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중어중문학
· ISBN : 9788952118271
· 쪽수 : 510쪽
· 출판일 : 2016-03-01
목차
머리말
제1장 서 론
1. 숨고르기를 하면서
2. <<중국소설사략>>으로부터의 출발
3. 나의 가지를 치기 위해서
제2장 이야기의 발생과 변화
1. 이야기의 원시적 모습
2. 초기의 문자기록와 이야기
3. 신화의 잠복
제3장 이야기의 기록 및 유행
1. 설득수단으로서의 이야기 - 우언(寓言)
2. 사실의 구체화 - 역사기록
3. 소문과 이야기에 대한 호기심의 확산
4. 문학적 글쓰기로서의 이야기
제4장 소설적 경험의 축적
1. 위ㆍ진ㆍ남북조 시기의 문화적 사유의 특성
2. 개인에 관한 이야기
3. 초현실세계에 대한 이야기 - 지괴(志怪)
제5장 당(唐)ㆍ송(宋)시기의 소설적 흐름
1. 당ㆍ송시기의 지괴
2. 당ㆍ송시기의 전기(傳奇)
3. 민간계층의 대두와 새로운 서면어의 태동
제6장 이야기에서 상품으로 - 화본
1. 문학적 중간층의 대두
2. 화본의 탄생
3. 과념의 변화
제7장 원대의 소설적 흐름
1. 원대의 일반적 상황
2. 시각의 확대와 이야기의 장편화(長篇化)
제8장 소설의 만개(滿開)
-명ㆍ청대의 독서시장
1. 문화자본의 대두
2. 백화단편소설의 흐름
- 의화본(擬話本) : 화본의 수렴과 개작
3. 장편소설의 흐름
4. 문언소설의 흐름
제9장 기념비적 작품의 탄생
- `사대기서`를 중심으로
1. <<삼국연의>>
2. <<수호전>>
3. <<서유기>>
4. <<금병매>>
5. `사대기서`의 의미
제10장 청대의 소설적 흐름
- <<홍루몽>>과 <<유림외사>>, 그리고 만청소설
1. <<홍루몽>>
2.<<유림외사>>
3. 지식인의 반응 - 개작과 평점(評鮎)
4. 만청시기의 소설
제11장 글을 맺으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