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세계문학론 > 중국문학론
· ISBN : 9791185877754
· 쪽수 : 339쪽
· 출판일 : 2015-02-15
책 소개
목차
서울대학교 중국어문학연구소 연구총서 발간사
‘중국문학사연구회 총서’를 간행하며
서론/벡터(vector)로 본 중국문학의 흐름 - 서경호
중국소설사에서 역사와 소설의 관계 - 조관희
1. 사전과 허구
2. 소설은 역사의 보완물
3. 사실의 기술인가, 의미의 해석인가?
4. 소설 담론의 역사로의 회귀
시와 <시경>그리고 문과 정사의 관계 - 김월회
1. 문학, 문 그리고 시
2. 시에서 <시경>으로
3. ‘경학화’의 행간
4. 문학과 정치 사이의 거리
중국 문자에 드러나는 ‘탈중심’의 흔적 - 염정삼
1. 들어가며
2. 외형적인 탈중심의 양상
3. 내면적인 의미에서의 탈중심
4. 나오며
한대 악부민가의 기록과 전승에 관하여 - 김상호
1. 들어가며
2. 악부민가의 원형에 대한 탐색
3. 구전과 기록의 변이 양상들
4. 나오며
여성 기록에서의 행간의 형성 과정과 의미 - 박영희
-<춘추>의 “송백희 졸”과 관련된 주석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춘추>삼전의 비교를 통해 본 행간
3. 주변자=‘여성’ 기호와 굳어진 행간
4. 나오며
중세 중국문인시의 여성적 글쓰기 경향에 관한 연구 - 김상호
1. 들어가며
2. 몇 가지 전제
3. 경전 혹은 콤플렉스
4. 감추어진 욕망
5. 나오며
이하 시의 여성 화자 - 홍상훈
1. 들어가며
2. 여성 화자의 설정 배경
3. 이하와 기녀
4. 여성 화자 작품들의 특징
5. 나오며
문언, 백화 그리고 백화소설 - 이소영
-전통시기 중국의 문학 언어에 관한 탐색 시론
1. 들어가며
2. 문언의 시공간과 문언적 성향체계
3. 백화의 시공간과 백화적 성향체계
4. 소설에서의 백화
5. 나오며
<삼국지연의>다시 읽기 - 김진공?이소영
-조조와 유비, 삼국 이야기의 퇴적층에 새겨진 사회적 인식의 역사
1. <삼국연의>를 읽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조조-유비 담론
2. <삼국연의>이전의 조조-유비 담론화의 양상
-정통 역사 기록과 <전상평화삼국지>
3. <삼국연의>의 조조-유비 담론화의 방식
-<삼국연의>의 위치와 인간에 대한 인식의 변화
4. <삼국연의>의 조조-유비 담론의 양상과 의미
-텍스트 안팎의 조조와 유비
5. 나오며
팔고문 논의 속의 ‘아’와 ‘속’ - 박영희
1. 들어가며
2. ‘아’를 통한 팔고문의 정체성 확립과 문단 장악
3. 팔고문의 ‘시문’으로서의 속성과 ‘아/속’의 경계
4. 팔고문의 ‘속’으로서의 분립-희곡과의 연계
5. 나오며
필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