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주식/펀드
· ISBN : 9788955333268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09-11-25
책 소개
목차
1장 _ 파생금융상품 편
01 파생금융상품은 어떻게 활용해야 하나요
02 파생금융상품의 정확한 뜻이 궁금해요
03 기초자산별 파생금융상품의 종류를 알고 싶어요
04 파생거래의 4가지 유형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05 스왑거래의 종류가 궁금해요
06 파생금융상품을 거래하는 목적은 무엇인가요
07 파생금융상품 시장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된 이유가 궁금해요
08 새로운 자본시장법에서 파생상품펀드 투자는 어떻게 달라지나요
09 알파벳‘E’로 시작되는 혼돈스러운 파생결합증권들, 쉽게 구분해 주세요
2장 _ ELS(주가연계증권)·ELF(주가연계펀드) 편
10 주식보다 안정적이라는 주가연계증권(ELS), 정확히 뭔가요
11 ELS는 조기상환과 만기상환이 둘 다 가능하다는데, 그 운용구조가 궁금해요
12 넉아웃형, 불스프레드형 등 ELS의 수익구조를 유형별로 분류해 주세요
13 ELS의 투자원금보장 여부와 수익실현 구조가 궁금해요
14 ELS의 약정조건만 맞는다면 만기 전에 조기수익실현이 가능하다던데, 사실인가요
15 ELS ‘넉아웃 가격’과 ‘넉인 가격’을 쉬운 사례를 들어 알려주세요
16 리베이트, 참여율, 더미쿠폰은 무슨 뜻인가요
17 성공하는 ELS의 투자요령에 대해 알려주세요
18 ELS가 특히 장기투자자에게 ‘부적합’한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요
19 ELS 투자시 주의해야 할 점을 짚어주세요
20 DLS와 ELS의 차이점이 뭔가요
21 진화하는 ELS과 DLS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어요
22 ELF도 원금손실 가능성이 있나요
23 ELF 수익구조를 알고 싶어요
3장 _ ETF(상장지수펀드) 편직장인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ELW·ELS·ETF
24 ETF, 투자해도 괜찮은 상품인가요
25 ETF는 인덱스펀드에 비해 어떤 장점이 있나요
26 ETF 투자시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27 ETF의 유동성 부족 문제에 대해 알려주세요
28 ETF의 유형별 종목들을 구분해 주세요
29 신종 ETF(국고채 ETF·리버스 ETF)에 대해 알고 싶어요
30 해외 ETF 거래시 지켜야 할 유의점은 뭔가요
31 ETF 투자시 알아야 할 용어는 어떤 것이 있나요
32 HTS 거래를 위한 계좌개설 절차를 알려주세요
33 효과적인 ETF 단기투자 전략이 궁금해요
34 자본선진국의 ETF 발전사례를 알고 싶어요
35 ETF의 향후 전망을 알려주세요
4장 _ ELD(주가연계예금)·CMA(종합자산관리계좌) 편
36 ELD의 수익구조를 알려주세요
37 ELD를 잘 고르기 위해서는 참여율과 수수료를 잘 보라고 하던데, 사실인가요
38 CMA와 은행예금 중 어떤 것이 더 유리한가요
39 CMA는 어떤 종류가 있나요
40 내게 꼭 맞는 CMA를 선택하는 방법이 궁금해요
5장 _ ELW(주가워런트증권) 편
41 ELW란 무엇인가요
42 ELW와 주식·선물·옵션을 비교해서 설명해 주세요
43 ELW와 관련된 기본용어를 정리해 주세요
44 ELW 거래는 어디서, 어떻게 하나요
45 양날의 칼인 레버리지(지렛대) 효과에 대해 알려주세요
46 ELW의 콜·풋 투자전략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어요
47 ELW의 콜·풋 투자 성공사례를 알려주세요
48 ELW 가격을 결정하는 요소는 무엇인가요
49 ELW 실전투자 절차를 자세히 알려주세요
50 ELW의 투자위험 요소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51 ELW의 위험을 줄이는 방법이 궁금해요
52 수익률 좋은 ELW를 선택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53 블랙-숄즈 모형이란 무엇인가요
54 내재변동성이 역사적 변동성보다 높은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요
55 ELW에 투자하면서 원금을 보장받는 방법은 없나요
56 위험은 줄이고 안정은 늘리는 ‘제한된 손실위험 전략’이란 뭔가요
57 특정 주식을 보유한 투자자가 주식하락이 예상될 때 할 수 있는 현명한 ELW 투자법을 알려주세요
58 델타(Delta :Δ)가 ELW 투자시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59 델타를 활용해서 주식투자 손실을 줄이는 법을 알려주세요
60 ELW의 2가지 중요한 가치인 내재가치와 시간가치에 대해 알려주세요
61 내재변동성의 지표인 베가에 대해 알려주세요
62 시간가치를 알려주는 세타란 무엇인가요
63 ELW의 향후 발전전망이 궁금해요
저자소개
책속에서
파생금융상품 시장은 보다 높은 수익을 원하는 투자자에게는 고수익의 투자수단을, 안정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는 효과적인 위험관리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장기적인 투자를 돕는다.
파생금융상품은 기초자산에 투자할 때보다 거래가 간편하고 거래비용도 적게 들어가는 등 장점이 많다. 또한 소액의 증거금이나 프리미엄으로 규모가 훨씬 큰 기초자산에 투자한 것과 비슷한 레버리지 효과를 볼 수 있다. 아울러 투자원금을 주고받지 않으므로 자금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이와 더불어 옵션을 비롯한 파생상품의 여러 기법을 이용하면 기초자산만으로는 불가능한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함으로써 분산투자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따라서 파생금융상품에 투자하는 것이 시장의 변동에 따른 위험을 적절히 회피하는 대안이 될 수 있다. 위험을 피하는 수단으로써 파생상품에 투자하면 큰 이익을 얻기는 힘들다(헤지거래). 반면 레버리지 효과를 노리고 투자할 때는 위험을 짊어진 만큼 큰 이익을 얻을 수 있다(투기적 거래).
- 본문 ‘파생금융상품을 거래하는 목적은 무엇인가요' 중에서
주가가 향후 지속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판단되면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다. 보유주식을 현재 시점에서 전량 매도해 현금을 보유하거나 더 나아가 공격적인 주식매도로 수취한 현금의 일부나 전부로 해당 주식의 풋 ELW를 매입해 추가적인 고위험·고수익을 노릴 수도 있다. 주가를 정확히 전망한 경우라면 엄청난 수익을 거둘 수도 있지만, 그 반대의 경우라면 얘기가 달라진다. 주가의 미래는 그 누구도 단정 지어 말할 수 없다.
그런데 여기에 레버리지 효과를 더한 ELW와 같은 파생상품의 경우에는 주가에 대한 지나친 확신보다는 보수적이고 안정적인 투자관점에서 접근해가는 투자자세가 바람직하다. 그 대표적인 투자자세가 ‘방어적(Protective) 풋 전략’이다.
방어적(Protective) 풋 매수전략은 주식 보유자가 일정 수준 이상의 가격하락을 방어하는 일종의 보험과도 같다. 주가하락시 하락을 방어하고 주가상승시에는 수익을 취할 수 있는 점에서 풋옵션 구입비용은 일종의 보험료인 셈이다.
- 본문 ‘특정 주식을 보유한 투자자가 주식하락이 예상될 때 할 수 있는 현명한 ELW 투자법을 알려주세요’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