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51120060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20-11-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7
서론 13
시민적 인격신론의 붕괴와 종교성의 위기 13
성서적 관점들에서 본 창조신학의 문제들 14
“새로운 성서적 신학” 17
제1장 “창조”란 무엇인가?: 새롭게 읽은 창세기 1, 2장 20
1. “창조”에 관한 관례적인 중심사상들 22
2. 창세기 1, 2장은 새롭게 읽혀야 한다 28
3. 창조란 무엇인가? 37
4. 신학적 과제: “추상화에 대한 비판” 47
• 헤름스(E. Herms)의 추서에 대한 추서 52
제2장 창조와 “자연 계시”의 문제 63
1. 계시의 결함: 왜 건전한 인간지성은 “자연 계시”에 매여 있고자 하는가? 64
2. 칼뱅의 “자연 계시”에 대한 인정(Würdigung)과 비판 67
3. 창조와 계시 78
제3장 “하늘과 땅”의 창조: 사유(思惟)의 단초 87
1. “하나님은 하늘에 계시고, 너[인간]는 땅 위에 있다!” 87
2. 하늘–“초월”에 대한 통일성과 다양성 92
3. 땅–활동적이고 에너지를 공급해 주는 환경 100
제4장 창조 안에 있는 천사와 하나님의 현존:
인상적인 논리, 그러나 초복합적(hyperkomplex) 현실 108
1. “사자(使者)–천사론” 속에 있는 하나님의 천사와 하나님의 자기제어와 자기소멸 112
2. “궁정(宮庭)–천사론”과 하나님의 영광 125
제5장 창조, 하나님의 형상, 그리고 주권위임 140
1. 주권위임을 약화시키고 상대화하려는 새로운 신학적 시도 143
2. 하나님의 형상, 주권위임, 그리고 인간들의 성적 차별화의 연관성 148
3. 주권위임: 계급적으로 명령된 동물과의 파트너 관계와 “돌봄의 통치”를 위한 의무 158
제6장 창조와 죄 167
1. 창조된 인간의 “죄로 인한 타락”인가, 아니면 자율(Autonomie)인가?(창세기 3장에 따른) 168
2. 단순한 자율: 죄인의 비참함 176
▪ 역자 후기 / 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