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88955080872
· 쪽수 : 302쪽
· 출판일 : 2006-04-25
책 소개
목차
책 머리에
1장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
1. 들어가는 말
2. 우리의 미 개념과 미의식
3. 서양에서의 미 개념
4. 미의 표현과 범주
5. 미에 대한 학적 탐구
6. 인식영역의 확장으로서의 미
2장 한국 현대미술 흐름의 미학적 의의와 전망
1. 들어가는 말
2. 현대미술의 특징
3. 예술작품의 근원과 해석
4. 맺음말
3장 미디어 시대의 예술
1. 들어가는 말
2. 미디어 시대의 예술의 내용
3. 가상현실과 현실적 삶의 변증법
4. 미래에 대한 전망
4장 예술에서의 고유성과 보편성
1. 들어가는 말
2. 예술의 고유한 특성
3. 개별자와 유형
4. 구체적 삶과 작품의 해석학적 연결
5. 맺음말
5장 무관심성과 한국미의 특성 : 칸트미학과 연관하여
1. 들어가는 말
2. 무관심성의 의미
3. 한국미의 특성으로서의 관조와 무관심성
4. 맺음말
6장 예술의 주제로서의 달에 대한 미적 해석
1. 들어가는 말
2. 자연 속은 자연환경에 대한 미적인 태도와 감상
3. 우리의 예술 전통 속에서의 달
4. 자연관조와 탐색의 대상으로 형상화된 달
5. 맺음말 : 자연대상으로서의 달과 인간의 미적 조화
7장 광주미술의 역사성과 미적 문화 : 광주미술상 '걸어온 10년, 가야할 100년'
1. 광주미술의 역사성
2. 미적 문화와 예향
3. 자유와 소통의 미학
4. 시대정신과 예술
8장 이경 조요한의 미와 예술론
1. 이경 조요한의 삶과 학문
2. 예술을 사랑하는 마음
3. 예술철학
4. 한국미의 조명
5. 유고집을 통해 본 미론
9장 오지호의 삶과 예술철학
1. 삶과 예술
2. 현대회화의 근본문제
3. 미와 회화의 과학
4. 맺음말
10장 전통을 통한 전통의 극복
1. 전통을 통한 전통의 극복으로서의 현대도예 : 최학천
2. 부작의 미적 이미지와 삶의 정서 : 노태범
3. 꽃의 형상화에 나타난 물의 중첩 이미지 : 박선진
4. 점의 집합을 통한 자연에로의 회귀 : 이형우
11장 정체성의 탐구
1. 개념의 국면들 : 앨리스 오
2. 불안정한 평형 : 디에고 에스포지토
3. 원초성의 이미지로서의 동심의 세계 : 김홍태
4. 삶의 흔적과 신체 이미지 : 임은순
5. 변할 수 있는 것과 변할 수 없는 것의 관계 : 이명일
12장 현대성의 모색
1. 꿈을 통한 미적 자유에로의 여정 : 진원장
2. 구성과 해체 사이의 역동적 이미지 : 류하완
3. 자연과의 교감 : 이병채
4. 실상 속의 허상 : 홍성은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예술작품의 존재방식은 표현이라는 사실에서 출발하며, 작품이란 표현의 의미가 어떻게 밝혀질 수 잇는가로부터 얻어진다. 예술작품이 추구하는 아름다움은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가. 그리고 표현된 것은 어떤 범주로 나뉘는가? 표현은 압축의 결과로 인해 내부의 것이 외부로 움직여 나오는 것, 즉 내재하는 것을 외재화하는 것을 말한다.
예술에서의 이러한 움직임은 시각의 압축으로부터 생긴다. 내적인 것이 정련 과정을 거쳐 미적으로 형상화되어 밖으로 드러날 것이며, 이는 어떤 근본형태를 지닐 것이다. 미적 표현에 있어 형태는 객관적인 현실로부터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현실에 대한 주관적인 내부의 반응으로부터 나타난다. 그리고 예술에서의 표현은 작가 개인의 내적 생명, 즉 자아.혼의 주관적 표현을 추구하는 정서표출에서 나오며, 범주화된다. - 본문 32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