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책읽기/글쓰기 > 책읽기
· ISBN : 9788950985578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19-12-31
책 소개
목차
화보
머리말
1장 『광인일기』의 새로운 의미를 찾아서
1. 『광인일기』의 의미생성구조
대립적 의미항: 달과 개
‘나’의 세계 인식 과정
세계 인식의 메커니즘
새로운 세계 변혁을 위하여
2. 『광인일기』의 의사소통구조
액자 형식, 안 이야기와 바깥 이야기
『광인일기』의 의사소통구조
‘救救孩子……’와 ‘救救孩子!’
3. 『광인일기』의 문학적 시공간
『광인일기』의 시간 구조
『광인일기』의 공간 구조
『광인일기』의 시공간과 의미생성
『광인일기』의 열린 독해를 위하여
2장 「광인일기」 창작의 이모저모
1. 국민성 개조와 시대 의식
문학으로의 복귀
국민성 개조: 신민(新民)과 입인(立人)
2. 모티프로서의 식인과 광기
식인과 문명
광인과 광기
3. 새로운 서사 양식
1인칭 화자 서사
일기체소설
액자소설
3장 세계문학 속 광인
1. 고골의 「광인일기」
망상과 욕망
광기와 자아 찾기
2. 모파상의 「오를라」
환각과 이성의 경계
네 차례의 공간 이동
3.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미친 노인의 일기』
욕망의 사다리
일기와 부록, 가타카나와 히라가나
4장 「광인일기」 연구 현황
1. 중국의 「광인일기」 연구
「광인일기」의 광인 형상
「광인일기」의 창작 방법
「광인일기」와의 비교연구
텍스트 네 편의 상이한 관점
최근의 「광인일기」 연구 일례
2. 일본의 「광인일기」 연구
다케우치 요시미의 루쉰론
마루야마 노보루의 루쉰론
이토 도라마루의 루쉰론
마루오 쓰네키의 루쉰론
기타 연구자들
3. 한국의 「광인일기」 연구
개시기(1920~1970년대)
발전기(1980~1990년대 중반)
심화기(1990년대 중반 이후)
「광인일기」 비교연구
주석
참고 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창조물에 대한 창조자의 언술은 성서처럼 떠받들어지기도 하지만 여기서는 잠시 옆으로 치워두자. 텍스트에 대한 작가의 언술은 때로 창조물을 이해하는 길잡이 노릇을 하기도 하지만, 작가의 글쓰기 전략에 따라 의도적으로 텍스트를 왜곡하는 때도 있다. 설령 그렇지 않더라도 이 우주 스스로 자기복제와 재생산 능력을 지닌 터라 창조자의 원래 의도와 달리 예상하지 못했던 부피와 무게로 불어나거나 줄어드는 경우도 숱하다. 차라리 이 우주의 갖가지 의미 있는 요소들이 어떻게 서로 연관을 맺으면서 자기 나름의 모습을 드러내는지를 살펴보자.
_ 1장 「광인일기」의 새로운 의미를 찾아서
그렇다면 문학적 글쓰기에서 광기 혹은 광인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작가는 흔히 일상적인 세계의 평범한 인물로 환경의 부조리와 폭력성을 더는 드러낼 수 없을 때, 비범하(unusual)거나 비정상적인(abnormal) 인물을 통해 자신의 예술적 역량을 발휘한다. 이러한 인물의 비범성과 비정상성은 흔히 영웅의 초월성이나 광인의 광기로 표출되거니와, 특히 광인의 광기는 작가의 새로운 예술적 사유의 원천이 된다. 작가에게 광기란 더는 정신질환이나 이상심리 같은 질병이 아니라 자신의 문학적 상상력을 담아내는 유용한 도구로, 기성 권위와 질서에 대한 위반과 일탈의 기호다. 그리하여 광인과 광기는 세계를 새롭게 해석할 수 있도록 돕는 통로가 되며, 동시에 기성 지배 담론을 전복시키는 위험한 시도를 가능케 하는 문학적 보호장치가 된다. 이제 광기 속에 내재되어 있는 위반과 일탈의 욕망을 문화적으로 재해석해내는 것은 우리 몫이다.
_ 1장 「광인일기」의 새로운 의미를 찾아서
루쉰의 「광인일기」 창작에는 그의 오랜 독서 체험이 중요한 자원으로 활용되었다. 그의 독서 체험 가운데는 삶의 극한에 내몰린 인간의 절망적 상황과 그 내면세계를 다룬 작품이 적지 않았지만, 특히 광인의 광기를 다루는 작품은 각별히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을 터이다. 안드레예프의 『붉은 웃음』, 「기만」과 「침묵」, 그리고 가르신의 「나흘」과 「붉은 꽃」, 고골의 「광인일기」 등이 그 대표적인 예다. 광인 혹은 광기를 다룬 세계문학을 중심으로 광인의 계보를 살펴보는 것은 퍽 흥미로운 작업이다. 이와 함께 광인 혹은 광기를 다룬 여러 작가의 작품을 비교하여, 다양한 작품에서 광인의 광기를 통해 작가가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를 견주어 보아도 의미 있을 것이다.
_ 3장 세계문학 속 광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