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가족과 친족의 인류학

한국 가족과 친족의 인류학

(이론.쟁점.변화)

정향진, 김성철, 로저 자넬리, 임돈희, 김은희, 권헌익, 왕한석, 김창민, 전경수, 사와노 미치코, 김주희, 강윤희 (지은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3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000원 -0% 0원
1,550원
29,4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1,000원 -10% 1550원 26,350원 >

책 이미지

한국 가족과 친족의 인류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가족과 친족의 인류학 (이론.쟁점.변화)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고고학/인류학
· ISBN : 9788952119926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18-12-25

책 소개

한국의 가족과 친족에 관한 인류학적 연구를 재확립하고 재생시키는 데 하나의 계기가 되고자 하는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두 가지 기본 취지를 공유하고 있다. 첫째, 한국의 사회와 문화 연구에서 가족과 친족 분야는 여전히 근본이며 핵심이라는 점이고, 둘째, 한국의 가족과 친족에 관한 연구에서 인류학적 접근은 고유하게 기여할 바가 크다는 점이다.

목차

책머리에

서론 _ 정향진

제1부 이광규의 가족과 친족 연구

제1장 송현 이광규의 한국 가족친족론 _ 김성철
1. 들어가는 말
2. 편서의 구성
3. 사회인류학적 연구
4. 구조와 구조: 구조기능론적 구조와 “대립과 조화”의 구조
5. 구조 외의 연구
6. 나가는 말: 연구 의의 및 후학들의 과제

제2장 이광규 교수의 한국 친족의 표준화 연구 _ 로저 자넬리 · 임돈희
1. 들어가는 말
2. 입양의 불안정성
3. 또 다른 문제 조상들
4. 의례수행지파
5. 가제와 시제
6. 문제적인 시제
7. 나가는 말

제2부 이광규 이후: 한국 가족과 친족 연구의 방향 제안

제3장 한국의 부계친족집단과 친족이론 _ 김은희
1. 들어가는 말
2. 출계이론과 그 비판
3. 한국의 부계친족집단
4. 양반제와 부계친족집단
5. 지방유림과 남자의 ‘바깥출입’: ‘조상’과 ‘양반’의 재생산
6. 나가는 말: 한국 친족의 이론적 함의

제4장 분단시대의 한국 친족연구 _ 권헌익
1. 들어가는 말
2. 조상 아닌 조상들
3. 정치이론으로서의 친족연구
4. 탈식민의 역사와 친족연구
5. 나가는 말

제3부 가족과 친족 실천의 다양성

제5장 한국 친척호칭의 사회적 변이 _ 왕한석
1. 들어가는 말: 연구의 시각 및 목적
2. 연구의 과정과 방법
3. 연구대상 지역의 사회문화적 배경
4. 친척호칭의 비교 목록
5. 반촌의 친척호칭체계와 민촌의 친척호칭체계
6. 사회계층과 통혼관계
7. 나가는 말: 요약 및 결론

제6장 흑산도의 친척 _ 김창민
1. 들어가는 말
2. 모래미 마을
3. 제사 상속과 ‘큰집’
4. 시제와 ‘내롱’
5. 나가는 말

제7장 진도 사람들의 이름에 적용된 ‘-바’와 ‘-다니’에 관한 민속지적 보고 _ 전경수
1. 들어가는 말
2. ‘-바’: 남아(男兒)의 의미
3. ‘-다니’: 여아(女兒)의 의미
4. 나가는 말

제4부 변화하는 가족과 친족

제8장 계보와 친밀성 사이 _ 사와노 미치코
1. 들어가는 말
2. 한국 가족·친족과 묘
3. 묘의 변화를 읽다
4. 납골당에서 실천되는 ‘가족’
5. 나가는 말

제9장 결혼 초기 여성의 친족관계 _ 김주희
1. 들어가는 말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및 연구대상자
4. 친족관계의 내용
5. 나가는 말

제10장 초국가적 분거 가족과 ‘아버지 됨’의 재구성 _ 강윤희
1. 들어가는 말: 초국가적 분거 가족의 등장
2. 민족지적 배경: 싱가포르의 기러기 가족
3. ‘기러기 아빠’로의 선택과 사회적 조건
4. ‘기러기 아빠’들의 전략: 전통적 부성의 이미지 유지하기
5. ‘엄격한 엄마와 자상한 아빠’: 자녀교육에 대한 상이한 태도
6. 나가는 말

찾아보기
발간사

저자소개

임돈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화인류학자이자 민속학자입니다. 서울대 고고인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민속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유네스코 세계 무형 유산 등재 선정 국제 심사위원을 지냈습니다. 2001년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 2003년 판소리를 위시하여 2012년 아리랑, 2013년 김장 문화, 2014년 농악 등 우리나라 17개의 무형 유산 종목이 유네스코에 등재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습니다. 파리 국립사회과학고등대학원 초빙교수를 지냈고 현재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이며 동국대학교 석좌교수입니다. 지은 책으로는 『조상 의례와 한국 사회Ancestor Worship and Korean Society』 (공저) 『조선 왕실의 큰 제사 종묘제례와 제례악』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김은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의류학과를 졸업하고, 1993년 미국 시카고대학교에서 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학위논문은 한국의 전통가족이 도시 중산층의 핵가족으로 변환되는 과정을 다루었다. 특히 핵가족에서 젠더 역할의 분리가 기업 조직의 일 이데올로기와 맞물려 있는 현상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후 친족·가족, 젠더, 아동기, 가족과 기업문화 등의 주제에 대해 가르치고 연구했다. 중앙대학교 유아교육학과에서 겸임교수를 역임했고,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전임연구원으로 재직했다. 대중적인 글쓰기에 관심이 많아 IMF 경제위기를 문화적 관점에서 접근한 『문화에 발목잡힌 한국 경제』(공저)를 저술한 바 있다.
펼치기
전경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9년생.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고고인류학과에서 고고학 학사, 동 대학원에서 인류학 석사, 미국 미네소타대학 대학원에서 인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1 982년부터 2014년까지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교수를 역임하면서 문화이론, 생태인류학, 인류학사를 가르치고 연구했다. 2011년 서울대학교 학술연구상을 받았다. 학문사의 중요성을 감안해 일제식민지 시기의 인류학사를 정리한 것이 이 책이다. 대표 저술로 『문화의 이해』(1994), 『환경친화의 인류학』(1997), 『한국인류학 백년』(1999), 『이즈미 세이이치와 군속인류학』(2015) 등이 있다. 한국문화인류학회, 제주학회, 진도학회, 근대서지학회 회장으로 봉사했다. 객원교수, 방문교수, 특빙교수, 연구원 등의 신분으로 도쿄대학, 국립민족학박물관, 규슈대학, 야마구치대학, 가고시마대학, 오키나와국제대학, 야마구치현립대학(이상 일본), 운남대학, 상해대학, 귀주대학(이상 중국), 예일대학(미국), 오클랜드대학(뉴질랜드), 중앙연구원 민족학연구소(대만), 유이떤대학(베트남) 등에서 교수와 연구를 수행했다.
펼치기
로저 자넬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Georgetown대학교에서 경영학 학사학위, Pennsylvenia대학에서 경영학 석사학위, 인류학과와 민속학과에서 석사학위,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Indiana대학교 민속학과와 동아시아 언어. 문화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한국학 위원회 위원장, Indiana대학교 한국학 Program의 소장을 역임하였으며, Washinton대학교, Texas대학교 초빙교수를 역임하였다. 지은 책으로는 Making Capitalism : the Social and Cultural Construction of a South Korea Conglomerate(Stanford University Press, 1993 임돈희와 공저), 옮김 책으로는 The Anthropology of Korea : East Asian Perspectives(National Museum of Ethnology, 1998, Mutsuhiko 와 공편)가 있다.
펼치기
김주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했으며,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에서 인류학과 대학원 석사 및 박사를 수료했다. 일본 도쿄 대학 인류학과 객원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성신여자 대학 가족문화소비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왕한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1985~2015), 현재는 명예교수이다. 주 전공은 언어인류학, 사회언어학, 인지인류학이며, 한국의 언어문화에 대한 폭넓은 연구를 해 왔다. 주요 연구 업적으로는 『한국의 언어 민속지: 강원도 편』(2021), 『한국의 언어 민속지: 충청남북도 편』(2016), 『한국의 언어 민속지: 경상남북도 편』(2012), 『한국의 언어 민속지: 전라남북도 편』(2010), 『한국의 언어 민속지 1: 서편』(2009), 『또 다른 한국어: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언어 적응에 관한 인류학적 연구』(2007), 『한국어·한국문화·한국사회』(편저, 2010), 『한국어와 한국사회』(편저, 2008)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학술연구상(2013)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권헌익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인문대를 중퇴하고 미국 미시간대에서 정치학 학사, 영국 케임브리지대에서 사회인류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초기의 구소련 시베리아 원주민사회 연구에서 근래의 베트남전쟁 미시사 연구에 이르기까지 줄곧 비교공산주의와 냉전시대 인간의 조건에 집중해왔다. 맨체스터대, 에든버러대, 런던정경대 교수를 거쳐 2020년 현재 케임브리지대 트리니티칼리지에서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베트남전쟁을 다룬 저서 『학살, 그 이후』로 미국인류학회에서 기어츠상, 『베트남 전쟁의 유령들』로 아시아학회에서 카힌상을 수상했고, 냉전의 이해에 관한 저작으로 한국의 경암학술상과 세종문화상을 수상했다. 2019년 10월 프랑스의 레비스트로스상을 수상하고 이 책의 내용이 부분적으로 소개된 ‘인류학과 세계평화’라는 제목의 대중강연을 했다. 2020년 현재 서울대 사회과학대에서 인류학 초빙석좌교수로 있으면서 전쟁으로 인한 한국사회의 종교적 변화를 다룬 새 저작을 완성 중이다.
펼치기
강윤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미국 예일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언어인류학이며,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등 동남아시아와 한국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주요 논문으로 “A Pathway to ‘Constant Becoming’: Time, Temporalities and the Construction of Self among South Korean Educational Migrants in Singapore”(2018), ““커피 배우기”: 언어, 향미, 그리고 감식안의 습득 과정”(2015), “Singlish or Globish: Shifting Language Ideologies and Global Identities among Korean Educational Migrants in Singapore”(2012) 등이 있다.
펼치기
사와노 미치코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9년에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에서 석사학위를, 2014년에 일본 고베대학교 국제문화학연구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일본 리츠메이칸대학교 종합심리학부 준교수로 재직 중이다. 가족, 신체, 의료 등의 주제영역에서 연구하고 있다. 한국 농촌마을과 유방암 환우회, 일본의 중소기업에서 현지연구를 수행해 왔다. 가족에 관한 연구로 『乳がんと共に生きる女性と家族の?療人類??韓?の「オモニ」の民族誌(유방암과 함께 사는 여성과 가족의 의료인류학: 한국 어머니의 민족지)』(明石書店, 2017), 「ケアの再構成を通した韓?の家族再考??婚女性の乳がん患者の事例(보살핌의 재구성을 통해 보는 한국 가족 재고: 기혼여성 유방암 환자의 사례)」(『文化人類?』, 2013)가 있다.
펼치기
정향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1년에 미국 미네소타대학교 인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심리인류학을 세부전공으로 하여 문화심리, 자아와 감정, 사람됨, 교육, 정신역동, 가족주의, 후기근대성 등의 주제영역에서 연구하고 있다. 미국과 한국에서 현지조사를, 북한에 관해 원거리 연구를 수행해 왔다. 저서로 Learning to Be an Individual: Emotion and Person in an American Junior High School(Peter Lang, 2007)이 있고, 가족주의 관련 연구로는 「북한 가족주의 체제의 모성적 토대: 보건의료부문을 중심으로」(『통일과 평화』, 2014), 「담임학급제도에서 나타나는 가족비유와 가족주의: 지속과 변화」(『비교문화연구』, 2014) 등이 있다.
펼치기
김성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1년에 미국 워싱턴대학교에서 사회문화인류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인제대학교 한국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가족과 친족, 기업문화, 정보화사회다. 가족과 친족 분야 최근 논저로 “Who Are Venerated in Contemporary Domestic Ancestral Rites?: An Aspect of Ritual Change among Urbanites in Korea”(Korea Journal, 2014), “Lineage and Society: A Comparison of Korea and China”(Korean Anthropology Review, 2017) 등이 있다.
펼치기
김창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4년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에서 제주농민문화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LG전자 커뮤니카토피아연구소,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경기문화재단을 거쳐 2002년부터 전주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제주도에서 장기간 현지연구를 했으며, 흑산도, 진도, 위도 등 한국의 서남해 도서 지역과 오키나와를 대상으로 섬의 문화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연구주제는 친족조직, 공동체 의례를 중심으로 문화적 정체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저서로는 『환금작물과 제주농민문화』가 있으며, 논문으로는 [국가의 정책 결정에 대한 지역 주민의 대응:부안군 위도의 방폐장 논쟁을 중심으로](『비교문화연구』 2007), [마을의 사회조직과 통합성:충청남도 원산도, 의항리, 외암마을의 비교] (『사회과학연구』 2011), [오키나와 시사와 문화적 정체성 만]기 (『동아시아문화연구』 2016), [연령집단과 평등 이념:제주도의 갑장](비교문화연구』 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1990년대 후반 이후 한국 인류학에서도 가족과 친족 연구는 그 인기가 크게 떨어졌고, 이광규와 일단의 후배 학자들 연구는 후속 세대로 제대로 이어지지 못하는 실정에 이르렀다. 이 책의 저자들이 공유하는 기본 취지는 다음의 두 가지를 확인하고, 한국 가족과 친족의 인류학을 후속 세대가 확장하고 발전시킬 계기를 마련하자는 것이다. 첫째, 한국의 사회와 문화 연구에서 가족과 친족 분야는 여전히 근본이며 핵심이라는 점이고 둘째, 한국의 가족과 친족에 관한 연구에서 인류학적 접근은 고유하게 기여할 바가 크다는 점이다.


요즈음도 한국에서는 혁신과 효율을 대표한다는 공리집단인 기업에서조차 소유주 가족?친족들이 최고 경영층을 독점하고 있고, 기업경영에까지 가족주의를 유추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그렇지 않더라도 사람들이 만나면 나이, 고향, 출신 학교를 묻는 것에 덧붙여 본관까지 묻고 있다. (…) 이광규가 채용한 구조분석의 모형은 정태적인 모형이기에 한 사회나 문화의 규범적인 측면을 설명하는 데는 유리하지만, 실제적인 변화를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이 소규모 씨족(clan)은 출계집단(descent group)이라는 이름 아래 다루어질 것이다. 프리드만(M. Freedman)은 중국의 사례에서 이 소규모 씨족에 대해 “branch”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 집단에 대해서는 “출계집단”이 더 적절한 용어일 수 있는데, 출계율이 이 집단의 기본 구조로서 기능하기 때문이다. 당내는 식자층에서 이 출계집단에 대해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된 용어 중 하나로서, “집안” 또는 “같은 지붕 아래”를 뜻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2129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