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88952132116
· 쪽수 : 364쪽
· 출판일 : 2023-04-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서장: 경기 지역의 언어문화 연구
양평(楊平) 지역의 언어문화
연구의 과정
1. 지명
2. 생태 환경의 어휘적 구분 I
1) 바람, 비, 눈, 달의 구분법
2) 흙, 논, 밭의 구분법
3) 작물, 밥, 술의 구분법과 토속 음식
4) 소와 가축의 구분법
3. 생태 환경의 어휘적 구분 II: 동물의 자연 세계
1) 민물고기와 여타 수생 식용 동물
2) 새의 종류와 울음소리
3) 여타 식용의 야생 동물과 미물(微物)의 자연 세계
4. 친척용어체계
1) 친척용어의 목록
2) 친척용어의 주요 특색
3) 친척 관련 어휘와 표현
4) 친척어휘의 형태 분화
5. 호칭체계
1) 지위 구분의 민속 모형
2) 의사친척호칭의 사용
3) (과거의) 택호 사용
4) 특이 호칭어
6. 존댓말의 체계
1) 존댓말에 관한 민간 명칭
2) 말단계의 조직
3) 인칭대명사와 기타 존대 표현
4) 청자존대어의 사용 규칙
5) 주체존대어의 사용 방식
6) ‘관용화된’ 존대 표현
7. 말의 주요 범주와 특수한 상황변이어
1) 말에 대한 민간 명칭과 표현
2) 아기말
3) 짐승을 부르는 말
4) 의례어와 인사말
8. 언어예술 I
1) 욕 및 악담과 ‘동물의 은유’
2) 속담과 관용적 표현
3) ‘김매기소리’
9. 언어예술 II
1) 곁말
2) ‘우스개소리’
3) 이야기
결어: ‘한국의 언어 민속지’ 연구의 과정과 결과
참고문헌
Abstract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