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인
· ISBN : 9788952229182
· 쪽수 : 148쪽
· 출판일 : 2014-08-29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과거 보던 청년이 개화파가 되다
혁명가가 되려다 6년 옥살이
미국 유학에서 서양 문명을 학습
변함없는 외교독립론의 신념
국적 없는 독립운동가의 외로운 투쟁
소련의 한반도 개입을 걱정
좌우합작은 공산화로 가는 길
총선거를 통한 대한민국의 건국
남북협상론으로 제동이 걸린 건국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
6·25 남침으로 국가가 사라질 위기
동맹국을 얻기 위한 벼랑 끝 전술
자유민주주의의 실험
국가 발전의 초석을 놓다
물러날 때를 놓친 것이 큰 죄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승만이 감옥에 있는 동안 조선왕국은 망해 가고 있었다. 1904년 2월에 러·일 전쟁이 터졌다는 소식이 감옥 안에 퍼지자 정치범들은 통곡했다. 이제 조선은 이기는 나라에게 먹힐 것이 확실했기 때문이다. 감옥의 이승만이 할 수 있는 일이란 대중 계몽서인 『독립정신』을 쓰는 것이었다. 자료를 제대로 구할 수가 없었기 때문에 과거에 썼던 글들을 토대로 그의 생각을 새롭게 정리했다.
그 책에서 이승만이 강조한 것은 앞으로 조선이 멸망하지 않으려면 미국을 모델로 한 문명개화(文明開化)를 통해 부국강병(富國强兵)을 이룩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미국의 찬양은 공화제 옹호로 오해를 받아 역적으로 몰릴 수 있기 때문에 조선에는 영국과 같은 입헌군주제가 적합하다고 둘러댔다. 그러나 마음속으로는 그는 이미 공화주의자가 되어 있었다. 그것은 나중에 그가 감옥을 나와 미국 유학을 떠날 때 고종 황제의 면담요청을 거절한 사실에서도 나타났다.
회의가 열리는 도중 이승만은 상해에서 4월 13일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선포되고 그가 수반(대통령이 없는 상태의 국무총리)이 되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에 따라 필라델피아 회의는 단순히 독립을 선언하는 자리를 넘어 건국을 논의하는 자리로 바뀌었다. 한인대회는 미국이 독립할 당시에 조직되었던 제1차 대륙회의를 모방하여 ‘제1차 한인회의(First Korean Congress)’로 이름을 바꾸게 되었다. 그것은 ‘한인의 목표와 열망’이란 결의문에서 앞으로 세워질 국가가 미국의 대통령중심제와 자유민주체제를 모범으로 할 것을 결의했다.
대회 마지막 날 참석자들은 태극기와 성조기를 양손에 들고 ‘독립기념관’을 향해 시가행진을 벌였다. 군악대가 앞에 서고 필라델피아 시장도 참가했다. 독립기념관에 도착한 이승만은 3·1 운동 당시 서울에서 발표되었던 ‘독립선언문’을 낭독했고, 참가자들은 “대한공화국 만세! 미국 만세!”를 외쳤다. 이승만은 조지 워싱턴이 사용했던 의자에 앉아 기념 촬영을 했다. 이승만에게는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 임시대통령 취임식이 된 것이다.
샌프란시스코 유엔 창립총회가 한창 진행 중이던 1945년 5월 14일 이승만은 기자회견을 통해 폭탄선언을 했다. 2월의 얄타 회담(Yalta Conference)에서 강대국들이 한반도를 소련에게 넘기기로 비밀협약을 맺었는데, 자기는 그 사실을 소련인 망명객으로부터 들었다고 말했다.
이승만의 ‘얄타 밀약설’로 회의장은 발칵 뒤집혔다. 미 국무부는 즉각 부인 성명서를 냈다. 그런데도 이승만이 계속 비난하자, 백악관까지 나서서 부인했다. 파장은 영국에까지 밀려가 하원에서 처칠(Winston Churchill) 총리에게 사실 여부를 확인하는 일이 벌어졌다. 처칠은 비밀협약은 없었고 대체로 양해된 사항들은 있었다고 대답했다. 그러자 이승만은 바로 그것들 가운데 소련의 한반도 점령이 포함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미국 정부는 더 이상 반박하지 않았다. 그러자 이승만은 자기 말이 옳다고 더욱더 확신했다.
이승만의 주장이 맞았다는 것은 1945년 8월 8일 소련이 일본에 선전을 포고하고 북한을 점령하기 시작하면서 확인되었다. 소련군은 미군이 북한문제에 간섭하지 못하도록 재빨리 38도선을 막고, 김일성을 내세워 소비에트 정권을 세운 다음 공산화(共産化)에 착수했다. 그러나 미국은 아무런 항의도 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