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50985400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0-01-16
책 소개
목차
시작하며 • ‘목포 도슨트’ 최성환
목포의 짧은 역사 • 다도해를 품은 서남권의 거점 도시
01 목포역 - 남행열차의 종착역에서 대륙횡단열차의 출발역으로
02 김우진 거리 - 목포 1세대 모던보이가 살던 문학 동네
03 동명동 77계단 - 송도신사로 향하던 계단과 미로 마을
04 구 일본영사관 - 원형 그대로 보존된 120년 전 건축물
05 목포진 역사공원 - 목포 역사의 뿌리이자 항구도시의 시작점
06 노적봉 - 이순신의 전설이 깃든 목포의 자부심
07 연희네슈퍼 - 목포의 레트로 1번지 서산동 시화골목
08 창성장 - 도시재생의 상징이 된 목포 까사 1호
09 목포항 - 목포의 상징이자 신명 나는 항구축제의 현장
10 민어의 거리 - 바다의 맛과 목포 9미(味)
11 유달산 - 기암괴석이 아름다운 다도해 전망대
12 불종대 - 근대 소방시설의 기억이 담긴 원도심의 상징
13 삼학도 - 세 섬의 전설과 김대중 노벨평화상 기념관
14 구 동양척식주식회사 - 시민운동으로 지킨 일제 수탈의 상징
15 목포의 눈물 노래비 - 유달산에 세운 국내 최초 대중가요 노래비
16 고하도 이충무공기념비 - 이순신의 제사를 지낸 고하도 사람들
17 달성사 - 목포8경에 속하는 유달산의 전통 사찰
18 갑자옥 모자점 – 목포 멋쟁이들이 찾는 93년 역사의 모자 가게
19 고하도 감하원 터 - 아름다운 섬에 세운 소년감옥
20 갓바위 – 갓을 쓴 사람 모양의 신비로운 쌍둥이 바위
21 호남은행 - 민족자본으로 세운 목포 유일의 근대 은행
22 공생원 - 한일교류의 상징이 된 목포 최초 사회복지시설
23 보광사 미륵불 - 유달산 바위에 새긴 불상과 그 아래 신비의 샘
24 만인계 터 - 복권의 원조, 만인계가 열리던 곳
25 양동교회 – 근대문화 1번지가 된 최초의 교회
26 목포청년회관 - 근대 탐방의 필수 코스, 전남 노동운동의 성지
27 국제서림 - 서점 명가의 70여 년 역사
28 해양유물전시관 - 세계를 놀라게 한 해양유물의 보물창고
29 목포시사 - 목포 지식인들이 꾸린 문학결사
30 오거리문화센터 – 일본 사찰이 중학교와 교회가 된 사연
31 이훈동정원 - 호남 최대의 비밀 정원
대한민국 도슨트 • 목포 인문 지도
대한민국 도슨트 • 목포 연표
참고 자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목포 개항 후 11일이 지난 1897년 10월 12일에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변경하였다. 이는 당시 꺼져가는 나라의 운명을 살리기 위한 마지막 노력의 과정이었다. 따라서 목포의 개항은 대한제국의 꿈과 그 시대를 함께 했다는 측면에서 기존의 개항과는 다른 차별성이 있다.
- <목포의 짧은 역사> 중에서
소년 김대중은 목포진 일대를 이순신의 정신이 담긴 의미 있는 장소로 인식하였다. 현재 목포시에서는 김대중 관련 옛터를 중심으로 김대중 이야기 공원을 꾸미고 있다. 목포진에서 항동시장으로 연결되는 계단 길도 여기 속한다. 목포진 역사공원 관람을 마치고 내려갈 때는 김대중 전 대통령이 살았던 항동시장 계단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 <05 목포진 역사공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