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뉴노멀 시대, 아시아의 뉴데모크라시

뉴노멀 시대, 아시아의 뉴데모크라시

강명세, 강수정, 김남규, 김용균, 김형철, 남윤민, 라지브 구마르, 마인섭, 박정후, 백우열, 백주현, 정구연, 조원빈, 최경희, 최희식 (지은이), 조원빈 (엮은이)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750원 -5% 0원
1,250원
22,500원 >
22,500원 -10% 0원
0원
22,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뉴노멀 시대, 아시아의 뉴데모크라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뉴노멀 시대, 아시아의 뉴데모크라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91155504154
· 쪽수 : 420쪽
· 출판일 : 2020-06-30

책 소개

한국을 비롯해 아시아 8개국의 민주주의의 질을 평가하는 책이다. 민주주의의 심화를 추구하는 한국과 일본, 대만은 민주적 절차를 통해 민주주의의 질적 향상을 이루어가고 있지만, 개별적으로 극복해야 할 문제들을 내재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 조원빈

1장 서론: 뉴노멀 시대와 민주주의의 위기 · 조원빈

제1편 동아시아 민주주의의 질

2장 민주주의의 질과 ‘뉴데모크라시’ · 조원빈
I. 들어가며
II. 민주주의 개념와 측정지수들
III. 민주주의의 질과 ‘뉴데모크라시’

3장 뉴노멀 시대 민주주의 선호도 · 정구연
I. 서론
II. 뉴노멀로서의 소득 불평등과 정치적 불평등
III. 동아시아 시민들의 민주주의 선호도
IV. 결론

4장 민주주의의 기술적 대표성과 실질적 대표성 · 김남규
I. 머리말
II. 양성평등의 국제규범 확산과 동아시아에서 여성의 정치 대표성
III. 여성의 기술적 대표성과 실질적 대표성
IV. 분석 데이터와 방법
V. 분석결과
VI. 맺음말

5장 선거제도 개혁과 민주주의의 질· 김형철
I. 서론
II. 이론적 논의: 선거제도와 민주주의 질
III. 선거제도 개혁의 내용과 특성: 대만, 일본, 한국을 중심으로
IV. 선거제도 개혁과 민주주의 질
V. 결론

6장 민주주의의 질과 불평등 · 남윤민, 마인섭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통계 분석
IV. 비교역사 개관
V. 결론

제2편 정치체제의 다양성: 민주주의, 신생민주주의, 권위주의

7장 한국: 민주적 절차와 효능감 · 강명세
I. 탄핵국면 이후의 제19대 대선
II. 정치적 선호의 두 가지 관점
III. 19대 대선에서는 누가 투표했나?
IV. 정당 정체성과 지지 정당결정요인
V. 정당 정체성과 대통령 후보선택
VI. 결론: 2017년 선거는 한국정치의 재배열 선거일까?

8장 일본: 권력 분립과 지방자치 · 최희식
I. 들어가며
II. 90년대 이후 중앙-지방관계의 변천: 위로부터의 개혁
III. 2010년대 이후 중앙-지방 관계의 재정립: 자립과 자치의 모순
IV. 지방분권과 민주주의: 참여와 효율의 이율배반

9장 대만: 민주적 절차와 효능감, 정치적 지지 · 강수정
I. 서론
II. 민주주의의 질에 대한 대만인들의 인식
III. 민주주의 질에 대한 대만인들의 인식이 정치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IV. 결론

10장 인도: 참여와 경쟁· 라지브 구마르, 백주현
I. 민주주의의 질: 분석틀
II. 법치
III. 참여
IV. 경쟁
V. 결론

11장 인도네시아: 민주적 절차와 무슬림 민주주의 · 최경희
I. 서론
II. 이론적 논의
III. 인도네시아 민주주의 질의 절차적 측면
IV. 인도네시아 민주주의 질의 실질적·반응적 측면
V. 결론

12장 몽골: 민주적 절차와 책임성 · 박정후
I. 들어가며
II. 몽골의 정치문화와 민주주의
III. 몽골 민주주의에 대한 인식
IV. 나오며

13장 베트남: 경쟁 없는 책임성과 대표성 · 김용균
I. 들어가며
II. 국회의원 선거 개혁: 시민 참여, 개방성, 경쟁성 확대
III. 국회 개혁
IV. 지방분권화
V. 민주주의 요소의 정책 효과: 중국과의 비교
VI. 결론

14장 중국: 경쟁 없는 정치 참여 · 백우열
I. 현대 중국정치의 신방(信訪): 문제제기
II. 신방제도의 기원과 현대 중국정치에서의 등장 배경
III. 신방제도조직과 신방행위현황
IV. 신방의 정치적 역할
V. 신방제도의 정치적 의의와 정책 제언, 전망

15장 결론: 민주주의의 미래 · 조원빈

저자소개

강명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와 뉴욕의 사회과학대학원(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 UCLA에서 철학과 정치학을 공부했다. UCLA에서 정치학 박사 취득 후 노동과 복지, 민주주의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왔다. 2019년 현재까지 『민주주의 복지국가 그리고 재분배』(삼인, 2014) 등 세 권의 저서와 『민족과 민족주의』(홈스봄, 창비, 1991) 외 여러 권의 번역서를 출판했으며, 「‘촛불혁명’의 희망은 무엇이었으며 어떻게 실현할 수 있는가」(2017)를 비롯하여 많은 논문을 발표했다. 현재 세종연구소에서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최경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동남아센터 선임연구원
펼치기
최희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 국제학부 교수(2010년~현재) 서울대 정치학과 학사 및 석사 일본 게이오대학 정치학 박사 -주요 저술 <한일관계사 1965-2015>(역사공간 2015, 공저) <동아시아 세력전이와 일본대외전략의 변화>(동아시아재단 2014, 공저) <일본 민주당 정권의 성공과 실패>(서울대출판부 2014, 공저) <한일공문서를 통해 본 독도>(동북아역사재단 2013, 공저) <일본 부활의 리더십>(동아시아연구원 2013, 공저) <박정희 시대 한일관계의 재조명>(선인 2011, 공저) <歷史としての日韓國交正常化Ⅱ : 脫植民地化編>(法政大學出版局 2011, 공저) <한국 근현대 정치와 일본Ⅱ>(선인 2010, 공저) <北朝鮮と人間の安全保障> (慶應義塾大學出版會 2009, 공저)
펼치기
정구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캘리포니아 대학 로스앤젤레스 (UCLA) 정치학 박사 현) 외교부·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주요 연구영역: 미국 대외정책, 인도-태평양 지역안보 아키텍쳐, 그레이존 갈등 및 해양안보 최근 연구 “Ideology, Threat Perception, and Foreign Policy Preference: A Case of the ROK-US Allied Response to China” (2022) “4차산업혁명과 미국의 미래전 구상:인공지능과 자율무기체계를 중심으로” (2022) “트럼피즘과 트럼프 독트린: 이민자 인식에 대한 포퓰리즘의 영향력 분석” (2022) “South Korea’s Perspective on Quad Plus and Evolving Indo-Pacific Security Architecture” (2020) “Wartime Durability of the US-led Coalition of the Willing: The Case of the 2003 Operation Iraqi Freedom” (2020) 외 다수 논문 및 저서.
펼치기
조원빈 (감수)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미국 미시간주립대 정치학 박사. 미국 켄터키대 정치학과 조교수를 거쳤으며 연구 분야는 민주주의, 정치제도, 정치행태 등이다. 최근 좋은민주주의연구센터 소장으로 민주주의의 퇴행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백우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교수 미국UCLA대학교 정치학 박사
펼치기
강수정 ()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
펼치기
김남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University of Michigan 정치학 박사 /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부교수
펼치기
김용균 (지은이)    정보 더보기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정치학 박사 /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부교수
펼치기
김형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학 박사 / 성공회대학교 민주주의연구소 연구교수
펼치기
남윤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University of Connecticut 정치학 박사 / 연세대학교 복지국가연구센터 연구교수
펼치기
라지브 구마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연구교수
펼치기
박정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객원연구원 몽골국립대학교(National University of Mongolia) 정치학 박사 2020, 『신북방시대 한국·몽골 미래협력의 비전』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뉴노멀 시대, 아시아의 뉴데모크라시』 (서울: 성균관대학교출판부)
펼치기
백주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박사과정
펼치기
조원빈 (감수)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미국 미시간주립대 정치학 박사. 미국 켄터키대 정치학과 조교수를 거쳤으며 연구 분야는 민주주의, 정치제도, 정치행태 등이다. 최근 좋은민주주의연구센터 소장으로 민주주의의 퇴행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