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마흔, 논어를 읽어야 할 시간 2

마흔, 논어를 읽어야 할 시간 2

(논어 속 네 글자의 힘)

신정근 (지은이)
21세기북스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마흔, 논어를 읽어야 할 시간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마흔, 논어를 읽어야 할 시간 2 (논어 속 네 글자의 힘)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중년의 자기계발
· ISBN : 9788950962852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15-12-17

책 소개

2011년 말 출간 즉시 대한민국에 ‘마흔’ 열풍을 몰고 온 '마흔, 논어를 읽어야 할 시간'의 후속편이 출간되었다. 이 책은 전작과의 차별성을 두기 위해 논어 속 네 글자에 주목했다.

목차

지은이의 말
일러두기
프롤로그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시대를 초월한 인생교과서

Subject
1강 [주체] 삶의 주인으로 우뚝 서는 법
01 종오소호(從吾所好) 내가 좋아하는 것을 하리라
02 성근습원(性近習遠) 본성보다 습관에서 차이가 난다
03 불가이위(不可而爲) 안 되는 줄 알면서 시도하다
04 온고지신(溫故知新) 옛것을 익혀서 새것을 알다
05 인능홍도(人能弘道) 사람이 길을 넓힐 수 있다

Learning
2강 [배움] 나에게 없는 것을 있게 하는 사건
06 호지불여락지(好之不如樂之) 좋아함을 넘어 즐김으로
07 발분망식(發憤忘食) 화를 푸느라 밥을 잊다
08 불분불계(不憤不啓) 괴로워하지 않으면 길을 터주지 않는다
09 학무상사(學無常師) 비전의 스승은 없다
10 애이불상(哀而不傷) 슬퍼하지만 다치지 않는다

Challenge
3강 [도전] 미래의 또 다른 나를 만나는 시간
11 위산일궤(爲山一簣) 산을 만드는 일도 한 삼태기의 흙부터
12 택선종지(擇善從之) 좋은 것을 골라 따라 해라
13 임사이구(臨事而懼) 어떤 일도 만만하게 보지 마라
14 욕파불능(欲罷不能) 그만둘 수가 없다
15 군자불기(君子不器) 군자는 그릇이 아니다

Language
4강 [말] 삶을 변화시키는 말의 힘
16 눌언민행(訥言敏行) 말은 느리게 행동은 재빠르게
17 시연후언(時然後言) 때맞춰 말하라
18 어인구급(禦人口給) 달변으로 사람의 입을 막다
19 다문궐의(多聞闕疑) 많이 듣고 의심되면 비워둔다
20 불치하문(不恥下問) 묻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다

Relationship
5강 [관계] 나와 너의 경계를 허무는 용기
21 관즉득중(寬則得衆) 너그러우면 사람을 얻는다
22 구이경지(久而敬之) 오래 사귀었지만 처음처럼 존중하다
23 박시제중(博施濟衆) 자기 것을 널리 나누어 사람을 돕는다
24 곡일불가(哭日不歌) 조문한 날 노래 부르지 않는다
25 아대가자(我待賈者) 나를 알아주는 사람을 기다린다

Wisdom
6강 [지혜] 마흔, 우리가 잃어버린 가치를 찾아서
26 극기복례(克己復禮) 나를 닮은 예를 만나다
27 사부주피(射不主皮) 획일적으로 평가하지 마라
28 일단사일표음(一簞食一瓢飮) 대그릇의 밥과 표주박의 물
29 견리사의(見利思義) 이익이 생기면 옳음을 따져본다
30 본립도생(本立道生) 기본이 서면 나아갈 길이 생긴다

주석
참고문헌
부록
감사의 글

저자소개

신정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교수.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마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동양철학 전공) 학위를 취득했다. 인문예술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한국동양철학회 수석부회장을 맡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학장, 유학대학원 원장, 유교문화연구소 소장을 역임했고 인문예술연구소 이사장을 맡고 있다. 동양 철학과 미학을 내재적 맥락에서 발전 과정을 추적하고 현대 철학의 맥락에서 재구성하는 데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 주요 저서로 『사람다움의 발견』, 『동중서: 중화주의의 개막』, 『철학사의 전환』, 『중용이란 무엇인가?』, 『동아시아 예술과 미학의 여정』, 『인권유학』 외 다수가 있고, 주요 역서로 『중국미학사』(공역), 『중국현대미학사』(공역), 『공자씨의 유쾌한 논어』, 『백호통의』, 『신원인』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2500년 전 공자는 끊임없이 실패를 맛보며 곤경에 처했다. 이렇게 거듭 시대와의 불화에 휩싸이면 문학 작품에 나오듯 악마와 손을 잡고 역전을 꿈꾸거나 현실의 요구에 굴복할 수 있다. 하지만 공자는 떠밀린 삶을 살며 때때로 극단적인 선택으로 내몰렸음에도, 그때마다 현실에 굴복하지 않고 오뚝이처럼 다시 일어났다. 공자는 단 한 번뿐인 인생을 자신이 좋아하고 의미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고자 했던 것이다.
- 1강 [주체] 삶의 주인으로 사는 법


공자는 젊어서부터 강한 호기심을 가지고 있었고 알고 싶은 것이 있으면 사람을 찾아가 물었다. 또 그는 “세 사람이 길을 가다 보면 그 속에 나의 스승이 있다”라고 말하듯이 언제 어떤 상황에서도 배우려고 하는 자세를 가지고 있었다. 이렇게 본다면 세상 사람이 모두 공자의 스승인 셈이다. 역설적으로 말하면 제자들이 공자의 스승이라고 할 수 있다.
- 2강 [배움] 나에게 없는 것을 있게 하는 사건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