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국어사/방언론
· ISBN : 9788952207241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07-11-0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 내팽개쳤던 금쪽같은 방언
언어 식민주의
국어와 표준어, 방언
언어적 죄의식
언어의 사회적 계급
방언과 민속
방언의 종다양성
방언과 음식 문화
세시 풍속과 놀이의 방언
방언과 언어 인권
방언 차이의 유형
방언의 분화 요인
방언의 분화 양상
2. 문학 작품에 비친 언어의 주술
언어의 위반으로부터 시작되는 시적 창조
고전 속에 나타난 어문 생활
문학 작품에 나타난 지역 방언
3. 표준국어 대사전, 무엇이 문제인가
표준국어대사전 사용 경험
표준어 규정에 대한 국민의 인식
우리나라 어문 정책의 현 주소
표준어와 표준국어대사전
표준국어대사전 이름 문제
올림말 문제
뜻풀이 체계의 오류와 불균형성
국어의 곳간 채우기Ⅰ: 각종 자료를 통해
국어의 곳간 채우기Ⅱ: 한자어
국어의 곳간 채우기Ⅲ: 방언
사전은 현재와 과거를 잇는 징검다리
웹기반 사전 편찬 기술은 국가 발전 전략
4. 식민 국어에서 세계 언어로
황국 신민화 정책과 조선어
표준어 제정 과정과 배경
표준어 제정 찬반론
아시아의 소통과 문화 공동체의 가능성
한국어 학습 열풍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방안
한글 파괴 현상에 대한 우려
남북의 언어 차이
한민족의 의사소통은 공통어를 기반으로
남북 언어의 통일을 위하여
언어 횡단으로서의 겨레말큰사전
남은 과제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딩각'이라는 방언은 이처럼 심연의 역사를 거슬러 원시시대의 우리 모습과 맞닿아 있다. 남성의 성기를 자랑스럽게 돌출시키고 그 남근보다 몇 배나 더 긴 딩각이라는 악기를 불면서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 더불어 살아가는 인간 공동체의 꿈은 예나 지금이나 결코 유효기간이 있는 것이 아니다.-p47 중에서
사전은 마치 물을 정화하듯이 새로 사용하는 말을 모아서 신어사전으로 만들고 이를 규정에 맞도록 다듬어 사전에 실어 담아 사용하다가 시간이 지나 사용하지 않은 말은 배출하여 고어사전으로 넘겨주어야 한다. 이것이 사전 관리의 기본 원리이다.-p261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