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52228413
· 쪽수 : 104쪽
· 출판일 : 2014-03-14
책 소개
목차
목적과 범위: 오리엔탈리즘의 재발견
볼프의 유학 연구와 연설
볼프의 유교관과 복지국가론
오독과 의미
나가며
저자소개
책속에서
오리엔탈리즘을 단순히 동양에 대한 서양의 지배와 권력 행사를 위한 담론으로만 관찰하는 사이드식의 단선적이고 획일적인 논리 해석은 수정의 국면을 맞고 있다. 더욱이 문명사의 시공간적 고려 없이 식민주의적 구조, 제국주의적 팽창과 연결시켜 정치·사회·문화·지적인 동일성을 관통하는 하나의 단일 담론으로 이해하는 방식은 지양되어야 한다. 아울러 동양에 대한 서양의 타자 형상을 보다 체계적이고 다원적인 의미로 확대하는 진전된 연구 노력이 절실해 보인다.
볼프는 라이프니츠와 마찬가지로 전체 지식을 통찰하려는 큰 꿈을 가졌기 때문에 그의 학문 체계는 방대해 당시 존재했던 거의 모든 학문 분야를 망라했다. 독일 학문 발전에 크게 기여한 볼프철학 체계의 본질은 다름 아닌 ‘합리론’과 ‘수학방법론’이다. 그의 학문은 “독일의 계몽주의 합리성의 정점을 표현하는 논증·연역·수학적 방법으로 그 시대의 모든 학문적 주제를 설명하는 하나의 완전한 이론 체계(황태연, 2011, 527)”라고 할 수 있다. 이 보편학의 희망은 전체 학문을 통섭하는 총체적 체계화에 기초를 세우는 것이었다. 볼프는 그 실마리를 수학적 논증의 도입에서 찾았다.
볼프는 국가와 도덕에 대한 종교의 필연성을 부정하고, 그 개념들을 ‘자연법’에 의거해 합리적이고 세속적인 논리로 설명하고자 했다. 그의 궁극적 지향점은 공정한 자연법칙에 근거해 인류 도덕 세계의 ‘완전성’에 도달하는 데 있었다. 볼프는 자연 세계가 신적인 완전성을 반영한다고 보고, 자연규율의 근본원칙을 탐구해 인간의 행위원칙에 적용시키려 했다. 그에게서 인간 세계의 완전성 지향과 우주의 완전성 추구는 동일 논법을 구성한다. 아울러 실천철학의 핵심인 이 완전성 개념은 과학적 합리론과 접맥되어 있다. 그에 따르면 “나는 본체론과 물리학에서 완전성의 보편적인 개념을 발전시켜 형이상학자의 학설을 더욱 강화했다. 각각의 생명들은 목적론적인 동인의 고찰에 근거해보면 모두 완전하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