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간증/영적성장
· ISBN : 9788953137868
· 쪽수 : 364쪽
· 출판일 : 2020-07-22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Part 1 예수를 오래 믿어도 내 인격은 왜 제자리걸음일까
1. 우리는 사랑하는 것을 닮아간다 _짐 와일더
2. 나도 예수님처럼 될 수 있을까 _달라스 윌라드
3. 하나님에 대해 ‘생각’만 하는 삶에서 하나님과 ‘함께’하는 삶으로 _짐 와일더
Part 2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
4. 누가 성숙한 사람인가 _달라스 윌라드
5. 변화의 핵심은 믿는 것보다 사랑하는 것이다 _짐 와일더
6. 영성 훈련은 은혜에 이르는 수단이다 _달라스 윌라드
7. ‘변하지 않는 사랑’이 구원에 이르는 지름길이다 _ 짐 와일더
Part 3 공동체 속에서 예수의 인격을 배우다
8. ‘예수 닮은 삶’을 목표로 세우다 _달라스 윌라드
9. 한 세대에 생긴 구멍은 다음 세대로 전달된다 _짐 와일더
10. 하나님과 함께, 사람과 함께 성장하고 성숙하다 _ 짐 와일더
결론_ 달라스 윌라드 그 이후
부록 A. 소그룹 관계 기술 훈련
부록 B. 관계에 대한 자료
감사의 글
주
리뷰
책속에서
달라스 윌라드(Dallas Willard)가 내 앞에 앉아 눈물을 글썽이며 문쪽을 바라봤다. 달라스는 살날이 얼마 남지 않았었다. 하지만 그의 눈물은 그 때문이 아니었다. "지난 1년 동안 깨달은 것이 평생 깨달은 것보다 중요합니다. 그런데 글로 옮길 시간이 없네요. 이미 시작한 일들을 마무리해야 하거든요." 그가 나를 보았다. 순간, 궁금해졌다. 그는 나와 나눈 대화에 대해 생각하고 있는 것일까? 아니면 다른 것을 생각하고 있는 것일까?
"아무래도 당신이 이것에 대한 책을 써야겠군요." 달라스가 내게 말했다. 그의 목소리는 침착하면서도 힘이 있었다. "하나님을 향한 새로운 애착 형성을 기초로 한 구원론은 어디서도 들어본 적이 없어요." 그는 당장 그 개념에 대한 찬성이나 반대의 말을 하지 않았다. 다만 그가 알고 있는 한 이 개념을 제창한 다른 사람은 없었다. 말을 하기 위해 얼마 안 되는 에너지를 다 사용해서 피곤해진 그는 의자에 털썩 몸을 기댔다. 제인(Jane) 여사의 얼굴을 보니 내가 일어나야 할 때가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달라스는 좀 쉬어야 했다. 나는 그것을 여사의 표정으로 알아챘다
제인은 늘 영민한 관찰자이자 실용주의자였다. 전문 치료사이자 영적 지도자였던 그녀는 그리스도인으로 살고 싶지만 생각처럼 되지 않아서 좌절한 사람들을 매일같이 만났다. 트라우마를 경험한 사람은 자신이 원하는 만큼 변화를 이루기가 쉽지 않다. 제인은 흔히 처방되는 방법들이 어떤 사람들에게는 효과가 있는 반면, 어떤 사람들에게는 별로 효과가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소위 말하는 '착한 사람들'이 신학적 접근과 심리학적 접근 방식을 두루 사용해서 변화를 위한 노력을 하지만, 원하는 만큼 인격이 그리스도를 닮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을 발견했다.
제인은 내가 박사 과정을 마친 후 만나게 된 첫 번째 리더였다. 나는 제인의 훈련을 통해 하나님 임재 안에서의 치유를 경험했다. 가끔 제인은 농담처럼 달라스와 나를 둘 다 자신이 발굴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사실 제인이 우리에게 미친 영향은 그 이상이었다.
제인은 영적 해법만큼이나 심리학적 개입도 최대한 활용할 줄 알았다. 지난 35년 동안 제인은 달라스와 나를 독려해 폭넓고 깊고 완전한 변화의 방법을 찾게 했다. 달라스는 하나님을 만남으로 인한 변화의 결과들을 직접 보길 원했다. 제인은 상처나 성숙의 정도와 관계없이 효과가 있으면서도 신학적으로나 학문적으로 타당한 방법을 찾으려 했다. 우리는 모두 실용적이고 효과가 지속되는 변화의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했다. (중략)
그러나 달라스의 공로를 기리는 일은 쉽지 않았다. 그는 명석하고 온화했지만, 주목받는 것을 싫어했다. 다행히 그는 영적 · 정서적 성숙을 주제로 하는 콘퍼런스에서 메시지를 전하고 난 후 만찬에 참석해 주었다. 우리 목표는 달라스가 "죄 관리"라고 부르는 것이 아닌, "인격의 변화"를 얻을 최고의 방법을 찾는 것이었. 그런 목표에 따라 2012년 하트앤드소울 콘퍼런스(the Heart and Soul Conference)에서 변화를 위한 방법들을 개발하고 가르치는 전문가들과 변화되기 위해 "모든 걸 다 해 본" 내담자들을 한자리에 모으기로 했다. 지극히 평범한 그리스도인들이 뇌 전문가와 신학자들을 만나, 뇌가 어떻게 그리스도의 인격을 배우는지를 탐구할 계획이었다. 중세 때부터 이어져 온 인간 본성에 대한 신학적 이해가 과연 현재의 뇌 과학을 통해 변화될 수 있을지 여부를 탐구하기로 했다. 뇌가 인격을 배우는 기제를 알면 그 지식에 따라 그리스도인으로서 성숙하기 위한 방식을 수정할 수 있지 않을까?
하트앤드소울에서 달라스와 내가 나눈 토론으로 이 책을 완성했다. 우리는 뇌의 어떤 작동이 정체성을 형성하고, 그로 말미암아 인간이 성숙을 경험할 것인가에 대해 질문과 답을 얻었다. 뇌 속의 인간-정체성 시스템은 삶에 대한 감정적 반응들(많은 경우 그리스도를 닮지 못한 반응들)을 만들어 낸다. 그래서 뇌의 정체성 시스템에 변화가 일어나면 우리의 인격과 반응도 달라진다. 달라스와 나는 뇌가 인격을 변화시키는 기제를 크리스천들이 제자 훈련과 영적 형성을 위해 사용하는 방법들과 비교해 보고자 했다. 인격의 변화가 더 잘 이루어지도록 기도, 금식, 성경 공부 같은 영성 훈련법을 더 개선할 방법에 대해서도 고민했다.
달라스와 나는 변화의 본질을 함께 연구하고 나중에 그 연구를 바탕으로 책을 쓸 가능성을 타진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하트앤드소울 콘퍼런스가 시작된지 얼마되지 않아 달라스는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이 별로 남지 않았다는 진단을 받았다. 그래서 그 후의 일은 달라스 없이 나 혼자 해야만 했다.
_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