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제주 전설 3 : 역사 전설 하편

제주 전설 3 : 역사 전설 하편

(제주의 신화.전설.민담)

이석범 (엮은이)
살림
4,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제주 전설 3 : 역사 전설 하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제주 전설 3 : 역사 전설 하편 (제주의 신화.전설.민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한국고대사 일반
· ISBN : 9788952233714
· 쪽수 : 164쪽
· 출판일 : 2016-04-30

책 소개

이번에 펴내는 ‘제주 전설’(전 5권)의 특징은, 우선 기존 민속학자나 작가에 의해 편찬된 제주도 전설 편편들을 총망라·집성했다는 점이다. 거기에다 그간 채록은 되었으나 현대어로 옮겨지지 않은 것들을 다수 포함하여 기존의 것들과 차별을 두었다.

목차

들어가며·4
우도 득성이코지·7|매고 무덤·9|움부리 설촌한 고혜한·15|강군택 하르방·17|자운당 한영장·20|괴 범 천총·23|삭달제장과 삼등매·33|허풍선이 이괄·39|가령 양 장의·44|현 유학·51|팔룡당과 팔사당·56|변 당장과 변만경 부자(父子)·60|홍리 오 서자·69|고성 홍 효자·73|충효 박계곤·78|명창 박 효자·80|천제연 효자·83|신촌 김댁 효부·89|열녀 정부인 김씨·92|현씨 부인·94|성읍 개 무덤·101|신선 고장의의 개·106|신도 충견 무덤·109|명견과 산쟁이·116|영리한 말·123|해녀와 산호수·128|장두 이재수·135|왕이 될 뻔한 제주 사람 문사랑·145|제주 사람이 청나라 황제 되다·159

저자소개

이석범 (엮은이)    정보 더보기
제주에서 출생하여, 1988년 『문학과비평』에 중편 「적들을 찾아서」가 추천되면서 소설가로 등단했다. 이후 한국의 교육문제에 천착하여 장편 『갈라의 분필』(우리문학사, 1992), 『권두수 선생의 낙법』(민음사, 1993), 『윈터스쿨』(전2권, 살림출판사, 1996) 등 ‘교육장편 3부작’을 펴냈으며, 『윈터스쿨』로 제3회 상상문학상을 받았다. 그 외 신문칼럼을 모은 『선생님으로 산다는 것』(살림, 2008), 중단편집 『어둠의 입술』(청동거울, 2001) 등의 저서가 있다. 2002년 이후 ‘설화의 보고’라 회자되는 고향 제주의 ‘신화·전설·민담’ 등 구전되는 모든 설화를 꼼꼼히 섭렵하고 재구성하여 책으로 펴내는 작업을 지속해왔다. 이제 그간의 『소설로 읽는 제주도 신화』(2005), 『제주 전설집』 Ⅰ·Ⅱ(2011~2012) 등의 성과를 기반으로 하고 ‘제주 민담’을 추가한 제주도 옛이야기들 총체인 이 ‘탐라유사(耽羅遺事)’를 ‘살림지식총서’에 한데 모아 선보인다. 설화의 보물창고를 활짝 열어젖혔으니, 원하는 누구든 한국에 마지막 남은 이 전통문화 콘텐츠에 수월히 접속하여 보석들을 캐내가기를 바라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그렇게 가차 없이 처형하다가 이재수는 어떤 낯익은 사람을 알아보게 되었다. 그 사람은 무수천에서 신발장수 하는 이였다. 이재수는 전에 마부 노릇을 할 때 신발이 떨어져 한 켤레 사야 했던 적이 있었다. 신발 한 켤레에 서 푼 하였는데 이재수는 딱 두 푼밖에 없었다. 그때 그 무수천 신발장수가 한 푼 모자라지만 그냥 신고 가라고 덕을 베푼 일이 있었다. 그 사람을 보자 이재수는, “이 사람은 비록 성교꾼이지만 나쁜 짓 할 사람은 아니다” 하며 그 사람은 살려주었다고 한다. 그래서 이재수를 의인이라고 하는 것이다.
이때 죽은 숫자가 양편 모두 합해 700명에 이른다는데 대부분 교인이었다. 이 봉기를 두고 제주 민중들은 ‘이재수의 난’이라 했고, 천주교에서는 ‘신축교난’으로 이름하였다.
뒤늦게 프랑스제국의 아시아함대 두 척이 산지포에 닻을 내리고 시위했다. 민란은 곧 진압되고 이재수를 비롯한 세 장두는 압송되어 교수형에 처해졌다.
프랑스 공사 갈림덕(葛林德: 콜랭드 플랑시)은 파괴된 교당, 가구?집기, 사망한 마르셀 신부의 시동(侍童)의 휼금, 마르셀 신부의 뱃삯, 이자 등을 포함한 손해배상을 정부에 요구했고, 외무대신 박제순은 난민에게 책임이 있다고 떠밀었다. 새로 부임한 제주 목사 홍종우는 4만 525명의 도민에게 1인당 15전 6리씩을 골고루 부담시켰다.(『제주 전설 3』, pp.143~144)


“아, 제주에서 왔다면 너 배질할 줄은 아느냐?”
“배질이야 하구말굽쇼. 제가 본래 고기잡이하는 어부로 살았습니다마는…….”
“시방 우리나라에서 중국에 처녀 진상을 해야 하는데, 중국 갈 배를 잘 부릴 사람이 없어 못 가고 있느니라. 네가 배를 잘 부려서 중국에 한 번만 다녀오면 정승 판서 부럽지 않게 대우를 해줄 것인데 한번 해보지 않겠느냐?”
“그래도 배질은 이제 그만……” 하면서 아들이 망설이는 기색이 있자 주인 대감은 더욱 적극적으로 권하였다.
“기왕 동냥질이나 해서 먹고사는 것인데 그보다야 낫지 않겠느냐?” 아들이 가만히 생각해보니 그게 나을 것도 같았다. (……)
아들은 진상하는 처녀들을 실은 배를 부리며 중국으로 향하였다. 중국 가는 게 며칠은 걸리는 일이어서 밤이면 밤마다 우망우망한 처녀들이 득실거리는 바람에 젊고 건강한 아들의 끼가 동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래서 그중 예쁜 처녀와 눈이 맞아 정을 통하게 되었다. (……) 그런데 배 안에서 정을 통했던 처녀는 황궁으로 들어가 궁녀가 되었는데, 그 미모 때문에 황제의 눈에 들어 황제의 사랑을 받게 되었다. 황제의 사랑을 받은 그 처녀는 곧 왕자를 낳았고, 마침 아들이 없던 황제는 매우 기뻐하며 즉시 세자로 삼았다. 이 세자가 바로 배 안에서 처녀와 정을 통한 아들의 씨였던 것이다. 그 후 몇 년이 지나 황제가 죽자 이 세자가 황제의 위를 이었는데, 이는 결국 제주 사람이 청나라 황제가 되었다는 이야기다.
사람들은 고기잡이 나갔다가 죽은 아버지 묏자리를 바닷속 용맥이라는 명당자리에 쓴 덕이라고 하였다.(『제주 전설 3』, pp.162~163)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