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독수리는 왜 까치에게 쫓겨다닐까?

독수리는 왜 까치에게 쫓겨다닐까?

(우리와 함께 사는 동물들 이야기)

김기범 (지은이)
자음과모음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1,700원 -10% 2,500원
650원
13,550원 >
11,700원 -10% 2,500원
카드할인 10%
1,170원
13,0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7,800원 -10% 390원 6,630원 >

책 이미지

독수리는 왜 까치에게 쫓겨다닐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독수리는 왜 까치에게 쫓겨다닐까? (우리와 함께 사는 동물들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인문/사회
· ISBN : 9788954431347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5-01-05

책 소개

인간과 함께 살아가는 생명체, ‘동물’에 대해 올바른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동물을 제대로 알아야 하는 이유를 생생히 보여 준다. 길고양이부터 반려동물, 야생동물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아는’ 동물들의 몰랐던 진실을 하나하나 짚어내 속속들이 파헤친다.

목차

우리 동물 이야기를 시작하며 4

첫 번째 이야기 | 그들을 이해하다
새끼 동물 납치 사건 12 독수리는 왜 까치에게 쫓겨다닐까? 21
뉴트리아는 괴물일까? 33 43년 전 멸종된 황새가 봉하마을에 44

두 번째 이야기 | 죽어 가는 동물들
동물실험은 고문이다 60 공장에서 자라는 돼지 70
슬픈 동물원 81 오랑우탄은 즐겁지 않다 91
바다제비를 살려라! 101 길에서 죽어 가는 동물들 114

세 번째 이야기 | 위기에 빠진 동물들
잠꾸러기 붉은박쥐 130 사라져 가는 점박이물범 140
가락지를 낀 철새 155 해안사구에 사는 표범장지뱀 168
무기징역 받은 사육곰 177 멸종 위기의 반달가슴곰 184
여우야 여우야 194

네 번째 이야기 | 바다로 나간 제돌이
제주도에서 돌고래 만나기 206 제돌이와 춘삼이 213
1번 제돌이 225 돌고래 쇼 237

다섯 번째 이야기 | 아끼고 사랑하기
새끼 고양이 구조 250 길고양이 중성화수술 256
반려동물을 생각하다 266

인간과 동물 이야기를 마치며 276
이 책을 추천하며 281

저자소개

김기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환경 기자. 2006년 경향신문 기자가 된 이래 국제부, 정책사회부, 전국사회부 등을 거치면서 자연 생태, 기후 위기, 환경 보건 등 환경 분야 전반을 집중적으로 취재하고 있다. 어렵고도 재미있는 환경과 과학 기사를 독자들에게 조금이나마 쉽게 전달하고자 하는 마음에 늦깎이 과학도가 되어 서울대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에서 공부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독수리는 왜 까치에게 쫓겨다닐까?』 『오늘도, 녹색 이슈』 『지구를 빼앗지 마!』 『2030 기후적응 시대가 온다』 『어디 사세요?』(공저) 『2020 한국의 논점』(공저) 『핵, 이젠 안녕!』(공저) 『녹조 라떼 드실래요』(공저) 〈지속의 문턱에서〉 총서(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어미 새가 버린 것으로 착각해 새끼 새를 동물구조센터에 데려오는 사례가 많다. 어미가 멀리서 지켜보고 있다면 ‘놀이터에서 노는 아이를 엄마가 보는 앞에서 미아인 줄 알고 파출소에 데려다 주는 일’이나 다름없는 셈이다.


‘하늘의 제왕’이라 불리는 독수리와 참새를 같은 사육장 안에서 키우면 어떻게 될까? 보통은 ‘독수리가 참새를 잡아먹을 것’이라고 예상하기 쉽지만 실제 두 조류를 한 공간에서 키우면 참새는 무사히 지낼 가능성이 높다. 독수리는 극히 드문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냥을 하지 않고, 사냥을 할 만한 능력도 없기 때문이다.


한국에서는 이미 1970년대에 멸종된 황새가 40여 년 만에 다시 모습을 나타낸 것은 2014년 3월 18일이었다. 화포천생태학습관 연구자들은 이날 황새를 발견하고 황새 발목에 끼워진 가락지 형태의 인식표에 새겨진 일련번호 ‘J0051’을 확인했다. ‘J’라는 글자가 일본에서 끼워 보낸 가락지라는 것을 뜻하기 때문에 연구진은 바로 일본의 황새마을인 효고현 도요오카시에 이 황새에 대해 문의했다. 일본 연구진은 이 일련번호가 2012년 4월 도요오카에서 태어나 2013년에 방사한 암컷 황새의 번호인 것을 확인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4432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