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형벌을 그리다

형벌을 그리다

(잔인한 구원과 미술의 기억)

박종성 (지은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2,000원 -0% 0원
1,600원
30,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9개 1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2,000원 -10% 1600원 27,200원 >

책 이미지

형벌을 그리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형벌을 그리다 (잔인한 구원과 미술의 기억)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비평/이론
· ISBN : 9788952117113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5-02-25

책 소개

쟁점적인 작품들을 유형별로 비교하고 그것을 통해 당대의 정치권력이 의도한 복종의 미학과 그 대중적 전파의 동기를 탐구한다. 근대의 형벌관과 이를 둘러싼 미술적 사고가 지니는 모종의 정치적 연결고리를 찾는 데 주목하는 것이다.

목차

프롤로그

I. 형벌·국가·권력: 전근대 신체벌과 고통의 정치학
‘죄와 벌’의 통치공학: 형벌과 형법 · 20
왜 견뎌야만 하는가: 형벌의 인문학과 사회과학 · 36

II. 고문과 처형의 도상학: 중세와 근대의 비인간적 접점
르네상스와 정치폭력, 그리고 정치권력 · 88
천국과 지옥의 미술정치: 공포의 동원과 반복 학습 · 126
형벌로 보는 혁명과 신화, 그리고 순교: 묶이고·굴리며·뜯기는 · 137

III. 형벌 그리기: 단죄의 미술
책형?刑 · 190
교형絞刑 · 210
참형斬刑 · 234
화형火刑 · 262
편형鞭刑과 사적私的 형벌 · 274

IV. 고문과 처형의 정치학: 전근대의 지속
제국의 정의正義와 전쟁의 폭력미학 · 298
학살과 야만의 미술 · 307

에필로그 · 321
참고문헌 · 327
찾아보기 · 341

저자소개

박종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원대학교에서 일한다. 『혁명의 이론사』(1991) 쓸 때만 해도 그 공부만 할 줄 알았다. 혁명가는 쓰러져도 그가 빠져들던 믿음의 불꽃만큼은 오래갈 것 같아 붙잡은 게 『박헌영론』(1992)이라면 『왕조의 정치변동』(1995)과 『강점기 조선의 정치질서』(1997), 『한국정치와 정치폭력』(2001)은 이성계부터 김대중까지 이어진 육백년 곡절 3부작이다. 사회혁명 한번 없던 나라지만, 단서 만큼은 또렷하여 『정치는 파벌을 낳고 파벌은 정치를 배반한다』(1992)와 『인맥으로 본 한국정치』(1997)를 쓰고 『한국의 파벌정치』(2012)로 판을 키운다. 허구한 날, 되도 않는 국가 걱정이나 하며 헛기침해대도 ‘몸’ 파는 여인의 ‘몸’ 하나 구원 못하는 옛날 정치학이 버거워 덤벼든 게 『한국의 매춘』(1994)과 『권력과 매춘』(1996)이지만 짜증난 학생들을 위해 영화와 문학을 강의실로 끌어 들인다. 『정치와 영화』(1999)를 쓰고 『포르노는 없다』(2003)와 『문학과 정치』(2004)를 출간하는 사이, 세기가 바뀌어도 정치를 들여다 볼 인식의 창은 널려 있었다. 『한국 성인만화의 정치학』(2007)도 그 틈새에서 찾은 ‘오목렌즈’다. 그러거나 말거나 역사는 늘 어쩌지 못할 ‘거울’이었다. 유가의 논리로만 왕조국가를 보는 게 못마땅한 『조선은 법가의 나라였는가』(2007)가 그러하고 『백정과 기생』(2003) 역시 마찬가지다. 이 책도 그 연장이다. 『씨네 폴리틱스』(2008)와 『영화가 뿌리친 정치사상』(2015) 또한 정치영화의 역사성과 이데올로기적 무게감을 천착한 경우지만 밖에서 들여다보는 안이 더 환하여 그 기운으로 『패션과 권력』(2010)을 쓴다. 공부의 빈틈이라 여기며 『사랑하다 죽다』(2012)와 『퇴폐에 대하여』(2013)를 내고 『형벌을 그리다』(2015)로 메워도 보았지만 어느 날 부턴가 세상의 대꾸는 꿈조차 안 꾼다.
펼치기

책속에서

군중의 두려움을 배가시키고자 한 당국의 노력은 처절했다. 정치권력을 강하게 의식하는 자들도 초라했지만 이들을 다잡아 영구히 복속시키려 온갖 장치들을 고안하려는 제도 권력의 궁리란 것도 이와 다를 바 없었다. 효수의 국가별 편차를 헤아리는 일보다 중요한 건 그처럼 단순해져 갔던 제도의 정치적 장악력과 막후의 동기였다.


들라로슈의 처형 장면 묘사는 예외적 깔끔함에도 불구하고 지나친 과장과 역사왜곡으로 현실성을 크게 벗어났다는 평가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누구보다 16세기 프로테스탄트 순교사와 그 열전에 주력한 들라로슈였고 보면 동시대 인물들을 그렇게밖에 표현하지 못한 건 크나큰 오류다. 1) 레이디 제인은 마구간처럼 보이는 어두운 실내에서 처형당하지 않고 타워 힐 건물 밖, 즉 ‘타워 그린’으로 이름 붙여진 특정 장소에서 참수되었고, 2) 고래 뼈로 만든 우아한 코르셋을 착용하거나 화사한 화이트 새틴 드레스를 입고 처형 당일을 맞이할 수 없었으며, 3) 그녀의 머리칼은 참형을 앞두고 틀어 올렸을 것이 분명했으므로, 즉 그림처럼 탐스런 금발을 어깨 한쪽으로 흘러내리게 한다는 건 형벌 현장에서 상상하기 어려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들라로슈의 ‘표현의 정치학’은 대중적 인기를 먼저 의식하고 미술적 환호와 끈적한 멜로물을 지향하려 든다.


민중의 정치적 일탈과 저항을 정면에서 억압하는 최고 · 최대의 방편이 당국의 형벌 메뉴의 개발이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서양 형벌이 책형과 교형 혹은 참형이란 기본 유형에 얽매이지 않고 수많은 변용과 응용을 가져온 까닭도 통치 차원의 민감한 기획과 맞닿아 있었다. 따라서 누군가는 정교한 고문의 물리적·외과적 효과와 사회·심리적 충격을 계산하고 있었고 그 결과 민중 부문이 어떻게 반응할는지 측량하기 위해 보이지 않는 정치적 고민을 계속하고 있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2128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