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육아 > 자녀 심리
· ISBN : 9788952211224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09-04-0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왜 남자아이들은 지금의 모습을 갖게 되었는가
제1장 출발점: 소년기의 생태
유전 대(對) 환경 | 남자아이들의 원동력: 테스토스테론 | 남자아이들이 생각하는 방식: 남성의 두뇌 | 남자아이들이 느끼는 방식: 감정과 두뇌
제2장 남자아이들이 만드는 문화
제1원칙: 경쟁, 성과, 재능 연마 | 제2원칙: 임무별 감정 이입법 | 제3원칙: 대그룹에 대한 선호 | 제4원칙: 독립 추구 | 제5원칙: 단체 내에서의 개인적 희생 | 제6원칙: 남성 역할 모델 | 제7원칙: 인생을 스포츠로, 스포츠를 인생으로 만들기 | 남자아이들의 성장 단계 | 남자아이들 은 남자이자 페미니스트가 될 수 있을까?
제2부 남자아이들이 필요로 하는 것
제3장 남자아이들에게는 대가족이 필요하다
세 가지 가족 형태 | 대가족 구성원으로서의 소년 | 제1가족 | 제2가족 | 제3가족
제4장 남자아이들이 엄마에게 원하는 것
바람직한 모자 관계를 위한 조건 | 10세 미만의 남자아이들이 엄마에게 원하는 것 | 10대 소년들이 엄마에게 원하는 것 | 모성애는 사라지는가?
제5장 아빠에서 아버지로: 부자 관계
왕자와 왕 | 아들에게 필요한 아버지 | 아버지에게 필요한 것 | 아들에게 이름을 물려준다는 것 | 아빠에서 아버지로: 아들 놓아주기
제6장 제2의 탄생: 성인으로 향하는 길
잭과 콩나무 | 영웅의 여정 | 성인식의 모델
제3부 남자아이 키우는 법
제7장 규칙 가르치기
바람직한 훈련이란? | 10세 이전의 훈련 | 사춘기와 청소년기의 훈련 | 폭력적인 아이들 | 지속적 체계로서의 훈련
제8장 가치, 도덕, 영성을 가르치기
아이들에게 가르치기 전에 우리가 먼저 이해해야 한다 | 도덕성 발달 단계 | 원형과 신화를 통해 남자아이들과 소통하기 | 대중매체를 통한 가치 교육 | 자신의 영혼을 보살피는 법 가르치 기 | “이방인 같은 기분을 느끼고 싶지 않아요.”
제9장 사랑과 성 가르치기
사랑과 성의 세계로 안내하기 | 자위행위에 대해 가르치기 | 내 아들이 동성애자라면? | 학교에서의 성교육 | 영적 훈련으로서의 사랑 | 사랑과 성 그리고 대중매체 | 남자아이들과 성폭력 | 남자아이의 성교육에 필요한 실제적 원칙
제10장 건강한 남성의 역할 가르치기
21세기를 위한 신성한 남성의 역할 | 중요한 임무를 맡기기 | 신성한 역할을 가르치기
맺는말
감사의 말
리뷰
책속에서
남자아이들은 종종 다른 사람을 무시함으로써 자아상을 확보하려 한다. 한 명이 “이 자식아, 잘 지냈냐?”라고 말하면 상대방은 “어이, 새대가리, 안녕.”이라고 맞받아치는 식이다. 많은 엄마들이 아이의 이런 말버릇에 대해 불평하면서도 어쩔 도리가 없다는 것을 알고 있다. (중략)
남자아이들은 언어적·신체적으로 경쟁하고, 경쟁을 바탕으로 관계를 구축해간다. 그들에게 경쟁은 행동을 길들이는 한 형식이다. 그들은 이러한 전략을 통해 문화적·언어적 개념을 형성하고 자아상을 완성해간다. 남자아이들이 서로 무시하는 말투로 욕하는 모습은 너무도 흔하다. 그들은 여러 다른 형식의 위계 조직 체계, 즉 지위를 얻기 위해 경쟁하는 시스템을 통해 삶을 경험한다. 그러나 협동이 유리하다고 느낄 때면 언제든 협력 관계를 형성한다. - p.60~61 중에서
한 어머니가 이제 18개월 된 여동생의 머리카락을 자른 다섯 살짜리 아들에 대해 이야기한 적이 있다. 주방에서 저녁을 준비하던 그녀는 방에 들어왔다가 그 광경을 보고 큰 충격을 받았다. (중략) 부모는 아들에게 가위의 위험성을 설명하며 여동생을 존중해야 함을 가르쳐주었다. 대화가 끝나갈 무렵, 그녀는 “엄마가 너만 할 때 할아버지가 ‘한 번 실수하는 건 괜찮다.’라고 말씀하셨어. 그러면서 배우는 거니까. 너는 벌써 ‘한 번’ 한 거야. 이제 안 그럴 수 있겠지?”라고 말했다. 자신의 실수에 스스로 놀란 아이는 가만히 고개를 끄덕였다. 이 이야기에서 볼 수 있듯이, 남자아이들에게 어느 정도의 실수는 용인되어야 한다. 경험을 통해 배울 수 있기 때문이다. 아이에게 완벽을 기대하는 것보다는 한 번 더 기회를 주는 것이 현명하다. 어른들이 아이에게 완벽을 기대할 때 그 기대는 사실 어른의 열등감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 - p.270~271 중에서
남자아이들에겐 자신이 어떤 존재인지 깨달을 수 있는 훈련 체계, 그리고 분명한 목표와 책임이 정해진 삶의 여정, 인생에서의 역할이 필요하다. 이러한 것들, 그리고 이에 따르는 역할 훈련이 없다면 인생에서 성스럽고 중요한 자신의 존재 이유를 깨닫지 못할 것이다. 오히려 자신이 정말 그러한 존재인지를 의심할 수도 있다.
목표를 어떻게 이뤄야 할지 모르고 여기저기서 주워들은 ‘비법’을 사용해보지만 좀처럼 자신이 올바르게 살아가고 있다는 확신이 들지 않는다. 훈련 체계가 없다면 왜 반드시 목표가 있어야 하는지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다. - p.385 중에서
남자아이들은 아무 일이 아닌, 정말 중요하고 의미 있는 일을 하고 싶어 한다. 이는 그들이 우리가 지혜를 나누어줄 수 있는 부분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기를 바란다는 뜻이기도 하다. 아이들은 일이 어떻게 기쁨과 연민의 감정을 느끼는 수단이 되는지 우리에게 듣고 싶어 하고, 우리가 일의 중요성을 설명해주기를, 남성으로서 관리·보호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주기를 원한다. 일이 판에 박힌 일상의 반복이 되었을 때 우리는 아이들 스스로 그 안에서 의미를 찾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 p.393~394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