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사회와 호칭어

한국 사회와 호칭어

김성철, 이정복, 채서영, 왕한석, 김희숙, 박정운, 김혜숙 (지은이)
역락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200원 -5% 0원
800원
14,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사회와 호칭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사회와 호칭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국어사/방언론
· ISBN : 9788955563511
· 쪽수 : 326쪽
· 출판일 : 2005-01-27

책 소개

사회언어학의 시각에서 우리가 사용하는 호칭어를 다룬 7인의 사회언어학 전공자들의 연구 성과물을 묶은 책. 우리말에서는 이름의 사용을 가급적이면 피하는 경향이 발견되어 다른 언어사회와 비교하여 호칭어가 복잡하게 발달되어 있다. 이렇듯 복잡하게 발달되어 있는 호칭어와 한국 사회와의 관계를 다양한 시각으로 살폈다.

목차

제1부 호칭어를 이해하는 방법

제1장 호칭어의 주요 이론과 연구 시작 - 왕한석
1. 호칭어의 개념과 범위
2. 호칭어의 주요 이론 틀
3. 호칭어의 비교문화적 다양성
4. 호칭어 연구의 기본 시작

제2장 "한국적" 사회언어학이란? - 김희숙
1. 문제의 제기
2. 학제적 방법론이란?
3. 언어학 vs. 사회과학 vs. 사회언어학
4. 사회언어학 vs. "한국적" 사회언어학
5. Sapir-Whorf 가설과 한국사회
6. 결론

제2부 사회의 변화와 호칭어

제3장 한국어 호칭어 체계 - 박정운
1. 머리말
2. 이름 호칭어 유형
3. 직함 호칭어 유형
4. 친족어 호칭어 유형
5. 대명사 호칭어 유형
6. 통칭적 호칭어 유형
7. 기타 호칭어 유형
8. 영형 호칭어 유형
9. 친근 호칭어으로의 전이
10. 맺음말

제4장 신분지위호칭에서 의사친척호칭으로 - 왕한석
-사회계급의 변화와 호칭사용의 변화
1. 머리말
2. 조사지의 사회적.역사적 배경
3. 신분지위호칭 및 반상간의 호칭 사용
4. 갈등의 상황과 회피의 전략
5. 의사친척호칭 및 '과거의' 반상간의 호칭 사용
6. 신분지위호칭의 잔재
7. 요약 및 결론

제5장 종자명제, 지역명제, 직위명제: 보조 친족명칭과 개인의 인식법 - 김성철
1. 머리말
2. 개인의 인식법
3. 보조 친족명칭의 연구
4. 한국의 친족명칭 제도
5. 직위명제
6. 보조 친족명칭의 사용 실제
7. 맺음말

제6장 호칭어의 역설: 2차 한국사회 내 늘어나는 몇몇 친족어사용 - 김희숙
1. 머리말
2. 모델과 가설
3. 연구방법
4. 경험적 증명
5. 맺음말

제3부 새로운 호칭어에 대한 접근

제7장 JP, YS, DJ - 영어 두문자 약칭 - 채서영
1. 머리말
2. 영어 두문자 약칭의 사용양상
3. 영어 두문자 약칭에 대한 제약조건
4. 영어 두문자 약칭이 사용되는 원인
5. 맺음말

제8장 2인칭 여성 대명사 '자기'의 발달과 사용 - 박정운, 채서영
1. 들어가기
2. '자기' 사용의 사회언어학적 조사
3. 맺음말

제9장 교사 부부의 관계 변화에 따른 호칭어 사용 변화 - 김혜숙
1. 들어가는 글
2. 부부 호칭어의 연구 배경
3. 연구 방법
4. 부부 교사의 관계 변화에 따른 호칭어 변화 및 의미체계
5. 가정 내에서의 부부의 역할에 대한 의식 구조
6. 맺음말

제4부 사이버 공간에서의 호칭어

제10장 인터넷 통신 언어 호칭어의 특성 - 이정복
1. 머리말
2. 통신 언어 호칭어의 쓰임 개관
3. 두루 높임 호칭어 '님'의 심층 이해
4. 맺음말

찾아보기

저자소개

김성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씨애틀에 있는 워싱턴대학교에서 인류학으로 석사학위,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후 워싱턴대학교 한국학과 교수, LG 커뮤티카토피아 연구소 책임연구원을 역임하였고, 현재 인제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관심 분야는 가족. 친족.기업 문화, 정보화 사회 등이며 가족.친족분야의 대표 저술로는 「종자명제, 지역명제, 직위명제 : 보조 친족명칭고 개인의 인식법」(1995), 「종족과 사회 : 한국과 중국의 비교」(1997), "Kinship in Contemporary Korea : Normative Model versus Practice"(1998), 「한국의 가족, 친족에 대한 사회인류학적 연구의 기념비」(1999)가 있다.
펼치기
이정복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한국사회언어학회 회장 역임 대구대학교 문화예술학부 교수 주요 논저: [사회적 소통망(SNS)의 언어문화 연구], [한국 사회의 차별 언어], [한국어 경어법의 기능과 사용 원리] 외 다수
펼치기
채서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언어학 개론’, ‘언어와 사회’ 과목을 강의한다. 대학 시절 미국 NBC 서울 지국에서 뉴스 제작 업무를 지원하고 만화영화 제작 업체의 통역 업무를 하다가 언어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품고 유학을 결심했다. 국제로타리재단 장학생에 선발되어 펜실베이니아 대학에서 사회언어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유학 당시 AT&T 벨연구소의 세계 언어-인지 프로젝트에 참여했고, 한국에 돌아온 후에는 언어 변화, 호칭어, 언어 접촉, 언어 계획 등 언어와 사회의 관계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학생들이 언어에 흥미를 갖도록 강의에 힘쓰고 있다. 옮긴 책으로 《문화와 의사소통의 사회언어학》(공역) 등이, 지은 책으로 《영어학의 이해》(공저) 《한국어와 한국사회》(공저), 《마음을 움직이는 영어 메시지》(공저), 《영어는 대체 왜 그런가요》 등이 있다.
펼치기
왕한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1985~2015), 현재는 명예교수이다. 주 전공은 언어인류학, 사회언어학, 인지인류학이며, 한국의 언어문화에 대한 폭넓은 연구를 해 왔다. 주요 연구 업적으로는 『한국의 언어 민속지: 강원도 편』(2021), 『한국의 언어 민속지: 충청남북도 편』(2016), 『한국의 언어 민속지: 경상남북도 편』(2012), 『한국의 언어 민속지: 전라남북도 편』(2010), 『한국의 언어 민속지 1: 서편』(2009), 『또 다른 한국어: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언어 적응에 관한 인류학적 연구』(2007), 『한국어·한국문화·한국사회』(편저, 2010), 『한국어와 한국사회』(편저, 2008)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학술연구상(2013)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김희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자대학교 졸업. 동대학원 문학박사. 현, 청주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청주대학교 국어문화원장.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심의회 위원. 논저 - <'두루높임' 의 한 사회언어학적 해석> <한국어의 세계적 전파 : 믿음인가? 가능성인가?> <한국어사회와 호칭어> 등 다수.
펼치기
박정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학부 교수.
펼치기
김혜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양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펼치기

책속에서

국어 2인칭 대명사의 특성을 한마디로 요약한다면 수적으로는 "풍부"하나 사용은 "미약"하다는 것이다. 국어 2인칭 단수 대명사는 몇 개인가에 대해 학자에 따라 의견이 다르다. 적게는 Hwang(1975)에서처럼 너, 자네, 당신의 3개만을 인정하는 경우도 있고 Pae(1974)나 Cho(1982)에서처럼 너, 자네, 당신, 그대, 자기, 임자, 댁, 어른, 어르신의 9개를 인정하는 경우도 있다.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