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대한민국, 넥스트 레벨

대한민국, 넥스트 레벨

(정치·사회·문화·경제 최고 전문가 12인의 국가 성장을 위한 제언)

김영섭, 이근, 이장우, 강영철, 이홍, 정은성, 임명묵, 윤종인, 윤명오, 홍길표, 최대석, 로스 킹, 코리아다이나미즘포럼 (지은이), 성공경제연구소 (기획)
21세기북스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700원 -10% 0원
1,150원
19,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8,400원 -10% 920원 15,640원 >

책 이미지

대한민국, 넥스트 레벨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대한민국, 넥스트 레벨 (정치·사회·문화·경제 최고 전문가 12인의 국가 성장을 위한 제언)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책/행정/조직
· ISBN : 9788950906566
· 쪽수 : 364쪽
· 출판일 : 2023-03-10

책 소개

각 분야의 최고 전문가들의 날카로운 시각과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분석한 『대한민국, 넥스트 레벨』에는 선진국 문턱에 선 대한민국의 현주소와 국제적 역할·정치·경제·사회·문화적 측면에서의 발전 방향에 대한 전망과 국가 비전이 담겨 있다.

목차

발간사
머리말

1장 세계로 향하는 선진 대한민국의 비전
‘강대국 대한민국’으로 가는 길
대한민국을 어떤 선진국으로 만들 것인가?

2장 지속 가능한 한국 경제
정주와 평화가 함께 지속 가능한 공화의 세계
규제 개혁으로 시장 자본주의를 완성하자
국가 경제를 망치는 주범: 포퓰리즘과 정치 자본주의

3장 저출산·고령화 문제와 청년의 삶
저출산·고령화 문제 해결 방안
청년 삶의 미래와 국가 공간 재설계

4장 국민 안전과 디지털 행정
데이터 시대, 인간과 공동체에 주목하자
재난극복을 위한 국가 안전 레질리언스 전략의 지향점
‘빠름’과 ‘오롯함’의 부조화,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5장 강대국화와 한반도 평화
어떤 한반도 평화를 만들어갈 것인가?
탈민족어·탈국어로서의 한국어와 소프트 파워

맺는말
저자 소개

저자소개

이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위스콘신대학교(매디슨 소재)에서 정치학 석사 및 ‘미일 반도체 협정과 주권 정체성’에 관한 구성주의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외교안보연구원(현 국립외교원) 교수를 거쳐 2000년부터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며 국제학연구소 소장, 국제대학원 부원장, 국제협력본부 본부장을 역임했다. 전공분야는 국제정치이론, 국제정치경제, 소프트파워, 테크놀로지와 국제질서이며, 정책 관련하여 남북관계, 한미관계, 미중관계, 비전통안보, 기후변화, 핵억지, 공공외교 등에 관한 다수의 논문과 시론을 썼다. 노무현 정부 출범과 함께 한국 최초의 온라인 네트워크형 싱크탱크인 미래전략연구원 발족에 참여했고, 2대 원장을 지냈다. 세계경제포럼(WEF, 다보스 포럼)의 한반도위원회 부위원장과 위원장을 역임했고, 동 포럼의 글로벌어젠다포럼 멤버로도 활동했다. 외교부, 통일부, 국방부 등에서 자문위원을 지냈으며, 경기도 글로벌위원회 위원장, 싱크탱크 미래지 이사장으로 활동하면서 테크놀로지와 미래에 관한 다양한 어젠다를 만들었다. 가장 최근에는 한국의 공공외교를 담당하는 한국국제교류재단(KF) 이사장으로 활동하면서 전 세계에 한국의 K-소프트파워를 알리는 일을 했고, 4차 산업혁명 테크놀로지와 한류 등의 대중문화를 공공외교와 문화외교에 접목하는 시도를 했다. 2012년 〈동아일보〉 선정, ‘10년 뒤 한국을 빛낼 100인’에 선정된 바 있으며, 2022년에는 프랑스 라로셸대학교에서 명예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도발하라』(이와우, 2016)와 공저로 참여한 『대한민국, 넥스트 레벨』(21세기북스, 2023)이 있으며 이외 국제정치 관련 다수의 국·영문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홍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글로텍(주) 회장이자 ㈜알파그린 및 Alien Technology Asia(주) 회장을 맡고 있으며, 한국엔지니어연합회 부회장으로 활동 중이다. 서울대학교 경영학 학사, 하버드 비즈니스스쿨 수학, 중국 장강상학원에서 경영학 석사를 마쳤다. 현대건설과 현대전자에서 재무·기획·생산관리 업무를 수행하며 반도체 산업의 주요 전환기에 핵심 역할을 했고, LG반도체 통합 및 DRAM 사업부 본부장, 하이닉스 구조조정본부장을 역임하며 한국 반도체 산업의 국제 협상과 구조조정을 이끌었다. 이후 온세통신 부사장을 거쳐 중소기업 경영에 뛰어들어, ㈜알파그린과 글로텍(주)을 이끄는 동시에 기술 기반의 창업 생태계에 기여해왔다. 2018년 중소기업중앙회로부터 ‘중소기업을 빛낸 국민영웅’으로 선정되었으며, 『대한민국, 변방에서 중심으로』, 『이기는 지키는 넘어서는 K반도체』 등의 저서를 통해 한국 반도체 산업의 비전과 기업경영 모델을 제시했다. 최근에는 미중 반도체 전쟁과 한국 산업 전략에 대한 칼럼 기고 활동도 활발히 하고 있다.
펼치기
김영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2년 건축문화 설계연구소를 설립하고 2006년까지 운영하였다. 이듬해 성균관대학교 건축학과 석좌교수로 초빙된 후 2007년 9월부터 2015년 정년 시까지 건축학과 교수 및 동 대학 디자인대학원 교수로 재직하는 동안 2011년 스페인 마드리드 E.U.M.대학 교환교수직과 2013년 성균 건축도시 연구원(SKAi) 원장을 역임하였고 도쿄대학과 그라나다대학 등 외국의 여러 유수 대학에서 초청 강연회를 가졌으며 퇴임 후 실무 건축가로 활동을 재개하였다. 1996년 제7회 김수근 건축상, 두 번의 대한민국 환경문화대상, 네 번의 한국건축문화대상, 서울시 건축상과 건축가협회상, 건축사협회상, 가톨릭 미술상 등을 수상하였으며, 그의 건축 작품집은 2003년 오스트레일리아 이미지(Image Publishing) 사의 ‘세계 100명의 마스터 건축가 전집’ 시리즈의 제53번째 작가로 선정되어 출판되었다. 대한민국 국적 건축가로서 해외 출판사 기획에 의해 최초로 영문판 건축 작가 작품집이 출간되는 영예도 동시에 부여받았다. 이듬해 2004년 세계 건축가 1000 인명사전에 마스터 아키텍트로 등재되었고, 2007년 일본의 세계적 건축 전문지 A+U 편집장이 선정하고 Art Design 출판사가 발간한 『세계 건축가 51인의 사상과 작품집(II)』에 수록되어 영어본과 일어본으로 소개되었다.
펼치기
로스 킹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UBC) 아시아학과 한국어문학 교수이다. 미국 미네소타주에 위치한 콘코디아 언어마을(Concordia Language Villages) 전국자문회 위원이고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인터유니버시티센터(The Inter-University Center for Korean Language Studies at SKKU, ‘IUC at SKKU’)의 공동설립자며 해외위원회 공동의장으로 있다. 콘코디아 언어마을 “숲속의 호수”라는 한국어 마을의 설립자이자 1999년부터 2014년까지 15년간 ‘촌장’으로 일했다. 2022년 가을 한글학자 외솔 최현배 선생을 기리는 제44회 외솔상을 외국인 처음으로 실천 부문에서 수상받았다. 한국어와 한글의 역사 연구, 해외 한국어와 한국문화의 교육과 보급 등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https://ubc.academia.edu/RossKing).
펼치기
임명묵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4년생으로 조치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아시아언어문명학부에서 서아시아 지역학을 전공했다. 현재 동 대학원에서 석사 과정 재학 중이며, 〈아제르바이잔과 러시아 혁명〉을 주제로 논문을 준비 중이다. 역사, 국제정치, 대중문화에 대해 다양한 관심을 갖고 〈조선일보〉, 〈월간조선〉, 〈시사저널〉 등에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시진핑 시대 중국의 전환을 다룬 《거대한 코끼리, 중국의 진실》(2018)과 90년대생 한국 청년의 세계 인식을 비롯하여 현대 한국을 주제로 한 사회비평서인 《K를 생각한다》(2021)가 있다.
펼치기
강영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KDI 국제정책대학원 초빙교수다. 매일경제에서 세계지식포럼과 비전코리아 국민보고대회를 조직했으며 경제부장, 논설위원을 역임했다. 풀무원으로 옮겨 미국법인 대표를 맡아 미국 내 인수 합병과 사업 확장을 지휘했다. 언론과 민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공공의 이익을 위해 일하고자 2014년 7월부터 3년간 국무조정실 규제조정실장으로 규제개혁에 노력했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신문사 기자 재임 중 미국으로 유학 피츠버그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이윤전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및 정의로운 기업시스템’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풀무원 재직 중에 하버드 경영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을 이수했다. 주요 저서로는 헨리 스튜어트(Henry Stuart)의 『해피 매니페스토(Happy Manifesto)』라는 직장 내 행복관리에 대한 번역서와 『함께 못사는 나라로 가고 있다』 , 『정부사용매뉴얼』 등이 있다.
펼치기
이장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성공경제연구소 원장이자 경북대 경영학부 명예교수이며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부회장이다. 한국식 경영과 혁신이론을 연구하며 국내 처음으로 벤처경영의 이론(1994)을 제시했으며 미래형 한국식 경영인 창발경영(2015)을 주창했다. 2002년 (사)한국문화산업포럼을 설립해 한류 문화산업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기술과 문화의 융합에 기반한 한국식 혁신이론을 『K-POP Innovation(2020)』으로 정리해 국문 및 영문판을 출간했다. 1995년 학계를 대표해 벤처기업협회 설립에 참여했으며, 한국경영학회 회장과 전자부품연구원 이사장을 역임했다. 국민경제자문회의 위원, 대통령 직속 미래기획위원, 헌법재판소 자문위원 등으로 활동하며 국가정책에 자문한 바 있다. 현재 세계문화산업포럼(WCIF) 의장과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이사장으로 봉사하고 있다.
펼치기
정은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주)에버영코리아의 창립자이자 현 대표이사이다. 나이, 성, 학력 차별이 없는 세상을 위해 일하고 있다. 세계적인 ESG 기업 인증기관인 비콥(B Corp) 한국위원회 위원장을 지냈고, (사)비랩코리아 이사장으로서 기업의 변화를 통한 자본주의 및 사회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김대중 대통령 비서실 통치사료비서관을 역임했으며, 국회보좌관과 국회정책연구위원으로서 정치개혁 관련 법안 작성 업무를 맡아 선거법과 정치자금법 개정에 이바지하였다. 정치학, 국제관계학, 정책학, 협상학 등의 분야에서 교수 및 연구 활동을 했고 『협상의 전략』 등 다수의 저서와 논문들을 저술하였다.
펼치기
윤종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법무법인(유) 세종 AI·데이터 정책연구소장, 이화여대 정책대학원 초빙교수이다. 청와대 행정자치비서관, 충청남도 행정부지사, 행정안전부 정부혁신조직실장·지방자치분권실장·차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상임위원(차관급)·위원장(장관급)을 역임하였다. 정부조직 전문가로 정권 변동기 정부조직 개편에 참여하였으며, 노무현 정부의 정부혁신, 박근혜 정부의 정부 3.0과 데이터 개방, 문재인 정부의 디지털 정부 혁신 등 정부 운영의 효율화에 지속적으로 관여하였다. 시·군 통합 등 지방행정 체제 개편, 지방자치법 전면 개정 등 자치분권 확대에 노력하였고, 2015년 공무원연금 개혁에 청와대 행정자치비서관으로 참여하였다. 행정안전부 차관 재직 시에는 코로나19 대응과 전국민 1차 재난지원금 업무를 수행하였다. 데이터 3법 개정 업무를 담당하였고, 그 결과 2020년 중앙행정기관으로 새롭게 독립한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초대 위원장으로 임명되어, 2년 2개월간 신설 조직의 독립성과 전문성 확보에 노력한 바 있다. 역사학도로서 합리적 이성, 공동체적 공감과 유대에 기반을 둔 역사적 진보와 더 나은 세상의 가능성을 믿는다.
펼치기
윤명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서울시립대학교 명예교수이다. 그 외 한국119청소년단 총재, 한국생활안전연합 공동대표, 원자력기술 전문위원 및 문화재 재난안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도쿄대학에서 공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대한주택공사와 명지대학교건축학과 교수를 거쳐, 1997년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로 부임한 이후 방재공학과, 재난과학과, 소방방재학과와 서울시 조례기관인 도시방재안전연구소를 설립하고 동 대학교 연구소장을 역임했다. 2002년 민간부단장(1급)으로 소방방재청 창설을 주도했고, 원자력안전위원회 초대위원, 대통령직속 규제개혁위원 및 한국화재소방학회장, 한국 화재보험협회 기술고문을 역임했다.
펼치기
최대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사)경제사회연구원 이사장이자 이화여대 명예교수이다. 통일연구원 책임연구원을 시작으로 동국대와 이화여대에서 북한과 통일 문제를 연구하였다. 이화여대에 재임하면서 통일학연구원장, 사회대 학장, 대외부총장을 지냈으며, 한국정치학회 연구이사, 북한연구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통일부, 외교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을 두루 거쳤으며, 2016년 남북교류에 기여한 공로로 국민훈장 동백장을 받았다.
펼치기
코리아다이나미즘포럼 (엮은이)    정보 더보기
이 책의 집필진이 중심이 되어 한국의 성장동력을 활성화하고 선진국으로서 미래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개방적 네트워크 조직으로서 한국 특유의 다이나미즘을 지키고 확장하기 위한 활동을 하고자 한다.
펼치기
성공경제연구소 (기획)    정보 더보기
2009년 (재)창조경제연구원 설립 이후 축적한 창조화 혁신 관련 정책연구들을 기반으로 2015년 1월 사단법인으로 출범했다. 설립목적은 각 경제주체들이 선한 뜻과 의지를 실현함으로써 경제사회에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는 과정을 촉진하고 성공경험을 세계적으로 공유하는 데 있다. 기업들은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제고시키면서 사랑받는’ 주체가 되고, 국민들은 ‘스스로 성공하는 삶을 살아감으로써 행복한’ 존재가 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정책연구보고서로서 「공유경제 현황 및 시사점 연구」를 발표했으며, 한국 경제가 성공경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하고자 2015년 7월부터 성공경제포럼을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홈페이지(www.successeconomy.com)에서 도서 관련 동영상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펼치기

책속에서



목표 산업을 확정하고 재빠른 추격과 성장을 이루어내는 전통적인 선형적 성장 모델에서 벗어나 지구를 살리고 사람에게 행복을 가져다주는 다양한 영역에 씨앗을 파종함으로써, 새로운 기회를 찾는 전략을 추구해야 한다. 이를 토대로 한국은 휴머니티 관련 세계 최고의 선진국으로 우뚝 설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한국 경제의 역동성은 앞으로 지속 가능성과 휴머니즘과의 관계 정립에 달려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지속 가능성이라는 위기를 기회로 전환 시킬 국가 전략으로서 ‘휴머니티의 세계적 실천 국가’가 될 것을 제안한다._<대한민국을 어떤 선진국으로 만들 것인가?>


기후 변화 방지를 위한 자연과의 공생 문제도 ‘생태와 경제’ 중간 어디쯤에서 절반의 성공을 도모하는 것이 어쩌면 공화의 세계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도 있기 때문이다. 환경과 생태계 문제에 대한 공생의 해법 없이는 더 이상 우리의 삶이 지속할 수 있지 않고 더불어 만들어가는 건축과 도시가 될 수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리하여 우리는 모두 겸손하게 다시 한번 옛사람들이 아름다운 풍경을 만들고 보존해온 지혜와 가르침에 귀 기울이고 함께 살아가는 우리 곁의 동반자 자연으로부터 배워나가며 서로 존중해야만 지구의 모든 생명체와 공생하는 삶이 지속 가능할 수 있음을 깨달아야 한다._<정주와 평화가 함께 지속 가능한 공화의 세계>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09199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