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88954101790
· 쪽수 : 314쪽
· 출판일 : 2004-02-27
목차
책머리에
제1부 석정 시의 시간과 공간
제1장 논의의 실마리 = 11
1 어떻게 쓸 것인가 = 11
2 선행 연구사 = 13
3 방법론의 모색 = 22
제2장 시간론과 공간론의 전개 양상 = 30
1 인식론적 시간 위상 = 30
2 현상학적 공간 원리 = 39
제3장 석정 시의 시간 현상과 현실 대응 = 47
1 시간의 공간화와 비극적 자아 = 47
1.1 자아 분리와 시간의 자기화 = 49
1.2 합일 의식과 초극의 의지 = 61
2 회귀적 시간과 동일성 지향 = 72
2.1 자기 성찰과 타자 응시 = 73
2.2 현실 수용과 긍정적 미래 = 83
3 초월적 세계와 순환의 원리 = 93
3.1 연대감 확인과 신화 체험 = 94
3.2 현존성 자각과 재생 의식 = 105
제4장 석정 시의 공간 지표와 자아 의식 = 114
1 이상적 자아의 원거리 의식 = 114
1.1 '하늘'의 생명성과 거리의 문제 = 115
1.2 '바다'의 모성성과 자아 회복 = 125
2 사회적 자아의 실천 의지 = 133
2.1 '태양'의 인식과 존재의 자각 = 134
2.2 '고향'의 체험과 연민 의식 = 143
3 현실과 이상 세계의 조화 = 153
3.1 '산'의 역사성과 부활의 비전 = 154
3.2 '새'의 비상성과 공동체 지향 = 166
제5장 맺음말 = 179
제2부 현대시의 인식과 논리
1 한국 낭만주의 시의 〈동경〉 층위 = 185
2 복원과 확산의 변증법 - 박용래론 = 206
3 진보적 예술론자의 현실 의식 - 오장환론 = 240
4 생명 탐색과 자아 확립 - 박봉우론 = 256
5 현대시의 「춘향전」 패러디 양상 = 276
찾아보기 = 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