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52115737
· 쪽수 : 624쪽
· 출판일 : 2014-07-3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들어가며: 일제 식민농정사 주체적 읽기
제1부 메이지 일본의 한국 식민론
1장 인구 · 식량 문제에 빠진 일본의 선택
1. 인구증가와 식량 부족
2. 만주 · 한국 이민 집중책
2장 신흥제국 일본에서 본 한국 농업
1. 한국 농업 실태조사
2. 이주식민론과 토지투자 식민론
3. 농업식민의 장애
제1부 요지
제2부 농업식민화와 토지수호운동
3장 을사늑약 이후 토지침탈 합법화
1. 부동산 등기제도 근대화를 둘러싼 갈등
2. 토지침탈 합법화와 국유미간지 대부
4장 일본 농민 이주식민의 장려
1. 일본 지주 · 자본가 주도의 이주식민 장려
2. 동양척식주식회사 설립
5장 한국사회의 대응과 식민지주제의 이식
1. 한국사회의 반발과 토지수호운동
2. 이주식민의 부진과 식민지주제의 이식
제2부 요지
제3부 지주 위주 법제와 농민운동
6장 경술국치 이후 소작관계 법제화
1. 식민정책 기조의 수정
2. 민법을 이용한 소작관계 법제화
7장 소유권 절대화와 초기 소작대책
1. 소유권 절대화와 토지의 상품화
2. 농사개량을 위한 초기 소작대책
8장 지주제의 발전과 농민운동의 일상화
1. 지주경영의 강화와 지주제의 발전
2. 농민의 각성과 농민운동의 일상화
9장 소작쟁의 탄압과 행정적 쟁의조정
1. 소작쟁의 탄압과 관변단체 활용
2. 소작관행 개선 행정명령과 소작관 배치
제3부 요지
제4부 농촌 위기와 사회개량화
10장 대공황 전후 '사회혁명적' 정세와 위기의식
1. 대공황과 농가경제의 파탄
2. 농민운동의 고양
3. 체제 위기의식과 식민정책 기조의 전환
11장 전시효과를 기대한 자작농지 설정
1. 조선총독부의 자작농지 설정
2. 금융조합의 자작농지 설정
12장 일제 본국보다 앞선 소작법
1. 소작조정령과 사법적
2. 소작법 제정을 둘러싼 갈등
3. 소작법=조선농지령 시행과 소작위원회
13장 농민운동 개량화와 지주제의 둔화
1. 농민운동 개량화
2. 농민층의 상대적 안정화
3. 지주제의 둔화와 금융자본의 지배
제4부 요지
제5부 전쟁 총동원과 농업 통제.재편
14장 전시 농업 위기와 통제
1. 농업 위기와 식량 · 노동력 · 가격 통제
2. 소작관계 및 농지 관리 · 가격 통제
3. 증산을 위한 자작농지 설정의 확대
15장 농촌 · 지주제 재편 시도와 식민농정의 파탄
1. 농촌재편 계획과 소농제 안정화 구상
2. 지주제 재편 시도와 식민지주제의 확대
3. 농민저항과 통제 위주 식민농정의 파탄
제5부 요지
나오며: 식민지 수탈론 · 식민지 근대화론 · 탈근대론을 넘어
후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