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초등 자녀
· ISBN : 9788950995188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1-05-17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아이가 공부를 못하는 건 엄마가 게으르기 때문이다 • 6
CHAPTER 1 엄마주도학습, 어떻게 시작할 것인가?
Step 1. 맨땅에 헤딩시키지 말고 공부 전략을 혁신하라
: 처음부터 스스로 공부하는 아이는 없다 • 21
: 자기주도학습은 결코 독학이 아니다 • 23
: 사교육주도학습 vs 엄마주도학습 • 25
: 나와 다른 아이,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 29
Step 2. 당신은 어떤 엄마인가?
: 무엇이 행복을 결정하는가? • 33
: 불안한 엄마보다는 부족한 엄마가 낫다 • 37
: 무지막지한 잔소리꾼_통제형 엄마 • 40
: 아이 공부가 곧 내 공부_교육형 엄마 • 44
: 선택과 책임을 동시에 부여한다_자율형 엄마 • 47
: 승리의 전략을 제시한다_코치형 엄마 • 49
: 가두리 양식 교육법 • 52
Step 3. 어설픈 격려 대신 제대로 된 기준을 제시하라
: 엄마주도학습이 진짜 필요한 이유 • 61
: 지식을 습득하고, 체계화하는 방법 • 64
: 부모가 원하는 답을 유도하라 • 68
: 현명한 컨트롤러가 되어라 • 71
CHAPTER2 엄마주도학습 성공전략
Step 1. 실천할 수 없고 통제할 수 없는 목표는 부여하지 않는다_스킬 편
: Plan 1. 균형 잡힌 공부 식단을 작성하라 • 77
: Plan 2. 작은 것이라도 성공체험을 격려하라 • 80
: Plan 3. 복습은 성장의 어머니다 • 81
: Plan 4. 내 아이의 맞춤 참고서, 오답 노트를 만들어라 • 85
: Plan 5. 상황에 맞는 전략을 수립하라 • 87
Step 2. 성적의 노예가 아니라 삶의 주인으로 키워라_마인드 편
: Plan 1. 성적이 아니라 아이에게 관심을 가져라 • 91
: Plan 2. 입은 닫고, 귀를 여는 연습 • 93
: Plan 3. 무기력을 학습시키지 마라 • 95
: Plan 4. 아이의 꿈에 날개를 달아주는 일 • 98
CHAPTER 3 절대 실패하지 않는 초등 공부의 모든 것
Step 1. 초등 공부에 대한 엄마들의 오해와 진실
: 국, 영, 수 공부법에 대한 엄마들의 착각 • 103
: 영어로 밥 먹고, 수학으로 대학 간다 • 108
: 대치동 엄마들이 역사 공부에 목숨을 거는 이유 • 112
: 무효학습과 유효학습 • 115
: 독서활동상황에 주목하라 • 117
: 자기 표현력이 강한 아이가 리더로 성장한다 • 123
Step 2. 공부의 목표와 학습의 본질을 간파하라
: 엄마들이 강남으로 이사 오는 이유 • 129
: 초등 성적은 거품이다 • 132
: 우물 안 개구리 식의 내신 공부에서 벗어나라 • 136
: 입시에서 인정받는 스펙은 따로 있다 • 140
: 아이의 대학 간판을 결정하는 엄마의 정보력 • 144
: 아이의 모든 것을 담아라, 블로그 활용하기 • 148
: 나는 네가 지난 학기에 한 일을 알고 있다, 나이스 활용법 • 150
Step 3. ‘활동형, 산만형, 탐구형, 규칙형’ 학습법
: 절대경쟁과 상대경쟁 • 155
: 성향별 학습법에 주목하라 • 158
: 시험 목표와 전략은 현실적으로 • 163
: 아이를 성공으로 이끄는 부모의 힘 • 165
CHAPTER 4 인덱스가 아닌 데이터를 구축하라
Step 1. 부모는 장사치가 아니다, 자녀와 ‘딜(Deal)’ 하지 마라
: 내 아이를 유혹하는 몬스터에서 벗어나기 • 169
: 시간이 아니라 ‘공부의 양’을 체크하라 • 172
: 우리 집 거실에 여전히 텔레비전이 있는 이유 • 175
: 성적을 미끼로 부모와 거래하는 아이들 • 178
: ‘중2병’은 불치병이 아니다 • 182
Step 2. ‘체>덕>지’의 시대다, ‘엉덩이의 힘’을 축적하라
: 책가방을 열면 아이의 성적이 보인다 • 187
: 책상 정리를 잘하는 아이가 공부도 잘한다 • 190
: 잠보다 좋은 보약은 없다 • 192
: 벼락치기도 체력이 있어야 가능하다 • 196
: 어릴수록 효과 좋은 경제교육 • 200
Step 3. 승리하는 아이를 만드는 아빠의 힘
: 신인류의 등장, 에듀파파 • 205
: 잔소리가 아닌 관심을 보여라 • 208
: 아이에게 롤모델이 필요한 순간 • 212
: 숨은 아이의 적성 발견하기 • 215
: 다양한 환경에 노출하고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라 • 218
CHAPTER 5 공부는 ‘그냥 하는 게’ 아니라 ‘되게 하는 것’이다
Q&A 1. 영어 실력의 격차가 신분의 격차를 만든다_영어교육 편 • 224
Q&A 2. 아이의 미루는 습관 바로잡기_생활습관 편 • 236
Q&A 3. 아이의 집중력을 북돋아주는 방법_학습태도 편 • 244
Q&A 4. 공부에 흥미가 없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_진로설정 편 • 252
Q&A 5. 사춘기 아이와 안전거리 유지하기_교우관계·사춘기 편 • 258
Q&A 6. 아이에게 말 걸기_부모와의 관계 편 • 266
Q&A 7. 좋은 학원의 선택 기준_직장맘 편 • 274
저자소개
책속에서
단언컨대 아이가 공부를 못한다는 건 엄마가 게으르다는 소리다. 사교육에 의존하고 공교육을 탓하기 전에 자녀의 공부 방식부터 바꿔야 한다. 처음에는 서로가 피곤하고 힘들겠지만, 일정 시간이 지나고 나면 강제적 학습 습관은 자발적 공부 습관으로 이어지며 나아가 자기주도학습 습관으로 정착된다. 이것이 바로 공부의 근육, 생각의 근육, 나아가 자기주도학습의 습관을 길러주는 지름길이다.
[초등 때 만든 ‘학습 습관’이 평생을 좌우한다] 중에서
처음에는 다소 강압적인 제목에 거부감을 보이는 독자도 있었지만 책을 읽은 후 왜 제목이 《엄마주도학습》일 수밖에 없는지 이해하게 되었다는 이야기를 듣는다. 자기주도학습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엄마가 주도하는 학습 기간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이해한 덕분이다. 특히 본 도서에 나오는 ‘초등 과목별 학습 계획표’를 실천한 아이들이 ‘자유학기제’에 빨리 적응하고 특목고를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 많은 독자가 이를 눈여겨보고 꼭 실천해보길 바란다.
[엄마의 학습 주도권 되찾기] 중에서
많은 엄마가 자기주도 학습을 혼자 공부하는 ‘독학(獨學)’ 또는 ‘자습(自習)’으로 생각한다. 자기주도학습은 스승 없이 혼자 공부하는 독학을 의미하는 게 아니다. 스스로 배워서 익히는 자습도 아니다. 독학이나 자습이 가능하려면 기본적인 학습學習이 되어 있어야 한다. 그리고 학습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누군가로부터 무언가를 배워야 한다.
옹알이하던 어린아이가 부모로부터 ‘엄마, 아빠’라는 말을 배우고, ‘ㄱ, ㄴ, ㄷ’을 거쳐 ‘가, 나, 다’를 익히고, 끼니마다 엄마가 먹여주던 것에서 벗어나 스스로 숟가락질을 연습하듯 공부 역시 ‘제대로 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한마디로 배우고, 익히고, 연습하는 과정이 바로 자기주도학습인 셈이다.
[자기주도학습은 결코 독학이 아니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