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생명과학 > 생물학
· ISBN : 9788952130723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2-08-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서장 미생물, 모든 것을 연결하는 지구의 주인
제1장 미생물의 특징과 종류
• 특징
1. 크기
2. 핵양체와 플라스미드
• 종류
1. 고균
2. 세균
3. 원생생물
4. 진균
5. 바이러스
6. 바이로이드와 위성체, 그리고 프리온
제2장 미생물의 상호작용과 상호연결성
• 공생의 유형
1. 상리공생
2. 편리공생
3. 편해공생
4. 그 외의 상호작용 유형
• 미생물 사이의 공생과 상호연결성
1. 지의류
2. 생물막
• 미생물과 식물의 공생과 상호연결성
1. 뿌리(근권)의 미생물
2. 잎과 줄기(엽권)의 미생물
3. 식물에서 질병 유발
• 미생물과 육상동물의 공생과 상호연결성
• 미생물과 해양생물의 공생과 상호연결성
• 미생물과 곤충의 공생과 상호연결성
• 미생물과 인간의 상호작용과 상호연결성: 공생과 질병 유발
1. 인체 미생물의 종류
2. 인체 부위별 미생물 군집
3. 인체 미생물의 대사물질
4. 인체 미생물에 의한 질병
제3장 미생물과 동식물 간의 유전정보 전달과 공진화
• 수평적 유전자 전달
1. HGT의 기전
2. 미생물 사이에서 HGT에 의한 유전정보 전달
3. HGT에 의한 항생제 내성유전자의 확산
4. 미생물과 진핵생물 사이의 HGT
5. 전생명체 개념에서의 HGT
6. 인간 암에서의 HGT
• 진화의 또 다른 주역: 전이인자
1. 전이인자(TE)의 종류와 특성
2. 식물에서 TE의 작용기전
3. TE의 일반적인 기능과 그 작용기전
4. 인간 TE의 종류와 그 기능
5. 게놈은 하나의 생태계
• 미생물 사이 또는 미생물과 동식물 사이의 상호작용과 공진화
1. 박테리아와 박테리오파지의 공진화
2. 박테리아와 식물의 공진화
3. 인체 박테리아와 바이러스 간의 상호작용과 공진화
4. 바이러스와 숙주 사이의 상호작용과 공진화
5. 숙주와 장내 미생물의 상호작용과 공진화 연구모델
제4장 새로운 상호연결성의 세계관
• 인간의 눈에 드러난 미생물
• 미생물은 병원성이라는 인식
• 병원균과 항생제의 공진화
• 현대 과학기술의 본질
1. 분리와 독립
2. 현대 생명과학: 세포를 중심으로
• 오래된 미생물과의 동행
1. 미생물과 진핵세포의 원초적인 공생
2. 오래된 공생관계의 손상: 새로운 질병의 출현
3. 미생물 기반의 새로운 연구방법론
• 미생물이 구축한 지구생태계
1. 미생물: 지구자원 순환의 주역
2. 다른 행성으로의 장기간 우주여행과 체류가 가능할까?
• 미생물이 주인인 상호연결성의 세계관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