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88950967208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6-11-10
책 소개
목차
감사의 글
들어가는 말: 지금 경영에 필요한 것
0. ORIENTATION
01. 피터 드러커를 읽는 다섯 가지 렌즈
02. 책의 구성
LESSON 1. 경영의 본질-경영은 사람에 관한 것이다
01. 드러커는 왜 경영을 탐구했는가?
02. 경영에 대한 질문
03. 경영이란 사람에 관한 것이다.
■ Think & Act
■ Action Point
■ Business Case
LESSON 2. 경영자-경영자는 목표를 달성하는 사람이다
01. 경영자가 하는 일
02. 경영자의 세 가지 역할
03. 경영자의 다섯 가지 과업
■ Think & Act
■ Action Point
■ Business Case
LESSON 3. 경영자의 일-목표, 결과, 효과
01. 탁월함과 평범함의 차이
02. 목표에의 공헌: 포기와 집중
03. 관계의 관리
04. 자기계발과 훈련
■ Think & Act
■ Action Point
■ Business Case
LESSON 4. 경영자의 성공원리-일관리: 목표에 의한 관리(MBO)
01. 목표관리의 진정한 의미
02. 목표관리의 실천원칙
03. 목표관리를 뿌리내리기
■ Think & Act
■ Action Point
■ Business Case
LESSON 5. 경영자의 성공원리-사람관리: 인사결정
01. 인사결정은 왜 어려운가?
02. 인사결정의 복잡성
03. 인사결정의 올바른 원칙
■ Think & Act
■ Action Point
■ Business Case
LESSON 6. 리더십-리더십의 요소는 책임과 공헌
01. 리더십에 관한 진실
02. 리더십의 원천
03. 지식사회와 리더십
04. 리더십 행동과 리더의 결심
■ Think & Act
■ Action Point
■ Business Case
LESSON 7. 다시 경영현장으로-마인드 리셋과 자기경영
01. 마인드 리셋. 나는 경영자인가?
02. 자기를 경영하는 경영자
■ Action Point
Appendix 1 나와 피터 드러커
Appendix 2 드러커의 생애
01. 드러커의 삶의 이정표와 저작들
Appendix 3 드러커 저서 목록
01. Peter Drucker’s 39 Books
02. 드러커의 다른 저작들
주석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저는 직원들의 소속감을 강하게 내세우는 기업가를 많이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들은 자기 내면이 분열되어 있기 때문에 회사 내에서도 분열을 일으킵니다. 그러므로 소속감이 생겨나려면 우선 나 자신부터 살펴봐야 합니다. 나 자신과 일치하려고 해야 하고 자기 안에 있는 모든 것에 집중해야 합니다. (중략) 소속감이 생기면 각 개인 사이에서 많은 에너지가 흐르게 됩니다. 그러면 각자는 다른 사람들과 내가 서로를 지지하고 있다고 느끼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는 소속감을 이끌어내는 일은 지도자들에게 주어진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라고 봅니다.”
_ Lesson 1 경영의 본질-경영은 사람에 관한 것이다
드러커는 여러 가지 인사결정의 원칙 중에서도 강점에 기초한 적절한 직무부여, 결과에 대한 적절한 보상, 그리고 승진을 통한 성장 기회의 부여를 강조했다. 강점에 기초한 직무부여는 사람에게 가장 잘할 수 있는 일을 하도록 기회를 주고 조직에 기여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드는 것이다. 이 원칙은 사람이 성공하기 위한 핵심요건인데 잘하는 일을 하게 만드는 것이야말로 가장 큰 성공의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사결정의 첫 번째 원칙으로 삼을 만하다. (중략) 드러커는 미국의 위대한 장군으로 존경받는 조지 마셜George Catlett Marshall(1880~1959)의 일화를 통해 강점에 기초한 인사관리의 중요성을 설득력 있게 전했다.
위대한 장군의 스승
조지 마셜이 계급 정년 4개월을 남기고 겨우 승진을 했을 때는 현역 복무가 가능한 젊은 장군들이 턱없이 모자란 상황이었다. 마셜은 자기와 비슷한 승진 가능성이 없는 초급 장교들을 모아놓고 제2차 세계대전 대비를 위한 훈련을 시작했다. 그 당시 아이젠하워도 있었는데 그 역시 나이가 많았고 계급은 소령에 불과했다. 하지만 그도 마셜을 만나 위대한 장군이 되었다. 1942년까지 마셜은 미국 역사상 유능한 장군들을 가장 많이 양성했다. 그는 항상 “이 사람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라는 것을 따졌다. 그리고 만약 그 사람이 무엇을 할 수 있다면 그가 할 수 없는 것은 문제 삼지 않았다.
_ Lesson 2 경영자-경영자는 목표를 달성하는 사람이다
경영자가 성과를 창출하는 능력은 목표에서 출발한다. 기업 경영의 본질은 사회와 고객을 위한 공헌이다. 따라서 경영자의 중심 역할은 먼저 기업의 목표를 실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목표를 제대로 파악하는 것은 경영자가 제대로 역할을 하기 위해 필요한 일이다. 대표적인 사례로 IBM과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가 있다. IBM은 기업의 목표를 저장과 하드웨어에 두었고 마이크로소프트는 정보기기를 활용한 유용성과 소프트웨어에 두었다. 1990년대 말 이런 목표의 차이는 다른 전략과 선택을 하도록 했고 지금과 같은 두 기업의 차이를 만든 주요인이 되었다. 이처럼 기업의 목표설정은 기업의 성장 경로와 결과를 규정하며 경영자의 목표는 경영자의 활동과 결과를 규정하는 요인이 된다.
_ Lesson 3 경영자의 일-목표, 결과, 효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