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51119859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19-11-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5
제1장 장애인 치유 결과와 산헤드린 앞 베드로, 요한(행 4:1–22)
I. 서언 • 23
II. 체포, 산헤드린 소집, 베드로 연설(행 4:1–12) • 24
1. 치유 기적의 영향과 사도들의 체포(행 4:1–4) • 24
2. 산헤드린의 소집(행 4:5–7) • 35
3. 베드로의 산헤드린 앞 연설(행 4:8–12) • 42
III. 산헤드린의 논의와 베드로의 대답 • 56
1. 사도들의 담대함: 언어 표현 • 57
2. 무지한 자들 • 58
3. 예수의 동반자 • 61
4. 치유된 장애인의 동행자 • 63
IV. 산헤드린의 논의와 결과(행 4:15–22) • 64
1. 백성의 태도와 사건 해석의 혼란 • 64
2. 산헤드린의 대응과 사도들의 다짐 • 68
V. 결어 • 75
1. 사도들의 첫 좌절: 대결의 원형 • 75
2. 베드로의 권위와 기독교의 권위 • 77
3. 장애인 치료와 예수 부활: 예수 부활 확증과 구원 • 79
4. 요한의 침묵 • 80
제2장 베드로 석방과 신도의 기도(행 4:23–31)
I. 서언 • 82
II. 석방과 모임의 기도 • 83
1. 최초의 수난과 신도의 동질성 • 83
2. 신도의 기도 • 88
3. 기도의 결과 (행 4:31) • 113
III. 결어: 기도의 배경과 의미 • 117
1. 배경과 교훈 • 118
2. 적대 상황의 동일시: 예수 활동의 계승, 연속성 • 120
3. 기도: 고난 이야기의 시작과 동참 의지 • 124
4. 예수 정체와 십자가 사건의 해석 • 126
제3장 신도의 재물 공유와 나눔(행 4:32–37)
I. 서언 • 128
II. 재물의 나눔 • 129
1. 재물의 공유와 나눔 • 129
2. 공유와 나눔: 성령 충만의 결실 • 139
3. 사도의 위상 강화(행 4:33, 35, 36–37) • 144
4. 재물 나눔의 본보기: 바나바 • 146
III. 결어 • 149
1. 빈자 돕기 • 149
2. 물질 공유와 나눔의 역사성 • 150
3. 재물 공유와 나눔의 누가적 의미 • 155
제4장 베드로와 아나니아, 삽비라(행 5:1–11)
I. 서언 • 160
II. 재산 헌납의 상황 • 162
1. 아나니아 부부의 행위와 범죄 • 162
2. 물질 헌납의 성격 • 178
III. 부부 사망의 징계적 성격 • 186
1. 징계의 전제: 물질 공동체의 규정 • 186
2. 부부의 ‘공범 행위’ • 188
3. 징계의 이유 • 189
4. 징계의 필요성과 심각성 • 193
V. 결어 • 197
1. 재물과 하나님, 이중 귀속 경고 • 197
2. 물질과 정신 • 198
3. 베드로의 권위와 ‘비정함’ • 200
4. 사건의 후일담과 누가의 선택 • 203
제5장 베드로와 사도들의 기적, 수난(행 5:12–33)
I. 서언 • 205
II. 사도들의 활동 요약: 기적(행 5:12–16) • 206
1. 사도들과 기적 발생 • 208
2. 모임: 솔로몬 행각의 상징 • 212
3. 신도의 증가–공동체 충원 • 218
4. 교회 성장의 동기와 치유, 베드로의 권위 • 221
5. 기독교 성장의 특성 • 228
6. 사도들의 기적 보고 정리 • 231
III. 박해—체포와 탈출, 심문(행 5:17–33) • 234
1. 사도들의 체포(행 5:17–18) • 236
2. 기적적 탈출과 연행(행 5:19–26) • 245
IV. 결어: 감옥 탈출의 의의 • 279
1. 감옥 탈출의 의미 • 280
2. 베드로 선포의 모험 • 284
3. 박해와 선교 확장 • 285
제6장 가말리엘과 베드로, 사도들(행 5:34–42)
I. 서언 • 287
II. 가말리엘의 개입 및 사도들의 석방 • 289
1. 가말리엘의 ‘원칙’과 석방(행 5:34–40) • 289
2. 가말리엘에 대한 누가의 인식 • 322
3. 사도들의 반응: 고난 속의 기쁨(행 5:41–42) • 330
III. 결어 • 339
1. ‘성공과 실패’ 평가의 문제 • 340
2. 가말리엘 이해의 다면성 • 342
3. 박해의 의미론 • 345
4. 성전과 집 • 348
제7장 맺음말
I. 베드로의 위상 • 354
II. 선교와 삶의 총체성 • 357
III. 고난을 넘어 • 359
보록(補錄) 초기 선교자의 여행과 그 의미
I. 서언 • 363
1. 들어가는 말 • 363
2. 선교자 바울 • 365
II. 바울의 선교여정 • 366
1. 바울의 제1차 여행(행 13:1–14:26) • 367
2. 바울의 제2차 여행(행 15:36–18:22) • 368
3. 바울의 제3차 여행(행 18:23–21:16) • 370
III. 선교여정 선택의 의미 • 372
1. 목적지에 관한 거시적 통찰과 구상: ‘저곳’ 아닌 ‘이곳’ 선택 • 372
2. 바울 여행지 선택의 배경: 고려사항 • 377
IV. ‘여행 자체’의 의미 • 384
1. ‘떠나는’ 선교적 유목민: 여행의 ‘바울 형성력’ • 384
2. ‘새로운 성지’로의 순례: 구심화(求心化)에서 원심화(遠心化)로 • 388
3. 바울 선교여행 보고의 존재 이유 • 392
V. 결어 • 394
참고문헌 • 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