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일본 민주당정권의 성공과 실패

일본 민주당정권의 성공과 실패

박철희, 박영준, 김경주, 심미정, 조양현, 최희식 (지은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1,250원
23,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5,000원 -10% 1250원 21,250원 >

책 이미지

일본 민주당정권의 성공과 실패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일본 민주당정권의 성공과 실패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88952115843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4-05-25

책 소개

'SNU일본연구총서' 6권. 민주당정권은 일본정치사에서 무엇이었나? 민주당이 이루고자 했던 정치적 목표는 무엇이었고, 정책적 목표들을 어떻게 풀어 가고자 했는가? 민주당은 무엇을 이루어내었고, 무엇에 실패하였나? 이러한 질문들에 답하고자 하는 것이 이 책의 주된 관심사이다.

목차

머리말

제1부 민주당과 국내 정치 역학

제1장 일본 민주당의 정책대립축 이행과 정당 간 경쟁의 역전

I. 서론
II. 2009년 총선 승리: 반(反)자민당 노선 제시에 의한 대안정당화의 성공
III. 민주당 공약 수정과 2010년 참의원 패배
IV. 간 내각의 반(半)자민당화와 민주당의 딜레마
V. 동일본대지진의 발생, 간(菅) 내각의 대연립 시도와 당내 분열
VI. 노다 총리의 친(親)자민 노선 추구의 역설
VII. 결론
참고문헌

제2장 오자와를 중심으로 본 일본 민주당의 통합과 분열

I. 서론
II. 당내 친오자와 세력과 반오자와 세력의 결집과 갈등
III. 오자와 그룹의 탈당
IV. 결론
별첨 자료
참고문헌

제3장 민주당 지지율의 변동 요인과 그 유형:‘매니페스토’와 ‘정치적 신뢰’를 중심으로

I. 서론
II. 민주당과 매니페스토
III. 정치적 신뢰
IV. 일본 내각지지율의 변동 경향
V. 민주당 내각에 대한 지지와 반(反)지지
VI. 지지율 변동의 요인 분석
VII. 결론
참고문헌

제2부 민주당정권하에서의 대외관계

제4장 일본 민주당정권의 대미 정책:‘대등한 동맹관계 구축’의 모색과 좌절

I. 문제의 제기
II. 민주당의 외교구상과 입법 성향
III. 하토야마 정부의 대미 동맹정책: ‘대등한 파트너십’의 구축 시도
IV. 간 나오토(菅直人) 정부의 대미동맹 정책
V. 맺음말
참고문헌

제5장 동아시아 파워밸런스 변화와 일본 외교: 일본 민주당정권하의 중일관계

I. 들어가며
II. 전후 중일관계의 구도
III. 동아시아 공동체론과 중일관계
IV. 2010년 센카쿠 사건과 중일관계
V. 민주당정권하의 중일관계 요인 분석
VI. 나오며
참고문헌

제6장 한일관계: 전략적 연대에서 방기로

I. 들어가며
II. 일본 민주당정권의 대한(對韓) 인식과 정책
III. ‘역사 문제 관리’의 제도화 흐름과 그 한계
IV. 북한 문제 및 안보 문제에 있어 한일관계
V. 비전통적 안보 및 한일 FTA 문제에 있어 한일관계
VI. 한일관계에 있어 민주당정권의 의미와 한계
참고문헌

찾아보기
Abstract

저자소개

박철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취득, 1998년 미국 컬럼비아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일본 정책연구대학원대학 조교수, 외교안보연구원 조교수를 역임하고, 컬럼비아대, 게이오대, 고베대 객원교수를 역임했다. 이 외에도 외교부 자체평가위원, 국방부 정책자문위원, 한일포럼 대표간사, 2012~2016년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소장, 2017년 현대일본학회 회장, 2016~2018년 서울대 국제대학원장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 『代議士のつくられ方(일본의 국회의원이 만들어지는 법)』(문예춘추, 2000), 『자민당정권과 전후체제의 변용』(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공저로는 Japan’s Strategic Thought toward Asia(Palgrave Macmillan, 2007), Changing Power Relations in Northeast Asia(Routledge, 2011), U.S. Leadership, History, and Bilateral Relations in Northeast Asia(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동아시아 세력전이와 일본 대외전략의 변화』(동아시아재단, 2014), 『일본 민주당정권의 성공과 실패』(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도입과 한반도』(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한일관계 50년 비교사적 이해』(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6) 등이 있다. 2005년 일본연구 및 한일관계 개선에 대한 공헌을 인정받아 제1회 나카소네 야스히로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박철희의 다른 책 >
박영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방대학교 교수 겸 부설 국가안보문제연구소장 청와대 국가안보실, 국방부, 외교부, 합참 등 정책자문위원 미국 하버드대학교 Program on US-Japan Relations 방문학자 일본 도쿄대학교 국제관계전공 박사 • 주요 저술 데탕트시기 전후 안보도전과 한국의 대미 및 대일 외교(국립외교원, 2024) 제국 일본의 전쟁, 1868-1945(사회평론아카데미, 2020) 한국 국가안보전략의 전개와 과제(한울, 2017)
펼치기
김경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4년 현재 일본 도카이대학 교양학부 국제학과 부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 총합문화연구과 석사 및 박사(사회언어학 전공). 일본 CS아사히방송 시사프로진행자 등을 역임. 주요 저서에 『일한의 공통인식』(도카이대학출판회, 2006), 『언어 속의 한일관계』(리쓰메이칸대학출판회, 2013), 『굴곡의 나라 한국』(쇼덴샤출판, 2013) 등이 있다.
펼치기
심미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보스턴대학 학사.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석사학위 취득. 석사학위 논문으로 “From the Intra-party Conflicts to Party Switching: A Research on Ozawa’s Defection from the DPJ”가 있다.
펼치기
최희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 국제학부 교수(2010년~현재) 서울대 정치학과 학사 및 석사 일본 게이오대학 정치학 박사 -주요 저술 <한일관계사 1965-2015>(역사공간 2015, 공저) <동아시아 세력전이와 일본대외전략의 변화>(동아시아재단 2014, 공저) <일본 민주당 정권의 성공과 실패>(서울대출판부 2014, 공저) <한일공문서를 통해 본 독도>(동북아역사재단 2013, 공저) <일본 부활의 리더십>(동아시아연구원 2013, 공저) <박정희 시대 한일관계의 재조명>(선인 2011, 공저) <歷史としての日韓國交正常化Ⅱ : 脫植民地化編>(法政大學出版局 2011, 공저) <한국 근현대 정치와 일본Ⅱ>(선인 2010, 공저) <北朝鮮と人間の安全保障> (慶應義塾大學出版會 2009, 공저)
펼치기

책속에서

1996년 처음 결성될 당시 민주당은 반자민, 반공산, 반공명당의 입장에 서서 유럽식 사회민주주의적인 이상을 제시하였다. 그 후 1997년 말 오자와(小沢)가 이끌던 신진당이 해체되자 상당수의 신진당 소속 멤버들이 민주당에 참가하면서 1998년 민주당은 제2의 출범을 하였다. 민주당은 2000년 총선 등을 거치면서 성장하였고, 2003년 오자와가 이끌던 자유당과 합당하면서 사실상 야당의 통합과정을 종료하게 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2003년 시점까지 민주당의 성장은 자민당, 공산당, 공명당을 제외한 제 야당들을 흡수 통합하면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민주당은 2003년 이후 일본 정치의 장에서 정권교체를 이루지는 못했지만, 자민당에 대항하는 제1야당으로서 유권자들의 불만을 수용할 수 있는 조직적 기반을 확장해 나갔다. 이후 민주당은 2005년 총선을 제외하면 비례대표 득표 면에서 자민당을 줄곧 능가함으로써 자민당에 대한 대안 정당으로서의 위치를 확고히 하였다.


새로운 민주당 대표로 선출된 하토야마는 간과 함께 오자와를 대표대행으로 임명하였다. 대표대행으로서 선거대책을 담당하게 된 오자와와 대표인 하토야마의 지휘 아래 치러진 2009년 총선거에서 민주당은 480석 중 308석을 획득함으로써 119석을 획득한 자민당을 압도적으로 이겨 마침내 정권교체에 성공하였다. 집권당이 된 민주당 내부에서는 2007년, 2009년 선거를 통한 정권교체에 있어 오자와의 기여도가 인정되며 당내에서는 2010년도 참의원 선거의 승리를 위해 오자와의 당 주요직 기용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한편 선거를 통해 급격히 규모를 확대한 오자와 그룹으로 인해 당내 세력 불균형한 상태에서, 오자와의 요직 기용이 이중권력구조를 형성할 것이라는 경계감 또한 높아졌다. 이러한 당내 분위기 속에서 하토야마 총리는 새 정권의 인사에 있어서 오자와의 영향력을 인정하면서도 이중권력구조에 대한 의혹을 부정하며 오자와를 간사장으로 임명하였다. 그러나 하토야마의 발언과 달리 오자와는 하토야마와의 회담 후에 총리가 인사를 간사장인 자신에게 일임하였으며, 정부는 하토야마가 담당하고, 당과 국회는 간사장인 오자와 자신이 담당한다는 것을 발표함으로써 당과 정부의 업무분리를 주장하였다. 이와 같은 당․정의 분리는 당의 업무뿐만 아니라 당과 국회에 관련된 인사를 간사장이 전적으로 추진하게 되었고 오자와는 당을 완전히 장악할 수 있었다.


민주당정권 출범 당시에 여론조사에 나타났던 ‘매니페스토에 대한 신축성 있는 운용론’에도 불구하고 민주당은 그 정책 실행에 대한 강한 의욕을 표명해 왔다. 10월에 실시된 민주당정권 출범 후에 처음으로 실시된 중참대표 질문의 자리에서 하토야마 총리가 ‘정치적 책임을 걸고 반드시 실행하겠다’는 답변을 예로 들지 않더라도 이미 거의 모든 항목이 정책 실현을 위해 발 빠르게 착수되면서 2011년도 예산인 9.5조 엔의 재원 확보를 위해 가동 중인 지교시와케(정책사업 분류 작업) 작업 등이 강조되는 등 매니페스토의 실행에 강한 의지로 정권운영에 임하였다. 그러나 그 후 불과 3년여 만에 종식을 맞이한 역대 민주당정권의 퇴진 배경에는 언론과 여론의 강한 비판의 요인으로서 ‘매니페스토에 대한 실행력의 결여’가 작용하였음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본 연구에서 고찰한 것은 민주당에 대한 여론이 매니페스토의 정책적 방향성에 대한 기대로 출발하여 그 실행력의 결여에 대한 비판이 내각지지율의 저하로 귀결되었다는 사실을 구체화시키는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21225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