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무용 > 무용이론/비평/역사
· ISBN : 9788952111326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0-11-30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제1부 기호의 세계, 무용기호학의 정립
01 세계(우주)와 기호, 예술과 기호현상
기호의 세계에 관하여
자연의 피보나치수열과 황금나선형
예술과 기호현상: 예술기호의 숨은 언어(그림) 찾기
02 현대 기호학의 정립
현대 기호학 이론
무용기호학의 방향과 방법론
제2부 무용기호학의 이론과 실제
03 무용 텍스트와 기호
sign, symbol의 차이에 의한 무용언어들
무용기호의 요소
무용기호학의 변별적 영역과 기호현상, 무용 텍스트의 현상
무용 텍스트의 언어학적 해석
무용 텍스트의 소통학적 해석
04 코드와 탈코드화, 그리고 무용 커뮤니케이션
무용기호와 코드화
무용 텍스트의 코드와 탈코드화
탈커뮤니케이션
05 기호학으로 읽어낸 한국 춤 텍스트
기표와 기의에 관한 소쉬르의 기호학 적용: 설장구놀이로부터 춤 변용으로의 텍스트 읽기
퍼스 기호학의 적용방법론
그레마스 기호학의 무용 분석적 적용: 살풀이춤을 중심으로
바르트 기호학을 통한 춤의 신화적 의미 분석: 지전춤을 중심으로
소통언어로의 치환, 춤의 탈커뮤니케이션:살풀이춤을 중심으로...책을 펴내며
제1부 기호의 세계, 무용기호학의 정립
01 세계(우주)와 기호, 예술과 기호현상
기호의 세계에 관하여
자연의 피보나치수열과 황금나선형
예술과 기호현상: 예술기호의 숨은 언어(그림) 찾기
02 현대 기호학의 정립
현대 기호학 이론
무용기호학의 방향과 방법론
제2부 무용기호학의 이론과 실제
03 무용 텍스트와 기호
sign, symbol의 차이에 의한 무용언어들
무용기호의 요소
무용기호학의 변별적 영역과 기호현상, 무용 텍스트의 현상
무용 텍스트의 언어학적 해석
무용 텍스트의 소통학적 해석
04 코드와 탈코드화, 그리고 무용 커뮤니케이션
무용기호와 코드화
무용 텍스트의 코드와 탈코드화
탈커뮤니케이션
05 기호학으로 읽어낸 한국 춤 텍스트
기표와 기의에 관한 소쉬르의 기호학 적용: 설장구놀이로부터 춤 변용으로의 텍스트 읽기
퍼스 기호학의 적용방법론
그레마스 기호학의 무용 분석적 적용: 살풀이춤을 중심으로
바르트 기호학을 통한 춤의 신화적 의미 분석: 지전춤을 중심으로
소통언어로의 치환, 춤의 탈커뮤니케이션:살풀이춤을 중심으로
한국 춤의 의미체계에 관한 화쟁기호학적 접근: 살풀이춤을 중심으로
예술기호로서 춤 텍스트 읽기: 송파산대놀이를 중심으로
06 한국 무용기호학의 방향에 대하여
또 하나의 무용대본, 기록법을 향하여
한국 무용기록법에서 기호학의 부재와 전망
의미와 소통의 기호로서 무용학의 정립 방향
용어해설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무용 동작은 언어로서 의미를 드러낸다. 관객은 춤 기표의 다발을 보고 여러 기의들을 해석하고 의미를 생성하며 서로 소통을 이루고 예술이 선사하는 감동을 받는다. 따라서 무용기호학은 의미의 기호학과 소통의 기호학을 융합한 연구이며, 나아가 예술로서 감동을 주게 되는 심층적 구조에 대해 분석하는 과학이다. 비구두의 동작학적 개념에서 출발한 모든 커뮤니케이션을 수반하는 의미와 소통의 범주는 무용기호학의 중요한 학문적 모태임을 강조한다.
기호학의 미덕은 객관성과 과학성에 있다. 기호학은 언어과학을 바탕으로 객관적이고 명료하게 기호체계를 정립하는 과학이다. 기호학을 응용하여 모호하고 복잡한 무용 동작에 대해 객관적이고 보편타당한 체계를 세울 수 있다. 무용 텍스트의 소통적 탐구는 무용예술에 다소 결여되어 있는 대중적 의미를 불러올 수도 있고, 모방이 창조의 어머니이듯 여러 사람에게 예술적 동기를 부여하는 차원에서도 무용기호학은 소통의 의미에서 접근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예술작품의 경우 안무자의 자리에 관객을 배치하고 텍스트를 주관적으로 해독, 심층적 의미분석을 하는 관객은 능동적 생산자로 변한다. 춤의 기호도 이러한 동작을 통한 외시언어를 의미화하고 함축의미의 메시지를 찾아가며 자유로운 해석을 필요로 하는데, 같은 기호라 할지라도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라 새롭게 변환될 수 있다. 함축언어보다 더 상위적인 개념으로 기호학에서의 ‘메타언어’는 언어를 의미 있고 체계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언어로 대상언어를 넘어서는 상위적 개념의 언어다. 춤에서 기호화는 외시와 함축의미를 드러내고 다시 그 속의 잠재적 언어인 메타언어를 드러내고자 하는 작업으로 바르트가 말한 또 다른 기호를 창출하는 신화의 단계로 파악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