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문화인류학

문화인류학

(개정판)

김광억, 한상복, 이문웅 (지은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0% 0원
900원
17,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문화인류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문화인류학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고고학/인류학
· ISBN : 9788952112408
· 쪽수 : 596쪽
· 출판일 : 2011-09-20

책 소개

문화의 보편성과 다양성의 설명과 더불어 한국의 사회와 문화의 특성을 이해하는 시각의 소개를 시도한 책이다. 단순하고 미개한 사회나 전통문화를 취급하더라도 이를 현대사회의 문화현상과 사회문제를 보는 시각과 연관시켰다. 그리고 단순한 지식의 전달이 아니라 인류학적 사고방식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백과사전식 지식 및 이론 나열을 지양하고 인류학을 공부하기 시작한 사람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요소에 충실했다.

목차

개정판을 내면서 / v
초판 머리말 / viii

제1장 문화인류학의 개요 1
1. 인류학의 일반적 특성 / 2
1) 인류학이라는 학문 2
2) 인류학의 분야들과 연구방법 6
2. 문화인류학의 연구과제와 사회적 공헌 / 13
1) 문화인류학의 중심과제 13
2) 문화인류학과 현대사회 16
3) 문화인류학의 전공과 진로 20
3. 문화인류학의 방법 / 22
1) 문화인류학의 관점 22
2) 현지조사와 자료수집 26
3) 자료의 분석과 이론의 형성 32

제2장 인류학의 발달 39
1. 인류학의 성격변화 / 40
1) 지적 환상과 편견에서의 해방 40
2) 미개사회와 현대사회 41
3) 다른 문화 연구와 자기 문화 연구 43
4) 제도의 연구와 의미의 연구 47
2. 인류학의 이론과 방법의 발달 / 48
1) 19세기 인류학과 진화주의 48
2) 진화주의의 개념과 비판 52
3. 20세기 초반: 인류학의 다양화 / 54
1) 보아즈와 역사적 특수주의 54
2) 전파주의 55
3) 뒤르껭과 사회인류학의 기초 57
4. 20세기 중반: 이론의 체계화와 경험주의 방법론의 확립 / 60
1) 말리놉스키와 기능주의 61
2) 레드클리프-브라운과 구조기능주의 63
3) 구조기능주의에 대한 비판 65
5. 현대의 인류학 / 66
1) 레비-스트로스와 구조주의 66
2) 신진화주의 67
3) 상징주의 69
4) 마르크시스트 인류학 70

제3장 문화의 개념 73
1. 문화의 뜻 / 74
1) 생활양식으로서의 문화 74
2) 총체론적 견해 75
3) 관념론적 견해 78
2. 문화의 속성 / 80
1) 문화는 공유된 것이다 81
2) 문화는 학습된 것이다 82
3) 문화는 축적된 것이다 83
4) 문화는 하나의 전체를 이루고 있다 84
5) 문화는 항상 변한다 86
3. 문화의 구성 / 88
1) 체계로서의 문화 88
2) 문화특질 89
3) 문화복합 91
4) 하위문화  92
4. 인간과 문화 / 93
1) 문화의 다양성 93
2) 문화의 초유기체성 96

제4장 인류의 진화와 문화의 발달 99 1. 인류와 문화의 진화원리 / 100
1) 인류의 진화원리 100
2) 문화의 진화원리 101
2. 인류의 등장 / 102
1) 드리오피테쿠스의 진화 102
2)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도구사용 105
3. 초기 인류와 구석기문화 / 107
1) 호모 에렉투스의 진화와 전기 구석기문화 107
2) 네안데르탈인의 중기 구석기문화 109
3)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의 후기 구석기문화 112
4. 신석기시대의 혁명과 고대문명의 출현 / 115
1) 신석기시대의 혁명 115
2) 고대문명의 출현 117

제5장 혼인과 가족 119 1. 성과 혼인 / 120
1) 성의 규제 120
2) 근친상간금제(禁制) 123
3) 혼인의 정의 129
4) 혼인의 기능 133
2. 혼인규정 / 135
1) 배우자의 선택 135
2) 외혼과 내혼 137
3) 이차적 혼인 138
3. 혼인형태 / 140
1) 일부일처제 140
2) 일부다처제 142
3) 일처다부제 144
4. 가족 / 146
1) 가족의 개념 146
2) 가족의 형태 148
3) 거주율 153

제6장 친 족 159
1. 친족의 개념과 범위 / 160
1) 혈족과 인척 160
2) 친족의 의미 161
3) 친족의 범위 162
2. 친족체계 / 166
1) 출계율 166
2) 단계와 양계 167
3) 부계율 169
4) 모계율 170
5) 선계율 173
6) 이중출계율 175
3. 친족집단의 조직과 기능 / 177
1) 혼인과 출계집단 177
2) 반족 178
3) 단계집단의 여러 형태 182
4) 단계집단의 기능 183
4. 친족용어 / 186
1) 하와이형 친족용어 188
2) 이로꼬이형 친족용어 189
3) 에스키모형 친족용어 190
4) 우리나라의 친족용어 191

제7장 사회조직 195
1. 성(性)에 의한 구분 / 196
1) 성에 따른 역할분담 196
2) 성에 따른 조직체 198
3) 성차와 문화 200
2. 연령에 의한 구분 / 201
1) 연령에 대한 문화적 관념 201
2) 성인식과 연령집단 202
3) 복합사회의 연령집단 206
3. 등급?위계?계층 / 207
1) 등급 207
2) 위계 209
3) 계층 211
4. 카스트 / 212
1) 카스트와 문화 212
2) 현대사회와 카스트 214
5. 이원적 분화 / 217
6. 결사 / 220
1) 사회변동과 결사체 220
2) 비밀결사 226

제8장 경제체계 231
1. 경제에 대한 인류학적 관심 / 232
1) 인류학자들의 경제연구 232
2) 실재론과 형식론의 접근 235
2. 생산 / 240
1) 생산의 의미 240
2) 생산의 결정 243
3) 생산의 요소 246
3. 분배와 교환 / 248
1) 사회 내의 분배와 교환 249
2) 사회 간의 교역 255
4. 이용과 소비 / 259
1) 자원의 이용과 저축 260
2) 재산과 부의 이용 263
3) 소비의 유형과 규범 265

제9장 정치와 법 269
1. 정치의 개념 / 270
1) 제도적 차원에서의 정치 270
2) 행위의 차원에서의 정치 271
3) 권력?권위?불평등 272
2. 정치의 여러 차원 / 274
1) 정치제도 및 조직 274
2) 정치영역 288
3) 정치과정 289
3. 비정치적 영역의 정치적 측면 / 294
1) 친족제도와 정치 294
2) 경제와 정치 295
3) 종교와 정치 298
4. 법과 사회통제 / 302
1) 법의 개념과 종류 302
2) 법적 제재의 대상 305
3) 사회통제의 종류 308
4) 제재의 형식과 과정 309

제10장 문화와 종교 315
1. 종교에 대한 인류학적 접근 / 316
1) 종교의 개념 316
2) 종교의 다양성과 보편성 317
2. 종교연구의 대상 / 319
1) 초자연적 존재에 대한 개념 319
2) 주술?마술?요술 322
3) 의례의 과정과 내용 324
4) 신과 인간의 중개자 328
3. 종교연구의 여러 관점 / 330
1) 진화론적 관점 330
2) 심리학적 해석 332
3) 사회학적 관점 334
4) 생태학적 접근 337
5) 지식의 체계화 339
6) 상징체계의 이해 341
4. 종교운동 / 343
1) 천년왕국운동 343
2) 유령춤 346
3) 하물의식 348
4) 문화변동과 종교 350

제11장 문화와 인성 359
1. 인성의 결정요인 / 360
1) 생물학적 요인 360
2) 자연환경 362
3) 개인 고유의 경험 362
4) 문화적 요인 363
2. 인성의 형성과정 / 364
1) 육아양식 364
2) 문화화 366
3) 교육 368
3. 사회적 인성과 국민성 / 370
1) 기본적 인성 370
2) 최빈 인성 372
3) 사회적 인성 373
4) 국민성 375
5) 이상적 인성유형 377

제12장 문화와 언어 383
1. 인간.언어.문화 / 384
1) 언어의 연구 385
2) 언어의 다양성 387
2. 통신전달 / 388
1) 동물의 통신전달 390
2) 언어의 기원 391
3) 언어습득의 과정 392
3. 언어의 구조 / 393
1) 음소(音素)와 음성학 394
2) 형태소(形態素).형태론(形態論).통사론(統辭論) 395
3) 변형문법 396
4. 언어의 변화와 변이 / 398
1) 역사언어학 398
2) 사회언어학 400
3) 호칭체계 402
5. 언어와 사고 / 404
1) 언어의 구속력 404
2) 사피어-워프의 가설 405

제13장 문화와 예술 409
1. 예술의 개념 / 410
2. 예술의 의미 / 411
3. 예술의 여러 분야 / 414
1) 신체의 장식 414
2) 회화 417
3) 음악 418
4) 무용 421
5) 복식 422
6) 문학 422
7) 문화변동과 예술 424

제14장 문화와 환경 427
1. 환경과 생태학의 개념들 / 428
1) 환경의 여러 측면 428
2) 생태학과 생태계 430
3) 생물학과 사회과학에 있어서 생태학이론의 비교 435
2. 인류학의 생태학적 접근방법 / 437
1) 결정론적 접근방법 437
2) 문화생태학적 접근방법 439
3) 문화생태학의 시행모델 442
4) 농촌과 어촌의 생태적 비교 446
3. 자원.인구.전쟁 / 450
1) 기술과 환경 및 식량자원 450
2) 인구 압력과 자원경쟁 459
3) 인구와 전쟁 460
4. 인간생태학의 과제와 한계 / 464
1) 인간생태학의 과제 464
2) 인간생태학의 한계와 전망 466

제15장 문화 변동 469
1. 문화과정과 문화변동 / 470
2. 문화변동의 과정 / 472
1) 발명과 발견 472
2) 전파 474
3) 문화접변 476
3. 문화의 진화 / 479
1) 초기의 진화론 480
2) 단선진화와 다선진화 482
3) 특수진화와 일반진화 484
4) 문화진화의 에너지이론 487

제16장 응용인류학 491
1. 응용인류학의 성격 / 492
1) 응용인류학의 성립배경 492
2) 자본주의체제에서의 응용인류학 495
3) 사회주의체제에서의 계획적 변화 497

2. 발전문제와 인류학 / 500
1) 지역개발과 문화 500
2) 발전의 정책과 사업수행 504
3) 근대화작업과 제3세계 506
4) 농촌발전과 문화 509
3. 보건.의료 문제와 인류학 / 512
1) 건강.질병.죽음과 문화 513
2) 진단과 문화 514
3) 질병의 분류와 치료 515
4) 질병의 치료자와 환자의 관계 516
5) 생활양식과 풍토병 518
4. 도시문제와 인류학 / 519
1) 도시인류학의 시각 520
2) 도시화와 이주문제 522
3) 도시의 적응전략 523
4) 도시빈곤문제 525
5. 개발사업에 따른 인류학적 문제 / 527

참고문헌 / 533

찾아보기 / 561

저자소개

김광억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졸업(독문학 및 인류학), 영국 옥스퍼드대학 석사 및 박사(사회인류학).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교수, 하버드대학·베이징대학 강좌교수, 연세대학교 용재석좌교수 역임.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및 중국산둥대학 특임일급교수. 한국과 중국의 사회와 문화 전공. 『혁명과 개혁 속의 중국 농민』, 『문화의 정치와 지역사회의 권력구조』, 『문화의 다학문적 접근』 등 많은 저서와 논문이 있다.
펼치기
김광억의 다른 책 >
한상복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및 대학원 사회학과 학사와 석사, 미국 Michigan주립대학교 대학원 인류학과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고고인류학과 교수(1967-75),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교수(1975-2000), 미국 Stanford대학교 인류학과 객원교수(1993-94)를 역임하였고, 2000년부터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문화와 경제행위, 문화생태학, 응용인류학 등이며, 한국의 산촌, 어촌, 농촌, 도시에서 현지조사를 했다. 주요 저서로는 Life in Urban Korea (공저 1971), Korean Fishermen (1977), Asian Peoples and Their Cultures (편저 1986), 『평창 두메산골 50년』(2011) 등이 있다.
펼치기
이문웅 (옮긴이)    정보 더보기
울산 출생(1941).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회학과(학사, 석사)를 졸업했다. 미국 라이스대학에서 문화인류학을 전공하고, 북한의 사회문화적 변동 연구로 박사학위(1975)를 받았다. 미국 국립자연사박물관(Museum of Natural History, Smithsonian Institution)에서 연구원(Research Associate)을 역임했고, 1977년부터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교수로 재직하다 2006년 8월에 정년퇴직했다. 1990년부터 1994년까지 한국문화인류학회 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저서로는 Rural North Korea Under Communism: A Study of Sociocultural Change(Rice University Studies, 1976), 『식민지 조선의 농촌사회와 농업경제』(편저, 2008) 등이 있고, 역서로는 『법인류학』(포스피실, 1992), 『문화과학』(화이트, 2002)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한국사회에 있어서 호혜관계의 몇 가지 측면」(1977), 「재일 한인 사회에 있어서의 문화접변」(2000), 「일본 도시부문에서의 지역활성화 운동에 대한 연구」(2001), 「정보화를 통한 지역활성화 운동의 전개」(2005) 등이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