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철학과 현실, 현실과 철학 1 : 인간의 자각과 개명

철학과 현실, 현실과 철학 1 : 인간의 자각과 개명

(동서양 고중세 철학과 미래 세계에 대한 성찰)

백종현, 안성두, 엄연석, 박원재, 신정근, 김혜경, 이종권, 이종환, 이영환, 양호영, 강상진, 김주연, 구본권, 이철승, 심지원, 박충식, 김기봉 (지은이), 백종현 (엮은이)
21세기북스
4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7,800원 -10% 0원
2,100원
35,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3,600원 -10% 1680원 28,560원 >

책 이미지

철학과 현실, 현실과 철학 1 : 인간의 자각과 개명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철학과 현실, 현실과 철학 1 : 인간의 자각과 개명 (동서양 고중세 철학과 미래 세계에 대한 성찰)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91171176939
· 쪽수 : 508쪽
· 출판일 : 2024-08-01

책 소개

동서양 고대 종교 사상부터, 유교, 노장, 성리학, 불교 철학, 인도 철학, 서양 중세 철학, 서양 근대 철학, 분석 철학, 포스트모더니즘 철학까지 세계 철학의 모든 주제를 망라했다. 제1권은 동서양 철학의 탄생과 미래 철학이 마주할 화두를 다룬다.

목차

책을 펴내면서
서설 : 철학과 현실, 현실과 철학 - 백종현

1부 문명의 개화


공성과 대비의 이중주: 대승불교 보살행의 이념 - 안성두
『주역』과 유네스코 세계유산의 평화론적 독해 - 엄연석
‘도’를 살다: 노자 실천론의 두 측면 - 박원재
맹자와 순자가 공자를 계승하는 길 찾기 - 신정근
탐구의 드라마: 소크라테스와 케팔로스의 대화 - 김혜경
진리의 가치 – 이종권

2부 인간의 고뇌와 모색

플라톤의 두 세계와 좋은 삶 – 이종환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 연구: Dictum de omni et nullo와 아리스토텔레스의 ‘특칭 문장’ - 이영환
키케로: 로마의 희랍 철학 수용 - 양호영
비참한 현실과 포기할 수 없는 희망: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Civitas Dei) - 강상진
13세기 유럽과 스콜라 철학의 절정, 토마스 아퀴나스 - 김주연

3부 다가선 미래 성찰

소크라테스의 ‘무지의 지’와 메타인지 - 구본권
로보 사피엔스와 유가철학의 관계론 - 이철승
인간 향상(Human Enhancement)과 도덕적 지위 - 심지원
구성적 정보 철학: 그림자처럼 이미 도착한 미래 - 박충식
‘폴리스적 동물’ 인간의 역사와 인류세 “역사란 무엇인가” - 김기봉

참고문헌

저자소개

박원재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중국철학회 회장과 한국도가철학회 회장, 한국국학진흥원 수석연구위원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율곡연구원 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유학은 어떻게 현실과 만났는가: 선진유학과 한대경학』, 『노자에서 데리다까지: 도가철학과 서양철학의 만남』(공저), 『500년 공동체를 움직인 유교의 힘』(공저), 『장자중독』(공저) 등의 저서와 중국 선진철학 및 도가철학 방면의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종권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 진학하여 문학석사와 철학박사를 취득했다. 중앙대학교에서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한국논리학회, 분석철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중앙대에서 재직하는 동안 논리학, 과학철학, 정치철학 등을 강의하였으며 주로 논리학과 수리철학 분야의 논문을 발표했다. 『수리철학』을 번역하고 『이 책의 제목은 무엇인가』를 공역한 바 있다.
펼치기
김기봉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기대학교 사학과 교수, 《철학과현실》 책임편집위원, 한국연구재단 인문학단장, 역사학회 부회장, 수선사학회 회장 역임, 독일 빌레펠트대학교 사학박사. 저서로는 『역사학 너머의 역사: 빅히스토리, 문명의 길을 묻다』, 『내일을 위한 역사학 강의』, 『히스토리아 쿠오바디스』, 『‘역사란 무엇인가’를 넘어서』, 『팩션시대: 영화와 역사를 중매하다』, 『역사를 통한 동아시아 공동체 만들기』 등이 있다.
펼치기
신정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교수.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마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동양철학 전공) 학위를 취득했다. 인문예술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한국동양철학회 수석부회장을 맡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학장, 유학대학원 원장, 유교문화연구소 소장을 역임했고 인문예술연구소 이사장을 맡고 있다. 동양 철학과 미학을 내재적 맥락에서 발전 과정을 추적하고 현대 철학의 맥락에서 재구성하는 데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 주요 저서로 『사람다움의 발견』, 『동중서: 중화주의의 개막』, 『철학사의 전환』, 『중용이란 무엇인가?』, 『동아시아 예술과 미학의 여정』, 『인권유학』 외 다수가 있고, 주요 역서로 『중국미학사』(공역), 『중국현대미학사』(공역), 『공자씨의 유쾌한 논어』, 『백호통의』, 『신원인』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양호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서양고전학과 강사. 서울대학교 철학과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했고, 영국 엑세터(Exeter)대학교 서양고전학과에서 헬레니즘 철학과 키케로의 철학적 저술들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정암학당 키케로연구번역팀 연구원으로 헬레니즘 철학 및 키케로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Cicero’s Philosophical Position in his Dialogues」(2017) 등 키케로 및 헬레니즘 철학 관련 논문들이 있으며, 역서로는 『키케로, 아카데미아학파』(2021)가 있다.
펼치기
백종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한국포스트휴먼연구소 소장.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석사 과정 후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인하대·서울대 철학과 교수, 서울대 철학사상연구소 소장,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원장, 한국칸트학회 회장, 한국철학회 『철학』 편집인·철학용어정비위원장·회장 겸 이사장, 한국포스트휴먼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주요 논문으로는 “Universality and Relativity of Culture”(Humanitas Asiatica, 1, Seoul 2000), “Kant’s Theory of Transcendental Truth as Ontology”(Kant-Studien, 96, Berlin & New York 2005), “Reality and Knowledge”(Philosophy and Culture, 3, Seoul 2008) 등이 있고, 주요 저서로는 Phanomenologische Untersuchung zum Gegenstandsbegriff in Kants “Kritik der reinen Vernunft”(Frankfurt/M. & New York 1985), 『독일철학과 20세기 한국의 철학』(1998/증보판2000), 『존재와 진리―칸트 〈순수이성비판〉의 근본문제』(2000/2003/전정판2008), 『서양근대철학』(2001/증보판2003), 『현대한국사회의 철학적 문제: 윤리 개념의 형성』(2003), 『현대한국사회의 철학적 문제: 사회 운영 원리』(2004), 『철학의 개념과 주요 문제』(2007), 『시대와의 대화: 칸트와 헤겔의 철학』 (2010/개정판2017), 『칸트 이성철학 9서5제』(2012), 『동아시아의 칸트 철학』(편저, 2014), 『한국 칸트 철학 소사전』(2015), 『이성의 역사』(2017), 『인간이란 무엇인가–칸트 3대 비판서 특강』(2018), 『한국 칸트사전』 (2019), 『인간은 무엇이어야 하는가-포스트휴먼 시대, 인간을 다시 묻다』(2021), 『인간의 조건』(2024)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임마누엘 칸트–생애와 철학 체계』(F. 카울바흐, 2019), 『실천이성비판』(칸트, 2002/ 개정2판2019), 『윤리형이상학 정초』(칸트, 2005/개정2판2018), 『순수이성 비판 1·2』(칸트, 2006), 『판단력비판』(칸트, 2009),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칸트, 2011/개정판2015), 『윤리형이상학』(칸트, 2012), 『형이상학 서설』(칸트, 2012), 『영원한 평화』(칸트, 2013), 『실용적 관점에서의 인간학』(칸트, 2014), 『교육학』(칸트, 2018), 『유작 I.1·I.2』(칸트, 2020), 『학부들의 다툼』(칸트, 2021), 『유작 II』(칸트,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백종현의 다른 책 >
안성두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 독어교육학과 졸업, 한국학대학원에서 한국불교철학 전공으로 석사. 이후 독일 함부르크대학 인도학연구소에서 Schmithausen 교수의 지도로 인도 초기유식사상에 관한 연구로 석사와 박사학위. 귀국 후 금강대학교 교수와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활동. 인도불교 유식학 관련 다수 논문과 『보성론』, 『보살지』, 『성문지』, 『유가사지론』 등 산스크리트어 불전의 번역이 있다. 퇴직 후 『중변분별론』과 『대승장엄경론』에 관심을 갖고 연구 중이다.
펼치기
구본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한양대에서 언론학으로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겨레신문 기자로 오래 활동했으며 한겨레 사람과디지털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국가교육위원회 전문위원으로 있으며 한양대 등에서 겸임교수를 지냈다. 디지털 사회에서 지식과 정보의 구조 변화, 그에 대한 인간 인식 변화와 사회적 현상에 대해 연구하고 글 쓰고 있다. 지은 책으로 『메타인지의 힘』, 『로봇시대, 인간의 일』, 『공부의 미래』, 『뉴스를 보는 눈』, 『유튜브에 빠진 너에게』,『포스트휴먼이 몰려온다』(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철승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조선대 아시아언어문화학부 철학 전공 교수 및 우리철학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성균관대 동양철학과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고, 중국 북경대(北京大) 철학과 연구학자, 중국 중앙민족대(中央民族大) 및 형양사범대[衡陽師範學院] 객좌교수, 중국 곡부사범대(曲阜師範大) 겸직교수, 왕부지사상연구회 회장, 한중철학회 회장, 한국유교학회 회장, 범한철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논문으로 「21세기 유교,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경계를 넘을 수 있는가?」, 「21세기 한국의 민주주의와 유가철학」, 「현대 사회의 私有 문제와 ‘大同’철학의 현실적 의의」 외 다수가 있고, 저서로 『유가사상과 중국식 사회주의 철학』, 『마오쩌둥 : 현대 중국의 초석과 철학사상』, 『우리철학, 어떻게 할 것인가』 외 다수가 있으며, 역서로 『완역 성리대전』(공역, 총 10권)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강상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이후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에서 철학박사를 취득했다. 서울대학교 정치경제철학 연계전공과 서양고전학 협동과정의 전공주임, 중세르네상스연구소장, 철학사상연구소장, 한국중세철학회 회장, 한국가톨릭철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주된 연구 분야는 서양 고·중세 철학으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키케로, 보에티우스, 아우구스티누스, 안셀무스, 아벨라르두스, 토마스 아퀴나스에 관해 논문을 쓰고 있다. 최근에는 덕 윤리(virtue ethics)를 철학사적으로 조망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공역했으며, 『서양고대철학 2』, 『사랑, 중세에서 종교개혁기까지』, 『중세의 죽음』, 『마음과 철학』 등을 함께 집필했다.
펼치기
강상진의 다른 책 >
박충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유원대학교(아산캠퍼스) 인공지능소프트웨어학과 석좌교수. 한국포스트휴먼연구소 인공지능로봇센터장. 한양대학교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전자공학과(인공지능 전공)에서 석사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구성주의적 관점의 인공지능을 연구하고 있으며, 인문사회학과 인공지능의 학제적 연구에 관심을 두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인공지능의 존재론』, 『인공지능의 윤리학』, 『내가 만난 루만』(이상 공저)이 있고, 「인공지능은 인문학이다」, 「정보기계로서의 생명」, 「From Data to Agents」 등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박충식의 인공지능으로 보는 세상’의 제목으로 50여 건의 칼럼을 연재하였다.
펼치기
심지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철학과 조교수. 동국대학교 윤리문화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정치철학 전공으로 철학석사를 취득하고 독일 뮌스터대학 철학과에서 인간 향상을 주제로 박사를 취득했다. 현재 한국철학회 사무총장과 동서사상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으며,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전임연구원, 건국대학교 몸문화연구소 공동연구원,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HK+인공지능인문학사업단 연구교수를 지냈다. 기술과 관련된 생명의료 윤리, 인공지능 윤리, 신경 윤리 등 실천윤리 및 학제 간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요 저서로 Automobile ethics(Oxford university press, 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 『도대체 왜 도덕적이어야 하는가(Warumueberhaupt moralish sein?)』(쿠어츠 바이어츠), 『인간보다 나은 인간: 인간증강의 약속과 도전(Better than Human: The Promise and Perils of Enhancing Ourselves)』(알렌 뷰캐넌) 등이 있다.
펼치기
엄연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교수 저서로 『조선전기경학사상총론』, 『조선경학의 문화다원론적 이념과 실천』, 『조선전기역철학사』가 있고, 논문으로는 「황윤석의 이수신편에 나타난 이수역학의 문화다원론적 독해」, 「여헌 역학 사상의 경위설과 분합론의 도덕실천적 의미」, 「유학 경전 속의 ‘열락’에 대한 심미적 이해와 정치적 교화」 등이 있다.
펼치기
이종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 철학과 교수다. 지혜를 사랑하는 철학적인 삶을 해명하는 것을 목표로 서양고대철학, 특히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서의 좋은 삶이란 무엇인지를 연구하고 있다. 특히 구체적 현실의 근간이 되는 형이상학적 전제를 밝히는 데 관심을 가지고 교육 및 학술 활동을 하고 있다. <플라톤 『필레보스』에서 사용된 철학적 탐구 방법>(2018) 등의 논문과 《플라톤 국가 강의》(2019) 등의 저서를 저술했다.
펼치기
김주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작가, 사색의숲 출판사 편집장. 서울대학교 심리학과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서울대에서 철학과 강사로 근무했으며, 울산도서관, 철학아카데미(유튜브) 등에서 강의했다. 지금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철학을 쉽게 소개하는 일과 일반인을 위한 인문 교양 서적을 만드는 데 주력하고 있다. 저서로는 『철학사 수업 1; 고대 그리스 철학』, 『철학사 수업 2; 고중세 그리스도교 철학』이 있다.
펼치기
김혜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서양 고대 철학을 공부했고 플라톤 철학을 주제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후 과정은 브라운대학교에서 마쳤으며 브라운대학교와 하버드대학교에서 visiting scholar, visiting faculty로 지내기도 했다.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과 KCI 등재 학술지 《인간·환경·미래》의 창립 일원으로 참여했고, 현재 연구원장과 발행인의 일을 하고 있다. 인제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와 인문문화학부의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세 명의 동료와 수년간 진행해온 플라톤의 『국가』 번역이 마무리되어 ‘정암고전총서 플라톤전집’으로 출간될 것이다. 고대 철학, 특히 플라톤 대화편을 중심으로 하는 공부에서 호메로스 서사와 그리스 비극으로 연구의 관심을 넓혔다. 삶을 전체적으로 이해하려는 관심, 인간의 자기 이해라는 끝나지 않은 탐구를 근원에 두고 있는 철학, 철학자는 분과 학문들의 중재자, 사회적·문화적 소통의 통로 역할도 감당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펼치기
이영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교수. 서울대 철학과에서 학사, 석사를 마치고 미국 프린스턴 대학에서 철학박사를 취득했다.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 연구원 연구교수를 거쳐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에서 일하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있어서의 필연성과 소위 아리스토텔레스적 본질주의」, 「소크라테스와 윤리적 이기주의」, 「‘에우튀프론 문제’와 권위」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백종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한국포스트휴먼연구소 소장.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석사 과정 후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인하대·서울대 철학과 교수, 서울대 철학사상연구소 소장,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원장, 한국칸트학회 회장, 한국철학회 『철학』 편집인·철학용어정비위원장·회장 겸 이사장, 한국포스트휴먼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주요 논문으로는 “Universality and Relativity of Culture”(Humanitas Asiatica, 1, Seoul 2000), “Kant’s Theory of Transcendental Truth as Ontology”(Kant-Studien, 96, Berlin & New York 2005), “Reality and Knowledge”(Philosophy and Culture, 3, Seoul 2008) 등이 있고, 주요 저서로는 Phanomenologische Untersuchung zum Gegenstandsbegriff in Kants “Kritik der reinen Vernunft”(Frankfurt/M. & New York 1985), 『독일철학과 20세기 한국의 철학』(1998/증보판2000), 『존재와 진리―칸트 〈순수이성비판〉의 근본문제』(2000/2003/전정판2008), 『서양근대철학』(2001/증보판2003), 『현대한국사회의 철학적 문제: 윤리 개념의 형성』(2003), 『현대한국사회의 철학적 문제: 사회 운영 원리』(2004), 『철학의 개념과 주요 문제』(2007), 『시대와의 대화: 칸트와 헤겔의 철학』 (2010/개정판2017), 『칸트 이성철학 9서5제』(2012), 『동아시아의 칸트 철학』(편저, 2014), 『한국 칸트 철학 소사전』(2015), 『이성의 역사』(2017), 『인간이란 무엇인가–칸트 3대 비판서 특강』(2018), 『한국 칸트사전』 (2019), 『인간은 무엇이어야 하는가-포스트휴먼 시대, 인간을 다시 묻다』(2021), 『인간의 조건』(2024)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임마누엘 칸트–생애와 철학 체계』(F. 카울바흐, 2019), 『실천이성비판』(칸트, 2002/ 개정2판2019), 『윤리형이상학 정초』(칸트, 2005/개정2판2018), 『순수이성 비판 1·2』(칸트, 2006), 『판단력비판』(칸트, 2009),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칸트, 2011/개정판2015), 『윤리형이상학』(칸트, 2012), 『형이상학 서설』(칸트, 2012), 『영원한 평화』(칸트, 2013), 『실용적 관점에서의 인간학』(칸트, 2014), 『교육학』(칸트, 2018), 『유작 I.1·I.2』(칸트, 2020), 『학부들의 다툼』(칸트, 2021), 『유작 II』(칸트,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백종현의 다른 책 >

책속에서



‘한국에서의 철학 활동’이나 ‘한국 사람이 철학함’을 ‘한국 철학을 함’으로 이해한다면 또 다른 풀이도 가능하겠으나, ‘한국 철학’이라는 것이 ‘무엇인가 한국적인 요소―그것이 문제 상황에 따른 것이든, 주제에서 비롯한 것이든, 아니면 문제 접근 및 수용 방식에 수반하는 것이든―가 있는 철학’을 의미하는 것이라면, 한국 문화의 특성―특히 한국어―을 떠나서 한국 철학을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물론 ‘한국 철학’도 ‘철학’인 이상 학문적 보편성을 갖는 것임이 틀림없고, 만약 그런 보편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철학 축에 끼지도 못할 터이다. 그러나 문화 일반이 보편성을 가지면서도 특수성을 갖듯이, 철학도 보편성을 가지면서도 특수성을 갖기에 우리는 ‘중국 철학’과 ‘미국 철학’, ‘독일 철학’과 ‘인도 철학’을 구분하는 것이고, 같은 수준에서 ‘한국 철학’을 논할 수 있는 것이다.
【1부 문명의 개화】


노자 철학에서 천하를 수렴하는 무위의 정치를 구현하기 위해 통치자가 갖추어야 하는 조건은 크게 네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고 할 수 있다. 세계의 항상적 질서를 올바르게 통찰해내기 위한 ‘허정’의 인식론적 태도와 그 질서에 부응하기 위해 후천적으로 학습된 문화적 요소들을 제거해나가는 ‘비움’의 과정, 그런 ‘자기 비움’과 상보적인 관계에 있는 ‘절제’의 노력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모든 과정을 거쳐 획득되는 인격적 특성으로서의 ‘유약함’이 바로 그것이다. 이 ‘유약함’은 타자를 받아들임으로써 거꾸로 그 타자를 실효적으로 지배하려는 정치적 의도의 결과라는 점에서 실제로는 강함을 지향하는 역설의 유약함이다.
【1부 문명의 개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71177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