅110 | 공동체 조직은 개방적이고 도전적이다⋅111
3부 V이론의 이론 정립과 기본 방향
7장 V이론과 제3의 경영
V이론⋅116 | 제3의 경영⋅118 | <도표2> 제3의 경영의 개념적 구조⋅121
8장 제3의 경영과 의식 개혁
열정과 애정을 가진 사람은 무엇이 다른가?⋅122 | 자연성 인간은 가치가 확립되어 있다⋅123 | 가치는 무엇이고 어떻게 개발되는가?⋅124 | 문화적 가치는 삶에 대해 근본적 질문을 하는 것이다⋅125 | 문화적 가치의 기초: 고통과 허무⋅126 | 도덕적 가치는 도리와 원칙을 지키고 불의에 저항하는 것이다⋅128 | 사업적 가치는 일생을 거는 사명감이다⋅128 | 인간적 가치는 다른 사람이 잘 되도록 기회를 주는 것이다⋅130 | 영성적 가치는 자기 초월이고 평정심이다⋅131 | 성찰, 허정, 정의, 열정, 애정의 성품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132 | 가치의 개발과 자연적 자극: 고통, 허무, 그리고 자연의 감동⋅134 | 가치의 개발과 인위적 자극: 사건과 사람⋅135 | 조직 내의 인위적 자극: 리더십, 비전, 문화 그리고 자율성⋅137 | <도표3> 가치의 연결구조⋅133
4부 의식 개혁의 4가지 요소
9장 리더십
1. 리더십이란 무엇인가?
리더십은 직원들의 의식을 바꾸는 것이다⋅140 | 의식 개혁의 기초: 인간으로서 어떻게 사는 것이 올바른 삶인가?⋅144 | 리더십은 직원들이 열정과 애정의 행동을 하게 하는 것이다⋅146
2. 신뢰와 존경의 요소: 7요소 리더십 모델
신뢰와 존경의 제1요소: 인격⋅150 | 신뢰와 존경의 제2요소: 지혜⋅151 | 신뢰와 존경의 제3요소: 능력-비전제시자, 전략실행자, 동기부여자⋅156 | <도표4> 7요소 리더십 모델의 개념적 구조⋅148
3. 신뢰와 존경의 리더십 구현
비전경영⋅162 | 열린경영⋅163 | 솔선수범⋅163 | 현장경영⋅164 | [부록3] 7요소 리더십 모델의 특징⋅167
10장 비전
CEO는 비전과 문화를 통해서 직원의 생각과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171 | 비전은 우리를 감동시키고 순수하게 하는 이념이다⋅172 | 비전은 도전적 목적을 달성한 미래 모습이다⋅174 | 비전은 공유되어야 한다⋅175 | 비전은 실천되어야 한다⋅178
11장 문화
문화는 인격 형성과 잠재력 개발에 영향을 준다⋅182 | 개방적 문화는 비판하고 직언하는 문화이다⋅184 | 개방적 문화는 기능과 계층을 떠나서 도움을 주는 것이다⋅186 | 개방적 문화: 우연한 만남이 위대한 아이디어를 낳는다⋅187 | 도전적 문화는 새로운 시도와 실험을 장려한다⋅188 | 도전적 문화는 실패를 장려하고 실패로부터 배운다⋅189 | 도전적 문화는 일등주의 문화⋅191 | 도전적 문화는 기강의 문화⋅193 | 일등주의 문화와 기강의 문화가 결합되었을 때 도약할 수 있다⋅195 | 혁신적인 상향식 진화적 성장을 위해서는 문화가 바뀌어야 한다⋅195 | 환경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것은 고착된 기업문화 때문이다⋅197 | 문화의 기초는 최고경영자의 사고와 철학⋅199
12장 자율성
자율성은 생명력과 창의력의 원천, 인간적 시대적 요구사항⋅204 | 주어진 일에 최선을 다하고 좋아하는 일을 계속해서 찾아라⋅206 | 자율성은 좋아하는 일, 도전적인 일을 하는 것이다⋅207 | 자율성은 직원을 사업가로 만드는 것이다⋅211 | 일을 가치 있고 도전적이고 재미있게⋅213 | 자율성은 기능과 계층의 관료제도를 타파하는 것이다⋅214 | 직책과 승진보다 역량과 역할⋅217 | 홀라크라시: 미래의 조직⋅218 | 자포스의 홀라크라시 도입⋅221 | 성과평가는 어떻게 해야 하나?⋅225 | 연간성과평가를 폐지한 기업⋅227 | 연간성과평가를 하지 않는다면 보상을 어떻게 정할 것인가?⋅229 | 연간성과평가를 폐지하지만 평가는 한다⋅230 | 보상은 기여와 관계 없다⋅236 | <도표5> 차원의 평가 기준⋅235 | [사례4] 제니퍼소프트⋅236 | [사례5] 메이오클리닉⋅240 | [부록4] 연간성과평가는 왜 폐지되어야 하는가?⋅248 | [부록5] 연간성과평가가 지속되는 이유⋅256
5부 X이론, Y이론, V이론의 비교
13장 일과 사람에 대한 인식의 비교
X이론: 나는 살고 싶다⋅260 | Y이론: 나는 사장이 되고 싶다⋅261 | V이론: 나는 나를 찾고 싶다⋅262
14장 경영 관행의 비교
X이론: 제1의 경영, 지시에 의한 경영⋅265 | Y이론: 제2의 경영, 목표에 의한 경영⋅267 | V이론: 제3의 경영, 비전에 의한 경영⋅269 | <도표6> X이론, Y이론, V이론의 비교⋅273
에필로그 제3의 경영이 우리에게 주는 의미
1. 경영은 가장 숭고한 직업이다
경영은 우리 삶의 질을 결정한다⋅276 | 경영은 숭고한 가치와 비전으로 출발해야 한다⋅277 | 제3의 경영은 우리가 모두 인격자가 되는 것이다⋅279
2. 제3의 경영과 국가경영의 방향
국가경영의 기본 방향은 국민들의 자아실현이다⋅281 | 리더십⋅282 | 비전⋅283 | 문화⋅287 | 자율성⋅291
3. 제3의 경영과 자본주의의 미래
인간소외⋅296 | 빈부격차⋅297
미주⋅300 | 찾아보기⋅321
저자소개
책속에서
행복은 자기를 찾았을 때, 자기의 삶을 살고 있을 때 즉, 자아실현의 삶을 살고 있을 때 비로소 가능해 진다는 생각이다. 행복은 자기 안으로부터 나와야 하는 것이다. 헤르만 헤세Hermann Hesse는 그의 시 ‘행복하다는 것’Being Happy에서 우리가 사는 유일한 이유가 행복해지는 것이고 행복은 우리의 의무라고 했다.
<프롤로그 - 우리는 행복한가?>,
이렇게 먹고 살기 위해 마지못해 회사에 다니며 스트레스에 쌓여 있는 직장인으로는 일류기업이 될 수 없고 그러한 기업으로는 한국도 선진국이 될 수 없다. 직장인들을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인재로 만들어 경쟁력 있는 기업의 기초를 다지고 선진국이 되기 위해서는 권위주의를 타파하고 경영을 새롭게 바꾸어야 한다.
1장 <권위주의: 한국경영의 문제점>
우리나라의 많은 기업이 젊은이들의 열정을 키워주지 못하고 있다. 이 직원도 열정과 희망을 가지고 회사에 들어왔는데 자신도 모르게 차츰 월급쟁이가 되어가고 있다는 실망감에 회사를 그만둔다고 했다. 지금도 열정을 가지고 회사에 들어왔지만 실망하고 있는 젊은이가 적지 않을 것이다. 우리의 경영은 젊음을 낭비하는 경영이다.
제2장 <X이론과 Y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