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근대와 식민지 근대화 논쟁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근대개화기
· ISBN : 9788994079554
· 쪽수 : 531쪽
· 출판일 : 2011-09-29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근대개화기
· ISBN : 9788994079554
· 쪽수 : 531쪽
· 출판일 : 2011-09-29
책 소개
역사학자 정연태의 역사서. 저자는 식민지 근대화 논쟁에 참여한 1990년대 말 이래 한국근대사 인식의 방향과 시각을 새롭게 모색하고 한국사회 근대화의 특성을 구명하는 데 관심을 기울여 왔다. 이 책은 식민지수탈론에서 식민지근대화론, 그리고 탈근대화론에 이르기까지 지금까지 전개된 식민지 근대화 논쟁을 정리.비판하고 한국 근대 역사상을 새롭게 구성하고자 모색한 책이다.
목차
책 머리에
제1부 인식의 갈등
1. 식민지 근대화 논쟁의 전개
2. 논쟁의 진전과 탈근대론의 등장
3. 근대사 교육의 갈등과 한일 역사 교과서
4. 식민지 근대화론의 과장
제2부 타자의 시선
1. 조선의 발전 잠재력과 상대적 정체
2. 나약한 개명군주 고종의 근대화 추구
3. 폭정과 잠재력 성장의 식민지기
제3부 식민지적 근대의 초상
1. 지역사회를 통해 본 식민지적 근대성
2. 식민지 지역사회의 중층적 이해관계
3. 식민지적 근대의 굴절과 역동성
책 마무리에
장별 원전 목록
주석
ABSTRACT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 이상의 논지를 간략히 줄이면, 식민지 근대화론자들은 한국농업에 대한 불충분하거나 잘못된 인식을 토대로 19세기 한국농업의 위기와 19세기 말 이래 식민지적 성장 계기를 실제 이상으로 과장해 대비하는 부조적 수법을 취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조선 후기의 발전상을 과장해 일제의 수탈상과 대비시켰던 식민지 수탈론의 방식, 이른바 부조적 수법을 역으로 대입한 것이다.
이런 점에서 식민지 근대화론의 거시 역사상 구축 시도를 높이 평가하면서도 적지 않은 거부감을 갖는다.”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