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88950999162
· 쪽수 : 520쪽
· 출판일 : 2022-02-11
책 소개
목차
간행위원회 머리말 4
1부 하버마스
1장 하버마스: 비판적 사회이론의 정립과 정치적 실천의 회복을 위한 노력 18
2장 포괄적 합리성과 사회비판: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이론』 읽기 48
3장 하버마스의 근대성이론: 진보적 실천의 가능성과 한계에 관한 모색 73
4장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이론에 관한 몇 가지 비판적 고찰 95
5장 법과 실천적 합리성: 하버마스의 법 대화이론 113
6장 동의와 당위: 하버마스의 담론윤리학 139
7장 실천이성의 계보학: 하버마스 후기 철학의 방법론적 변화에 관하여 177
2부 루만
8장 니클라스 루만의 『사회의 사회』는 어떤 책인가: 210
9장 도덕의 반성이론으로서의 윤리학: 루만의 도덕이론에 대하여 220
10장 현대사회에서의 합리성: 루만의 사회 합리성 개념에 관하여 251
11장 ‘자기지시적 체계’에서 ‘자기지시’란 무엇을 뜻하는가: 루만의 이론의 한 핵심어에 대하여 283
12장 체계이론과 여론: 루만의 여론 개념의 재구성에 관하여 316
13장 루만 안의 겔렌, 루만 너머의 겔렌 345
3부 철학사적 지평
14장 자율적 주관성과 이성적 사회: 한 사회철학적 이념의 이론적 논증과 실천적 구현의 노력들의
분석적, 비판적 재구성 374
15장 역사유물론과 역사유물론의 재구성: 마르크스와 하버마스를 비교하는 한 관점 395
16장 변증법적 사회파악: 신화인가 이상인가 417
17장 칸트의 정언명령에 대한 짐멜의 비판적 재구성: 청년 짐멜의 도덕사회학 시론에 관한 연구 446
18장 ‘규제적 원리’로서의 사회주의: 짐멜의 사회주의론 471
참고 문헌 497
용어 색인 515
논문 출처 518
저자소개
책속에서
마르크스의 사회, 역사이론은 사람들 사이의, 그리고 사람의 자연에 대한 관계가 지배로부터 자유롭고, 소외되지 않은 ‘명백히 이성적인 관계’로 실현될 수 있는 조건을 탐구하는 데 있었다. 그는 이 조건을 사회의 물질적 생산과정이 사람들이 자유롭게 맺은 사회관계의 산물이 됨으로써 ‘의식된 계획적 통제’하에 놓이게 될 때, 즉 사회주의 사회에서 충족된다고 생각하였다. 그런데 만일 마르크스가 사람들이 상황을 만들기도 하지만 마찬가지로 상황이 사람을 만든다는 그의 통찰에 충실하려 한다면, 그가 생각하는 사회주의사회는 개인들의 반성적 능력이나 도덕적 행위를 통해서보다는 자본주의사회 스스로 자기 지양의 객관적 조건과 주체적 조건을 만들어 낼 때만 가능할 것이다.
마르크스의 공산주의 이념의 한계는 우리가 현재 동원할 수 있는 이론, 실천적 역량에 비추어 볼 때 그어지는 역사적 한계이지 하버마스에게 눈에 띄는 것처럼 원칙적인 한계는 아니다. 앞으로는 사회가 해결해야 할 문제들의 성격과 행위주체들의 역량, 사용 가능한 수단 등에 따라 마르크스가 생각했던 사회주의의 이념에 근접하는 새로운 사회조직 원리가 요청되고 구현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국가, 계층, 민족, 성 간의 불균등 관계, 환경의 파괴와 의미상실이 주는 위협 등은 한편에서 하버마스가 말하는 것처럼 분명 활발한 의사소통을 요청하지만, 다른 한편 교환가치에 바탕을 둔 경제체제에서 사용가치에 초점을 맞춘 경제체제로의 전환 외에는 최종적인 해결책이 없을 것으로 생각되게 한다. 지금 이런 경제체제를 현실성 있게 그려낼 수 없는 상황에서 마르크스의 공산주의 ‘이념’에 비추어 하버마스의 이론을 비판하는 것도 독단이지만, 또한 그런 경제체제는 원칙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하는 것도 피해야 할 독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