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세권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사학과와 대학원, 단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를 졸업했으며 안동대학교 사학과에서 1981년부터 2013년까지 교수로 재직했다. 고고학을 전공했고 주 연구분야는 한국과 동북아시아 선사암각화이다. 1992년 이후 약 20여 년에 걸쳐 중국, 러시아, 몽골 등 동북아시아 지역의 선사암각화를 조사했다. 또 미국 로스앤젤레스 소재의 캘리포니아 대학교에 방문교수로 가 있는 동안 미국 서남부 지역의 암각화를 조사한 바 있다.
한국 금석학에도 관심을 갖고 연구 결과를 발표했으며, 안동 지역에 거주하는 동안 안동 지역사와 전통 마을에도 관심을 쏟아 논문과 책을 발표했다. 중국 후이저우(徽州) 지역에도 관심을 가지고 2004년부터 최근까지 후이저우의 마을 조사를 지속적으로 해나가고 있다.
퇴직 후 그동안 취미로 즐겼던 사진을 두 번째 직업으로 삼았다. 2013년 9월 '사진갤러리 유안사랑'을 개설하고 사진 전시와 교육을 계속하고 있으며, 그동안 촬영했던 사진 자료들을 정리하고 있다. 정리한 자료들을 출간하기 위해 유안사랑 출판사를 설립했다.
저서로는 <한국의 암각화> 등 암각화 관련 연구서와 <한국금석문집성>, <원이 엄마>, <후이저우 이야기>, <안동의 전탑> 등이 있다.
펼치기
이문웅 (옮긴이)
정보 더보기
울산 출생(1941).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회학과(학사, 석사)를 졸업했다. 미국 라이스대학에서 문화인류학을 전공하고, 북한의 사회문화적 변동 연구로 박사학위(1975)를 받았다. 미국 국립자연사박물관(Museum of Natural History, Smithsonian Institution)에서 연구원(Research Associate)을 역임했고, 1977년부터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교수로 재직하다 2006년 8월에 정년퇴직했다. 1990년부터 1994년까지 한국문화인류학회 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저서로는 Rural North Korea Under Communism: A Study of Sociocultural Change(Rice University Studies, 1976), 『식민지 조선의 농촌사회와 농업경제』(편저, 2008) 등이 있고, 역서로는 『법인류학』(포스피실, 1992), 『문화과학』(화이트, 2002)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한국사회에 있어서 호혜관계의 몇 가지 측면」(1977), 「재일 한인 사회에 있어서의 문화접변」(2000), 「일본 도시부문에서의 지역활성화 운동에 대한 연구」(2001), 「정보화를 통한 지역활성화 운동의 전개」(2005) 등이 있다.
펼치기
김기덕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6년생. 건국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건국대학교 대학원에서 「고려 봉작제(封爵制) 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사 가운데 주로 고려시대 왕족을 연구하였으며, 이후 오행사상·풍수사상으로 연구범위를 넓혔다. 한편 디지털기술의 전개와 관련하여 일찍이 영상에도 관심을 가져 ‘영상역사학’을 제창하였으며, 나아가 인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생적 결합을 의미하는 ‘인문콘텐츠’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인문콘텐츠학회’를 결성하는 데에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인문콘텐츠학회 회장, 전국대학문화콘텐츠학과협의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건국대학교 문과대학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로 있다. 지은 책으로는 『고려시대 봉작제 연구』(청년사, 1998), 『한국인의 역사의식』(공편, 청년사, 1999), 『우리 인문학과 영상』(책임편집, 푸른역사, 2002), 『문화콘텐츠입문』(공저, 북코리아, 2005), 『영상역사학』(생각의나무, 2005), 『인문학과 문화콘텐츠』(공저, 다할미디어, 2006), 『한국전통문화와 문화콘텐츠』(북코리아, 2007), 『인문콘텐츠의 사회적 공헌』(공저, 북코리아, 2013), 『한국문화와 콘텐츠』(한국문화사, 2016) 등이 있다. 한편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온 풍수사상을 동양의 문화원형의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으며, ‘한울생명풍수연구원’을 운영하고 있다(홈페이지: hanulpoongsoo.com).
펼치기
김덕묵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저자는 대학에서 역사학을 전공하였으며 민속학으로 석사·박사과정을 졸업한 후 대학에서‘ 민속기록학과 지역공동체’ 등을 강의하고 있다. 민속기록학, 민속학, 무속학, 문화재학, 문화콘텐츠학 등 관심분야가 넓은 편이며 민속기록학회와 샤머니즘사상연구회의 이사와 총무를 하면서 학회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또한 민속기록학의 사회적 역할을 위해 지역기록화와 지역 아카이브 설립, 지역문화 활성화 등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살기 좋은 지역공동체, 인문학적 정신이 풍부한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저서로는 『민속종교 연구방법론』, 『전국의 기도터와 굿당』(전 3권)이 있으며 『우리 인문학과 영상』 등 다수의 공저와 「한국민속학의 위상과 전문성 강화를 위한 개론서 집필 방향」, 「유교의례와 무속의례의 친 연성」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김현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0년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서어서문학과 철학을 공부했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에서 영상사회학과 문화정책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에서 영상사회학을 강의했고, 서울여성영화제, 미디어센터 미디액트,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등에서 영화제 기획 및 여러 조사연구 직업을 해왔다. 2005년 현재 아주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대우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