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크리스티안 페촐트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감독/배우
· ISBN : 9788960909595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5-11-15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감독/배우
· ISBN : 9788960909595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5-11-15
책 소개
1994년 장편 데뷔작 〈파일럿〉부터 2023년작 〈어파이어〉까지 페촐트의 필모그래피 전반을 아우른다. 프랑스의 영화평론가 루이즈 뒤마와 함께 6년에 걸쳐 진행한 대화를 바탕으로 독일이라는 역사적 유산, 니나 호스와 파울라 베어를 비롯한 여성 배우와의 협업, ‘이행’과 ‘표류’라는 주제, 스크린과 텔레비전을 오가는 작업 방식 등 페촐트의 영화 세계를 빠짐없이 훑는다.
“그의 영화는 영화의 본질에 가장 가까이 있다”
—영화감독 이창동
크리스티안 페촐트의
말과 글을 담은 국내 첫 책
영화 〈피닉스〉 〈운디네〉 〈어파이어〉 등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은 감독 크리스티안 페촐트의 말과 글을 담은 국내 첫 책, 『크리스티안 페촐트』가 마음산책에서 출간되었다. 크리스티안 페촐트는 동시대 독일영화를 대표하는 인물로, “1989년 이후 독일에서 가장 주목받는 감독”(《센시스 오브 시네마》)으로 평가받아왔다. 빔 벤더스,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 베르너 헤어초크를 잇는 독일 작가영화의 계승자인 그는 한국에서도 다수의 특별전을 통해 소개되며 예술영화 팬들의 지지를 얻었다.
이 책 『크리스티안 페촐트』는 1994년 장편 데뷔작 〈파일럿〉부터 2023년작 〈어파이어〉까지 페촐트의 필모그래피 전반을 아우른다. 프랑스의 영화평론가 루이즈 뒤마와 함께 6년에 걸쳐 진행한 대화를 바탕으로 독일이라는 역사적 유산, 니나 호스와 파울라 베어를 비롯한 여성 배우와의 협업, ‘이행’과 ‘표류’라는 주제, 스크린과 텔레비전을 오가는 작업 방식 등 페촐트의 영화 세계를 빠짐없이 훑는다. 각 장 마지막에는 감독 페촐트가 직접 쓴 에세이가 실려 그의 정치·사회·미학적 관점을 더 깊이 확인할 수 있으며, 60여 장의 사진 자료가 페촐트의 영화 세계를 한눈에 이해하도록 돕는다.
“영화는 상실을 의식하고
주제로 삼을 때 도약할 수 있습니다”
크리스티안 페촐트는 독일영화사의 계보에서 ‘베를린파’의 대표적인 인물로 꼽힌다. 1980년대 말 베를린장벽이 무너지면서 독일영화계에는 미국영화를 모방하려는 작품들이 등장한다. 홀로코스트라는 거대한 사건과 그로부터 물려받은 죄의식을 외면하려 했던 일련의 영화들과 달리, 2000년대 초반에 등장한 베를린파 시네아스트들은 할리우드 주류영화와는 다른 ‘독일적인’ 주제에 천착한다.
그중에서도 크리스티안 페촐트는 “독일의 주류영화들이 독일을 배경으로 삼는 일을 부끄러워”한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의식하는 감독이다. 페촐트에게 “영화는 미래이지만 항상 과거를” 보는 예술로, 과거를 직면하고 폐허로부터 미래를 재구성하는 것은 그의 영화가 수행하는 핵심적인 과제가 된다. 『크리스티안 페촐트』는 페촐트가 독일 남성 시네아스트로서 자신의 기원과 그가 서 있는 자리에 대해 얼마나 깊이 고민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저는 독일인이고 1960년대 초에 태어났습니다. 이건 상상할 수 있는 가장 거대한 억압의 이야기 속에서 제가 성장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어마어마한 잘못, 독일 파시즘이라는 심연이 있었죠. 사람들은 이 잘못된 역사를 억누르려고 했어요. 저는 영화를 통해 그 기원으로 거슬러 가보려고 하죠.
_「독일의 광경(들)」에서
망명 이후 표류하는 영화,
색채를 지닌 누아르
국제 영화 팬들에게 잘 알려진 페촐트의 대표작을 비롯해, 국내에는 아직 생소한 텔레비전영화, 드라마 시리즈까지 아울러 페촐트의 필모그래피를 관통하는 키워드는 ‘표류’와 ‘이행’일 것이다. 그의 인물들은 “범죄를 저지르고 도주 중이거나(〈파일럿〉 〈볼프스부르크〉), 망명 중이거나(〈내가 속한 나라〉 〈바바라〉 〈트랜짓〉), 환상 속 장소를 동경하거나(〈쿠바 리브레〉), 너무 잔인한 현실을 부정(〈피닉스〉)”하며 표류한다. 페촐트가 보여주는 표류라는 모티프는 교통사고 직후 모르는 여성의 집에서 머무는 시간을 다룬 최신작 〈미러 넘버 3〉까지 이어진다.
책에서 페촐트는 “우리 모두는 표류하는 것, 표류하는 자신을 발견하는 것, 선을 벗어나는 것”을 두려워하는 동시에 열망한다고 말한다. 일상으로부터 벗어난 표류는 인물이 잊었던 열망을 발견하고 페촐트 영화의 이야기가 시작되는 순간이다.
등장인물의 몰락을 다룬 이 작품들을 열렬히 읽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러한 인물들은 몰락하는 과정에서 전소되는데 우리는 그 불씨를 통해 우리 자신을 따뜻하게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조언이 아니라 따뜻함을 찾고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제가 표류의 본질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_「기원에서」에서
‘표류’의 모티프는 페촐트가 독일영화사 안에서 자신을 위치시키는 방식과도 연결된다. 나치 집권 시기 독일을 떠나 할리우드에서 작업을 계속했던 프리츠 랑, 에드가 울머 등의 독일계 영화감독들은 “망명의 경험이 깊게 밴”, 강한 대비의 흑백 명암이 특징적인 영화 장르 필름누아르를 창안한다. 페촐트는 그러한 계보를 잇는 자신의 영화를 “색채를 지닌 누아르”로 명명한다. 이 책에는 망명과 이행, 표류와 상실을 관찰하는 영화로 미래를 쇄신하려는 감독의 생생한 열망이 가득하다.
—영화감독 이창동
크리스티안 페촐트의
말과 글을 담은 국내 첫 책
영화 〈피닉스〉 〈운디네〉 〈어파이어〉 등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은 감독 크리스티안 페촐트의 말과 글을 담은 국내 첫 책, 『크리스티안 페촐트』가 마음산책에서 출간되었다. 크리스티안 페촐트는 동시대 독일영화를 대표하는 인물로, “1989년 이후 독일에서 가장 주목받는 감독”(《센시스 오브 시네마》)으로 평가받아왔다. 빔 벤더스,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 베르너 헤어초크를 잇는 독일 작가영화의 계승자인 그는 한국에서도 다수의 특별전을 통해 소개되며 예술영화 팬들의 지지를 얻었다.
이 책 『크리스티안 페촐트』는 1994년 장편 데뷔작 〈파일럿〉부터 2023년작 〈어파이어〉까지 페촐트의 필모그래피 전반을 아우른다. 프랑스의 영화평론가 루이즈 뒤마와 함께 6년에 걸쳐 진행한 대화를 바탕으로 독일이라는 역사적 유산, 니나 호스와 파울라 베어를 비롯한 여성 배우와의 협업, ‘이행’과 ‘표류’라는 주제, 스크린과 텔레비전을 오가는 작업 방식 등 페촐트의 영화 세계를 빠짐없이 훑는다. 각 장 마지막에는 감독 페촐트가 직접 쓴 에세이가 실려 그의 정치·사회·미학적 관점을 더 깊이 확인할 수 있으며, 60여 장의 사진 자료가 페촐트의 영화 세계를 한눈에 이해하도록 돕는다.
“영화는 상실을 의식하고
주제로 삼을 때 도약할 수 있습니다”
크리스티안 페촐트는 독일영화사의 계보에서 ‘베를린파’의 대표적인 인물로 꼽힌다. 1980년대 말 베를린장벽이 무너지면서 독일영화계에는 미국영화를 모방하려는 작품들이 등장한다. 홀로코스트라는 거대한 사건과 그로부터 물려받은 죄의식을 외면하려 했던 일련의 영화들과 달리, 2000년대 초반에 등장한 베를린파 시네아스트들은 할리우드 주류영화와는 다른 ‘독일적인’ 주제에 천착한다.
그중에서도 크리스티안 페촐트는 “독일의 주류영화들이 독일을 배경으로 삼는 일을 부끄러워”한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의식하는 감독이다. 페촐트에게 “영화는 미래이지만 항상 과거를” 보는 예술로, 과거를 직면하고 폐허로부터 미래를 재구성하는 것은 그의 영화가 수행하는 핵심적인 과제가 된다. 『크리스티안 페촐트』는 페촐트가 독일 남성 시네아스트로서 자신의 기원과 그가 서 있는 자리에 대해 얼마나 깊이 고민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저는 독일인이고 1960년대 초에 태어났습니다. 이건 상상할 수 있는 가장 거대한 억압의 이야기 속에서 제가 성장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어마어마한 잘못, 독일 파시즘이라는 심연이 있었죠. 사람들은 이 잘못된 역사를 억누르려고 했어요. 저는 영화를 통해 그 기원으로 거슬러 가보려고 하죠.
_「독일의 광경(들)」에서
망명 이후 표류하는 영화,
색채를 지닌 누아르
국제 영화 팬들에게 잘 알려진 페촐트의 대표작을 비롯해, 국내에는 아직 생소한 텔레비전영화, 드라마 시리즈까지 아울러 페촐트의 필모그래피를 관통하는 키워드는 ‘표류’와 ‘이행’일 것이다. 그의 인물들은 “범죄를 저지르고 도주 중이거나(〈파일럿〉 〈볼프스부르크〉), 망명 중이거나(〈내가 속한 나라〉 〈바바라〉 〈트랜짓〉), 환상 속 장소를 동경하거나(〈쿠바 리브레〉), 너무 잔인한 현실을 부정(〈피닉스〉)”하며 표류한다. 페촐트가 보여주는 표류라는 모티프는 교통사고 직후 모르는 여성의 집에서 머무는 시간을 다룬 최신작 〈미러 넘버 3〉까지 이어진다.
책에서 페촐트는 “우리 모두는 표류하는 것, 표류하는 자신을 발견하는 것, 선을 벗어나는 것”을 두려워하는 동시에 열망한다고 말한다. 일상으로부터 벗어난 표류는 인물이 잊었던 열망을 발견하고 페촐트 영화의 이야기가 시작되는 순간이다.
등장인물의 몰락을 다룬 이 작품들을 열렬히 읽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러한 인물들은 몰락하는 과정에서 전소되는데 우리는 그 불씨를 통해 우리 자신을 따뜻하게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조언이 아니라 따뜻함을 찾고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제가 표류의 본질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_「기원에서」에서
‘표류’의 모티프는 페촐트가 독일영화사 안에서 자신을 위치시키는 방식과도 연결된다. 나치 집권 시기 독일을 떠나 할리우드에서 작업을 계속했던 프리츠 랑, 에드가 울머 등의 독일계 영화감독들은 “망명의 경험이 깊게 밴”, 강한 대비의 흑백 명암이 특징적인 영화 장르 필름누아르를 창안한다. 페촐트는 그러한 계보를 잇는 자신의 영화를 “색채를 지닌 누아르”로 명명한다. 이 책에는 망명과 이행, 표류와 상실을 관찰하는 영화로 미래를 쇄신하려는 감독의 생생한 열망이 가득하다.
목차
서문 | 루이즈 뒤마
독일의 광경(들)
첫 번째 대화
환생의 땅의 좀비들 | 크리스티안 페촐트
생존자
두 번째 대화
부정한 여인 | 크리스티안 페촐트
이행
세 번째 대화
모노폴: 졸링엔 | 크리스티안 페촐트
예술가와 장인
네 번째 대화
중재 회의 | 크리스티안 페촐트
기원에서
다섯 번째 대화
감옥에 갇힌 아이 | 크리스티안 페촐트
결론 | 루이즈 뒤마
옮긴이의 말
연보
필모그래피
찾아보기
리뷰
jul*
★★★★★(10)
([100자평]영화스틸컷 모두 올컬러고 내용 알차다. 한가지 아쉬운 ...)
자세히
박종*
★★★★★(10)
([100자평]감독님의 작품들을 좋아해서 극장에서 할때마다 재관람까지...)
자세히
gon**
★★★★★(10)
([100자평]페촐트 영화를 열심히 보던 관람자라면 너모 기대할 수밖...)
자세히
임류*
★★★★★(10)
([100자평]좋아하는 감독이라 책이 나올 수 있어 기쁩니다. 이나라...)
자세히
Swi**
★★★★★(10)
([100자평]크리스티안 페촐트 감독의 영화를 연달아 봤어요. 집으로...)
자세히
Mir***
★★★★★(10)
([100자평]정말 정말 기대됩니다.)
자세히
세베루*
★★★★★(10)
([100자평]피닉스밖에 안 봤지만 어쩔 수 없다. 선 책구매 후 영...)
자세히
지*
★★★★★(10)
([100자평]크리스티안 펫졸트 감독을 알게 된 건 코로나 시절이었다...)
자세히
조*
★★★★☆(8)
([100자평]현재 대한민국에서 가장 주목받는 독일 감독 크리스티안 ...)
자세히
책속에서
오래된 것, 신화적인 것, 비밀스러운 것은 그 지하 밑바닥에 깔려 있다. 영화는 이런 것을 훌륭하게 보여준다.
어느 날 그가 여러 인터뷰를 하는 것을 들었는데, 저와 비슷한 질문을 받더군요. “왜 당신의 주인공은 거의 항상 여성인가요?” 그러자 샤브롤은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남자는 살고, 여자는 살아남죠. 영화는 살아남으려고 하는 사람들에게 관심을 기울여요.”
그들은 시나리오가 순수한 교환가치를 갖는다고 믿었던 거다. 이 믿음은 형편없는 영화를 낳았다. 이 역시, 미국영화란 것이기도 하다.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