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조직/인력/성과관리
· ISBN : 9788953455726
· 쪽수 : 409쪽
· 출판일 : 2006-09-05
책 소개
목차
제1부 BSC 개요
1. BSC개요
1.1 전략적 성과관리(BSC) 시스템의 이해
1.2 전략적 성과관리(BSC) 시스템의 정의
1.3 전략적 성과관리(BSC) 시스템의 구성요소
1.4 전략 집중형 조직(SFO)
2. 성과평과 제도
2.1 공공부문 평가제도의 역사
2.2 정부업무평가기본법의 주요내용
2.3 정부 산하기관 경영평가 2006-06-26/한국경제신문
2.4 지방자치단체의 평가제도
3.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비교
3.1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비교
3.2 공공부문의 특성
3.3 공공부문의 BSC모델
3.4 민간부문의 특성
4. 언론보도 자료
4.1 A급과 F급의 직원의 차이(인터뷰 자료)
4.2 장광규 이랜드 CK(최고지식 경영자: 상무) 연합뉴스 인터뷰 자료
5. BSC를 도입하는 이유
5.1 전략의 달성촉진
5.2 균형된 성과평가
5.3 책임경영의 구현
5.4 조직변화의 촉진
5.5 의사소통의 활성화
5.6 신뢰도 확보
6. BSC 도입 성공포인트
6.1 BSC 구축 단계 성공 체크포인트
6.2 BSC 활용 단계 성공 체크포인트
제2부 BSC 구축
1단계 준비단계
1. 선행분석
1.1 선행분석
1.2 선행분석 절차
1.3 외부환경 분석
2. 프로젝트 계획 수립
2.1 프로젝트 범위
2.2 프로젝트 추진 일정
2.3 프로젝트 계획수립
2.4 조직별 업무분장
2.5 프로젝트 관리
3. 변화관리
3.1 변화관리
3.2 변화에 대한 저항
3.3 변화관리 모델
2단계 가치체계 구축단계
4. 가치체계
4.1 미션
4.2 비전
4.3 가치
4.4 관점
4.5 전략목표
4.6 가체체계 도출과정
4.7 가치체계 도출결과
4.8 가치체계 사례
5. Value-Chain
5.1 Value-Chain의 개념
5.2 Value-Chain의 필요성
5.3 Strategy & Value-Chain
6. 관점
6.1 관점의 정의
6.2 관점의 종류
6.3 관점설정 프로세스
6.4 관점별 개념
6.5 관점 검토 사항
6.6 관점 적절성 검토
7. 전략목표
7.1 전략목표의 정의
7.2 전략목표의 개발
7.3 전략목표 설정 프로세스
7.4 전략목표 수립절차
7.5 전사 전략목표 도출과정
7.6 전략정렬 피라미드
7.7 전략목표 수립 체크포인트
7.8 전략목표 사례
7.9 전략목표 선정기준
8. 전략체계도(Strategy Maps)
8.1 전략체계도의 개발
8.2 전략체계도의 개념
8.3 4가지 관점
8.4 전략체계도의의 용도
3단계 BSC 개발단계
9. 성과목표의 도출
9.1 BSC의 구조적 이해
9.2 성과목표란?
9.3 성과목표 도출: 방법론
9.4 성과목표 개발원칙
10. 성과지표
10.1 성과지표란?
10.2 성과지표의 분류
10.3 성과지표의 분류법
10.4 조직단위별 성과지표 설정방향
10.5 성과목표, 성과지표 도출 방법론
10.6 성과지표간의 가중치 및 우선순위 도출: AHP
10.7 측정된 결과에 대한 효율성이나 타당성 검증
10.8 성과목표 개발원칙
10.9 성과지표 설정시의 체크 포인트
10.10 성과지표의 속성 유형
10.11 성과지표의 유형
11. 이니셔티브
11.1 이니셔티브란?
11.2 이니셔티브의 작성방법
12. 캐스케이딩
12.1 캐스케이딩이란?
13. 지표정의서
13.1 지표정의서
13.2 계량지표와 비계량지표
14. 성과평가와 보상
14.1 BSC와 성과 평가
14.2 역량 평가
14.3 평가시스템의 설계원칙
14.4 평가시스템의 성공 요건
14.5 평가의 오류
15. BSC와 보상
15.1 성과 보상의 원칙
15.2 국내 기업의 성과주의 보상체계의 도입 현황
15.3 성과주의 보상 체계 운영상의 분제점
15.4 성과보상의 대표적 형태
15.5 성과보상과 BSC
15.6 BSC와 보상의 연계 방안
15.7 이익 배분
15.8 BSC평가와 보상을 연결할 때 고려해야 할 핵심 원칙
15.9 성공적인 성과보상 운영을 위한 전제 조건
15.10 성과보상제도 운영의 기대효과 및 시사점
15.11 사례[교육 인적자원부의 성과평가]
15.12 평가 결과 활용
15.13 사례2[KORTA BSC 평가]
4단계 BSC 운영단계
16. 운영계획 수립
16.1 세부운영계획수립
17. 마스터플랜 수립
17.1 BSC 도입단계
17.2 BSC 운영단계
17.3 일상적인 BSC 활동단계
18. 시스템 구축
18.1 BSC 시스템 구축 프로세스
18.2 변화를 시도하는 기억이나 조직 지켜야 할 8가지 원칙
18.3 실무경험에 의한 핵심성공요니
18.4 시스템 구성도
18.5 아키텍처 구성도
18.6 시스템 권장사항
18.7 업무구성도
18.8 시스템의 주요기능
18.9 세부 단계별 주요 활동
18.10 BSC 시스템 구축 프로세스
제3부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