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삼위일체로 존재하는 하나님의 삶

삼위일체로 존재하는 하나님의 삶

미로슬라브 볼프, 미하엘 벨커 (엮은이), 김선권, 백충현, 정대경 (옮긴이)
새물결플러스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삼위일체로 존재하는 하나님의 삶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삼위일체로 존재하는 하나님의 삶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1292687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24-01-08

책 소개

위르겐 몰트만 탄생 80주년에 즈음하여 신학자 18명이 몰트만의 삼위일체 신학을 다양한 측면에서 조명한 기념 논문집이다. 저자들은 삼위일체가 관념상의 교리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교회 일치, 우정, 젠더, 생태, 경제,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 함의를 지닌다는 점을 역설한다.

목차

저자와 편집자 소개
서문 - 미로슬라브 볼프와 미하엘 벨커

1부 삼위일체와 인간

1장 하나님처럼 되기: 삼위일체와 베풂
미로슬라브 볼프
2장 사회적 삼위일체와 재산
M. 더글러스 믹스
3장 생명의 영과 생명 경외
윌리엄 슈바이커
4장 “‘친구’라고 말하고 들어오라”: 우정과 신학 방법
낸시 엘리자베스 베드포드
5장 지혜, 신학적 인간학, 현대의 세속적 인간학
데이비드 H. 켈시
6장 위르겐 몰트만과 자연과학의 대화
존 폴킹혼

2부 삼위일체와 종교 전통

7장 자유 안에서의 교회 일치
더크 J. 스미트
8장 성령의 길을 예비하라
하비 G. 콕스 주니어
9장 삼위일체와 종교신학
다니엘 L. 밀리오리
10장 배타주의와 절대주의를 넘어서: 삼위일체적 십자가 신학
로널드 F. 씨먼

3부 삼위일체와 신론

11장 삼위일체와 젠더에 대한 재고
사라 A. 코클리
12장 하나님의 완전한 생명
존 웹스터
13장 하나님의 섭리와 행동
데이비드 퍼거슨
14장 삼위일체 신학에 대한 통로로서의 성령 기독론
필립 J. 로사토
15장 삼위일체에 정의가 존재하는가?
니콜라스 월터스토프

4부 삼위일체와 역사신학

16장 종말론과 기독론: 몰트만과 그리스 교부들
니콜라스 콘스타스
17장 존 던의 삼위일체 이해
제럴드 오콜린스, SJ
18장 삼위일체적 믿음과 예배: 역사적 사례
브라이언 D. 스핑크스

저자소개

미로슬라브 볼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크로아티아에서 오순절 교회 목회자의 아들로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기독교 신앙의 의미를 숙고하며 자랐다. 자그레브 대학교에서 고전 그리스어와 철학을 공부했으며, 복음주의 신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다. 미국 풀러 신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획득한 후, 튀빙겐 대학교에서 위르겐 몰트만의 지도 아래 박사 학위와 교수 자격을 취득했다. 풀러 신학교에서 조직신학을 가르쳤고, 현재 예일 신학대학원에서 신학과 윤리학을 가르치면서 예일 신앙과문화연구소 소장으로 일하고 있다. 그가 2003년에 창립한 예일 신앙과문화연구소는 신학 연구와 더불어 종교와 인류 공영의 문제, 지구화, 화해 등의 삶에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연구한다. 그가 쓴 『배제와 포용』은 「크리스채너티투데이」에서 선정한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100권의 종교 서적으로 꼽혔다. 그밖에 『광장에 선 기독교』 『행동하는 기독교』 『기억의 종말』 『알라』 『인간의 번영』 『일과 성령』 『세상에 생명을 주는 신학』(이상 IVP), 『베풂과 용서』(복있는사람), 『삼위일체와 교회』(새물결플러스), 『가치 있는 삶』(흐름출판) 등을 썼다.
펼치기
미하엘 벨커 (엮은이)    정보 더보기
신학자이자 철학자로서 튀빙엔 대학에서 신학박사(Dr. theol.) 학위를, 하이델베르크 대학에서 철학박사(Dr. phil.) 학위를 받았다. 팔즈 지방 개신교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으며, 튀빙엔 대학에서 신학교수자격(Dr. theol. habil.)을 취득하였다. 튀빙엔 대학 조직신학 교수(1983?1987), 뮌스터 대학 개혁신학 주임교수(1987?1991), 하이델베르크 대학 조직신학 교수(1991?2012)로 봉직하였고, 1985년 맥마스터 대학, 2001년 하버드 대학, 2008년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초빙교수로도 활동하였다. 미국 프린스턴 신학교의 과학과 종교에 관한 협의회 회원, 프린스턴 대학의 초빙교수, 하이델베르크 대학 국제학문포럼 위원장으로 활동하였으며, 현재 하이델베르크 학문 아카데미의 정식회원, 국제 간?학문적 신학연구소 소장, 핀란드 과학과 문학 아카데미 협력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교수자격취득논문 Universalit?t Gottes und Relativit?t der Welt(1981)를 비롯하여 『하나님의 영』(Gottes Geist , 1992), 『성찬식에서 무엇이 일어나는가?』(Was geht vor beim Abendmahl? , 2004), 『하나님의 계시』(Gottes Offenbarung , 2012) 등이 있고, 신학과 자연과학 및 타 학문과의 간?학문적 연구에 관한 수많은 논문과 편집물이 있다.
펼치기
백충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철학 (B.A.)을 전공하고,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교역학 석사 (M.Div.)를 취득했다. 프린스턴신학교에서 조직신학 및 철학적 신학(Th.M.)과 예일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조직신학(S.T.M.)을 전공하였으며, 버클리 연합신학대학원(GTU in Berkeley)에서 조직신학 및 철학적 신학으로 박사학위(Ph.D.)를 받았다. 현재 장로회신학대학교 조직신학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The Holy Trinity - God for God and God for Us(Pickwick Publications),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새물결플러스), 《삼위일체적 평화통일신학의 모색》(나눔사), 역서로는 《이해를 추구하는 신앙 – 기독교조직신학개론》(새물결플러스) 등이 있다.
펼치기
김선권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호남신학대학교(Th.B.), 전남대학교 대학원(M.A.),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대학원(Th.M.), 스트라스부르대학교 개신교신학과(Th.M., Dr.en theol.)에서 철학과 신학을 공부하고 현재 장로회신학대학교 글로컬현장교육원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Union avec Christ chez Calvin: etre sauve et vivre en Christ(『칼뱅의 그리스도와의 연합 : 그리스도 안에서 구원과 삶』), 『칼뱅의 신학적 인간론』의 저서와 『신학방법론』과 『성령론』의 공저 및 “헤르만 바빙크의 신비적 연합”, “몰트만이 말하는 그리스도인의 삶”, “칼뱅과 자연과학”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정대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장로회신학대학교(Th.B.), 샌프란시스코 신학대학원(M.Div.), 버클리 연합신학대학원(Ph.D.)에서 신학, 종교와 과학을 공부하고 현재 숭실대학교 교수, 교목으로 활동하고 있다. “Transhumanism and Theological Anthropology”(NZSTH), “종교의 기원에 관한 진화인류학과 신학의 학제 간 연구 가능성 모색”(대학과 선교), 『신학과 과학의 만남』(공저)을 비롯해 다수의 국내외 학술지 논문들과 공저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본서는 4부로 나누어진다. 1부 “삼위일체와 인간”은 하나님의 삼위일체적 삶과 근대성의 몇몇 사상적 패턴 및 실천 간의 만남을 탐구한다. 2부 “삼위일체와 종교 전통”은 삼위일체 교리가 오늘날의 몇몇 중심적인 교회 및 종교 간 문제들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다. 3부 “삼위일체와 신론”은 하나님의 내적인 삶과 이것이 세계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교의적 성찰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4부 “삼위일체와 역사신학”은 기독교 전통이 오늘날의 삼위일체적 사유에 제공하는 자원들을 비판적으로 탐구하는 데 집중한다.
_서문


단순한 결합과는 달리 친교는 어느 정도의 유사성을 전제한다. 인간과 하나님 사이, 따라서 그리스도인들—그리고 확장하면 모든 인간—이 살아가야 하는 방식과 하나님이 존재하는 방식 사이에는 유사성유사성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본성은 그리스도인의 삶의 특성을 근본적으로 결정한다.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이런 유사성 때문에 산상수훈에서 예수는 불가능하고 낯선 명령처럼 들리는 내용을 말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처럼…되어라”—그리고 따라서 하나님이 행동하시는 것처럼 행동하라(마 5:48).
_1장 하나님처럼 되기


재산은 항상 그것이 인간에게 자유를 제공해줄 것이라고 약속했다. 재산이 있다는 것은 생계를 다른 사람에게 의존하거나 노예로 전락하거나 의뢰인이 되거나 운명에 무방비 상태로 남겨질 가능성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시민사회의 역사에서 재산이 있는 사람들은 자유, 독립, 책임을 지닌다고 여겨졌다. 재산은 자유와 안전을 약속하는 한편 지배하려고 위협하기도 한다. 재산과 지배는 밀접하게 연결된 것처럼 보인다. 재산을 통해 자신의 자유를 획득하고 자신의 미래를 보장하는 사람들은 종종 다른 사람들의 재산을 부정하기 쉽다. 따라서 재산은 남을 지배하려는 위협이 되기도 한다.
결과적으로 재산의 종류에는 질적인 차이가 있다. 생명에 대한 접근인 재산은 재산을 지닌 사람에게 다른 사람들을 생명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배제할 힘을 부여하는 재산과는 엄청나게 다르다. 사람을 독립적으로 만드는 재산은 다른 사람들을 의존적으로 만드는 재산과는 질적으로 다르다. 전자는 인간으로서 자신의 소명을 실현하는 수단이지만 후자는 다른 이들의 인간성과 자신의 인간성을 파괴하는 수단이다. 재산은 생계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삶을 위한 힘과 생계로부터 배제되는 것으로서 죽음을 위한 힘을 모두 의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심오한 모호성을 지닌다.
_2장 사회적 삼위일체와 재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