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아시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50963941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16-03-24
책 소개
목차
서문
1부 중국 경제 굴기의 이해
01 G2 시대의 생존 전략과 위기 극복
병자호란에서 배우는 중국과의 관계
속도 혁신의 한계에 부딪힌 대한민국 경제
대한민국이 성공하는 길
02 뉴 노멀 중국 경제, 재앙인가 축복인가: 한국 경제의 진로
중국, 올드 노멀에서 뉴 노멀로의 이행: 차이메리카의 성립과 균열
뉴 노멀 중국 경제의 현재와 미래
뉴 노멀 중국 경제의 한국 경제에 대한 영향
03 중국의 대전환 ? 대기회
시진핑의 ‘China 2.0’
중국 경제는 ‘3S’
벨트가 아니라 백, 웹이 아니라 앱
중국 돈을 일하게 하라
04 생각의 오류를 극복하고 성공의 기회로
G2 시대의 의미
G2 시대에 대한 우려: 반복된 불행한 역사
한반도 최강의 국가 탄생, 그러나…
역사 속에서 원인 찾기: 생각의 오류
박스 사고와 정보 고립
무엇을 배울 것인가?
중국을 딛고 미래로
2부 한국 기업,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05 한국 기업의 중국 진출과 협력 방안
한국 기업의 중국 진출 및 투자
중국 시장 진출 전략
06 중국 기업들의 한국 기업에 대한 이해와 협력 방안
중국의 해외 투자
중국의 한국 투자
투자 확대를 위한 개선 방안
07 중국 경제 변화와 한국 중소기업의 내수 시장 진출 방안
신창타이 시대
신창타이 시대 <13.5 규획(2016년~2020년)> 중국의 경제 정책
신창타이 시대, 한국 중소기업의 기회
한국 중소기업 신 5P로 도전하라!
3부 사례와 전략
08 중국의 약진과 한국 기업의 대응전략
연매출 5,200억 IT 벤처기업의 생존기
환경 변화, 그 잠재적 위기를 극복하는 방법
중국의 변화, 제대로 읽어야 한다
한국 기업, 글로벌 마인드를 가져야 한다
가장 큰 무기는 특허
성공적인 중국 진출, 현지화 전략에 달렸다
09 청년 기업가 정신과 중국 시장
중국 시장의 기회, 누구에게나 열려 있다!
세 번의 창업 도전과 벤처 정신으로 이뤄낸 성공적인 중국 시장 진출
10 한류 콘텐츠 산업을 중심으로 한 비즈니스 모델 혁신 전략
대한민국 경제 진단 ? 중국의 거센 추격
중국 문화 콘텐츠 산업의 성장
우리나라 문화 콘텐츠 산업의 대응 방안
4부 토론
01 G2 시대의 생존 전략과 위기 극복
02 뉴 노멀 중국 경제, 재앙인가 축복인가: 한국 경제의 진로
03 중국의 대전환·대기회
04 생각의 오류를 극복하고 성공의 기회로
05 한국 기업의 중국 진출과 협력 방안
06 중국 기업들의 한국 기업에 대한 이해와 협력 방안
07 중국 경제 변화와 한국 중소기업의 내수 시장 진출 방안
08 중국의 약진과 한국 기업의 대응전략
09 청년 기업가 정신과 중국 시장
10 한류 콘텐츠 산업을 중심으로 한 비즈니스 모델 혁신 전략
주
리뷰
책속에서
최근 일어나는 중국 경제 구조의 대전환은 대한민국에 우려의 상황으로 다가온다. 소위 신창타이(新常態)라는 정책에 의해 중국 경제의 구조적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중국 경제 구조의 전환은 다음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기존 ‘초고속 성장’ 정책에서 ‘중고속 성장’ 정책으로의 변화이다. 둘째, ‘세계의 공장’에서 ‘세계의 소비 시장’으로의 역할 변화이다. 중국은 이를 통해 이제 세계의 주 소비 시장 역할을 하게 되었다. 셋째, ‘자본 수입국’에서 ‘자본 수출국’으로의 변화이다. 중국이 자본 수출국으로 변모하는 모습은 최근 국내 투자 시장에 진출한 중국 벤처캐피털의 사례로도 실감나게 살펴볼 수 있을 정도이다.
최근 한국의 대 중국 수출이 연속 2년 감소하면서 중국 경제 위기라는 말이 난무한다. 하지만 이를 정확히 표현하자면 “중국 발 한국 경제 위기”다. 중국의 구조 변화에 한국이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서 생긴 어려움이다. 따라서 중국에 대해 잘 아는 것이 이 시대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1970년대와 198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우리나라의 최대 수출국은 미국이었다. 어림잡아 70% 이상이 미국으로 수출되었다. 그런데 최근에는 전혀 다른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2014년을 기준으로 볼 때 한국의 대 미국 수출 비중은 12.3%로 줄어들었다. 이에 반하여 대 중국 수출 비중은 미국의 두 배인 25.4%로 늘어났다. 무엇을 의미하는가?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는 최대 고객이 바뀌었음을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