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52116888
· 쪽수 : 196쪽
· 출판일 : 2016-02-25
책 소개
목차
제1장 서론
1. 자료 수집과 분석·3
2. 선행연구·6
제2장 사회주의 국가의 체육과 여가정책
1. 구소련의 체육과 여가정책·11
2. 중국의 체육과 여가정책·23
3. 동독의 체육과 여가정책·35
4. 통일 독일의 체육과 여가정책·43
제3장 북한의 체육과 여가정책
1. 체육과 여가정책의 특징·55
2. 체육과 여가행정·78
3. 학교체육·82
4. 체육과 여가시설·95
제4장 북한의 체육과 여가활동
1. 북한의 체육활동·103
2. 북한의 여가활동·139
제5장 결론
참고문헌·165
찾아보기·173
Abstract·175
책속에서
구소련 점령기에 기틀을 마련한 동독의 교육체제는 구소련 군정 이후에도 발전을 거듭하며 사회주의적 정치이념과 교육이념을 교육하는 데 매진했다. 동독에서는 1965년 2월 사회주의 교육제도가 실시되었다. 3세까지는 탁아소에 가고, 6세가 되면 1학년(공예학교)에 입학하여 10학년에 초등교육과 중등교육을 마친다. 1~6학년은 생산활동에 참여하게 되어 있기에 집단농장, 공장 등지에서 견학과 활동에 참가해야 한다. 7학년부터는 매주 몇 시간씩 실습을 하고, ‘사회주의 생산통론’이라는 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9~10학년은 직업교육을 받고, 주 3시간씩 정치, 문화, 경제의 기초와 사회개발에 있어서 노동의 중요성을 배운다. 16세에 졸업하게 되면 특수 직업학교(1년제)에 가서 자격증을 받거나, 우수한 성적일 경우에는 일반 직업학교에서 자격증이나 대학입학 자격을 받게 된다. 학업성적이 우수할 경우 연장된 공예학교(2년제)에 진학해 언어, 고전어, 자연, 수학 및 과학 등을 교육받는다. 동독에서는 기본적인 신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신체단련을 중요하게 생각하였기 때문에 동독의 학교체육 교육은 체조, 육상, 수영 등의 기초 체력 과목에 많은 비중을 두어 이루어졌다. 또한 스포츠과학 및 생리학 이론을 적용하여 수업시수를 정하였다. 신체적 성장이 가장 활발한 4학년부터 6학년까지는 운동기술을 배우는 데 중요한 성장기라고 판단하여 다른 학년보다 주당 1시간씩 더 체육활동을 하였다. 또한 생리학이론을 적용하여 체육수업시수를 정하는 등, 동독 체육은 스포츠과학의 발달과도 궤를 같이하고 있다.
북한의 스포츠 경기 중에서 가장 높은 인기를 차지하고 있는 종목은 축구이다. 남자축구는 물론 여자축구 역시 높은 인기를 얻고 있다. 특히 여자축구는 국제무대에 나가 여러 번 우승을 거둔, 아시아의 최강팀이기에 더욱 관심과 호응이 높다. 그다음은 농구로 축구시즌이 끝난 겨울에 주로 즐기는 스포츠이다. 그리고 탁구, 권투, 레슬링이 인기종목이다
주민들의 대표적인 기타 여가활동으로는 천렵, 군중무용, 주패놀이, 음주, 관람(영화, 연극, 스포츠) 등이 있다. 기타 여가활동도 고난의 행군 이전에는 집단 성향이 강한 천렵, 군중무용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고난의 행군 이후에는 비교적 개인적 성향이 드러난 주패놀이, 음주가 주를 이루고 있다. 천렵을 통하여 직장단위별 체육과 여가활동이 가능했으며, 군중무용을 통해서는 쉬운 동작을 중심으로 수령을 비롯해 당과 사회주의 체제를 찬양하는 노래를 같이 부름으로써 자연스럽게 주민들을 대상으로 정치교육을 수행할 수 있었다. 당은 이처럼 천렵과 군중무용을 통해 주민들의 체육과 여가활동을 직장단위별로 조직화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체육과 여가활동의 내용에서 정치색을 강화함으로써 정치교육의 장을 일상생활에까지 확장할 수 있었다. 음주와 주패놀이는 고난의 행군 이후 더욱 성행하였다. 과거 당의 영향으로 인한 주민들의 조직적?집단주의적 신체적인 활동이 지극히 개인적?비신체적 활동으로 변화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