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부동산/경매
· ISBN : 9788955570724
· 쪽수 : 370쪽
· 출판일 : 2003-01-15
목차
부동산입문을 펴내면서
제1강 총설
1. 부동산업의 분류 = 15
2. 건설업의 시장 = 16
3. 부동산분양상담사의 역할 = 17
4. 참모분양 또는 독립분양의 구분 = 17
핵심예상문제 = 19
제2강 부동산 컨설팅
1. 부동산 컨설팅업체의 유형
1. 부동산 컨설팅업 경영의 유형 = 22
2. 부동산 컨설턴트의 활동
1. 부동산의 구입과 투자 = 24
2. 부동산의 절세대책 = 24
3. 부동산의 매각과 기획 = 25
4. 부동산의 권리조정 = 25
5. 부동산업자의 선정과 소개 = 26
3. 부동산 컨설턴트의 구비조건
1. 부동산 컨설턴트의 구비조건 = 26
2. 부동산 컨설턴트의 자격제도 = 28
3. 부동산 컨설팅의 보수 = 35
4. 부동산 컨설턴트의 유형별 보수 = 37
핵심예상문제 = 39
제3강 부동산문제와 부동산학
1. 부동산학의 의의
1. 부동산학의 정의 = 43
2. 부동산학의 이념과 과제 = 44
3. 부동산문제 = 44
4. 부동산문제의 특징 = 49
5. 부동산학의 3대 측면 및 복합개념 = 50
6. 부동산학의 접근방법 = 51
7. 부동산학의 일반원칙 = 53
2. 부동산
1. 부동산이라는 용어의 유래 = 54
2. 부동산의 개념 = 54
3. 부동산의 분류 = 61
4. 부동산의 특성 = 75
3. 부동산활동
1. 부동산활동의 의의 = 82
2. 부동산활동의 분류 = 83
3. 부동산의식과 부동산감각 = 85
4. 부동산활동과 환경 = 88
5. 부동산활동의 속성 = 90
6. 부동산활동의 능률화 원리 = 93
4. 부동산현상
1. 부동산현상의 의의 = 94
2. 부동산현상의 분류 = 95
3. 지역적 부동산현상과 개별적 부동산현상 = 97
4. 부동산현상의 분석방법 = 98
핵심예상문제 = 101
제4강 부동산학의 3대 기초분야
1. 부동산법론
1. 부동산법론의 의의 = 125
2. 부동산법체계 = 125
3. 부동산권리 = 133
2. 부동산경제론
1. 부동산경제론의 의의 = 136
2. 부동산수요와 공급 = 137
3. 부동산시장 = 143
3. 부동산기술론
1. 부동산기술론의 의의 = 163
2. 부동산기술론의 주요내용 = 163
3. 부동산 상태조사 = 165
4. 적산 = 170
핵심예상문제 = 179
제5강 부동산 권리분석
1. 부동산 권리분석의 의의
1. 부동산 권리분석의 개념 = 197
2. 권리관계의 하자와 부동산범죄 = 197
3. 부동산 권리분석의 필요성 = 198
2. 부동산 권리분석의 분류
1. 부동산의 광·협에 따른 분류 = 199
2. 권리관계의 광·협에 따른 분류 = 199
3. 권리관계의 시점에 따른 분류 = 201
4. 권리분석주체에 따른 분류 = 202
5. 전문성에 의한 분류 = 202
6. 권리분석의 목적에 따른 분류 = 203
3. 부동산 권리분석활동의 성격
1. 권리관계를 취급하는 활동 = 203
2. 비권력적 행위 = 204
3. 사후확인행위 = 204
4. 주관성과 객관성 = 205
5. 과학성과 기술성 = 205
6. 사회성과 공공성 = 206
4. 부동산 권리분석의 기관
1. 권리분석 대행기관 = 206
2. 권리보험회사 = 206
5. 부동산 권리분석의 특별원칙과 권리분석의 과정
1. 부동산 권리분석의 특별원칙 = 207
2. 부동산 권리분석의 과정 = 209
6. 부동산 권리보험
1. 부동산 권리보험의 개념 = 213
2. 부동산 권리보험의 특징과 필요성 = 213
3. 부동산 권리보험의 이익 = 214
4. 부동산 권리보험에서 보호되는 위험과 보호되지 않는 위험 = 216
핵심예상문제 = 219
제6강 부동산 입지선정
1. 부동산 입지선정의 의의
1. 부동산 입지선정의 개념 = 221
2. 부동산 입지선정의 중요성 = 221
3. 입지론과 적지론 = 222
4. 입지경쟁 = 222
2. 도시공간구조
1. 도시지대와 생산요소의 대체성 = 223
2. 도시공간구조이론 = 224
3. 주거입지
1. 주거입지의 의의 = 226
2. 주거지의 입지조건 = 227
3. 주거비용과 교통비용의 상쇄관계를 이용한 주거입지선정 = 228
4. 상업입지
1. 상업입지의 의의 = 229
2. 상권 = 230
3. 상업입지이론 = 236
4. 상업지의 입지조건 = 239
5. 상업용 부동산의 입지선정단계 = 240
6. 대상부지의 평가 = 241
5. 공업입지
1. 공업입지의 의의 = 242
2. 공업입지이론 = 242
3. 공업입지유형의 분류 = 244
4. 공업지의 입지인자와 입지조건 = 247
5. 공장용 부동산의 입지선정단계 = 249
6. 농업입지
1. 농업입지이론 = 250
2. 농업지의 입지조건 = 251
핵심예상문제 = 253
제7강 부동산이용
1. 토지의 이용
1. 토지이용활동 = 263
2. 토지자원의 효율적 이용 = 264
3. 토지이용의 전환 = 269
4. 토지이용현상 = 270
2. 건물의 이용
1. 건물이용활동 = 272
2. 합리적 대지권과 대지사용권 = 273
3. 건물의 법률적 이용가치의 개선 = 273
4. 건폐율·용적률 및 택지와의 상린관계 = 274
핵심예상문제 = 275
제8강 부동산관리
1. 부동산관리의 의의
1. 부동산관리의 개념 = 279
2. 부동산관리의 필요성 = 279
3. 부동산관리의 내용 = 280
2. 부동산 관리업무의 역할과 부동산관리업의 과제
1. 부동산 관리업무의 역할 = 282
2. 부동산관리업의 과제 = 283
3. 관리대상 부동산
1. 관리대상 부동산의 개념 = 284
2. 관리대상 부동산의 분류 = 284
4. 부동산의 관리방식
1. 부동산의 관리체계 = 286
2. 부동산관리 3방식 = 286
3. 부동산 관리정보체계 = 288
4. 부동산 관리활동 = 289
5. 1차적 관리조치
1. 1차적 관리조치의 개념 = 291
2. 1차적 관리조치의 내용 = 292
6. 토지관리와 건물관리
1. 토지관리 = 293
2. 건물관리 = 294
핵심예상문제 = 299
제9강 부동산개발
1. 부동산개발의 의의
1. 부동산개발의 개념 = 305
2. 개발과 보전의 문제 = 306
3. 토지개발과 토지자본 = 307
4. 부동산개발의 주체 = 308
5. 부동산개발 및 개발방식의 유형 = 309
2. 부동산개발의 과정과 위험
1. 부동산개발의 과정 = 319
2. 부동산개발의 위험 = 323
3. 부동산개발의 타당성 분석
1. 타당성 분석의 의의 = 324
2. 시장분석과 경제성 분석 = 325
4. 부동산 개발사업의 평가
1. 권리변환 = 326
2. 개발이익 = 327
3. 계획성 = 328
핵심예상문제 = 331
제10강 부동산정책
1. 부동산정책의 의의
1. 부동산정책의 개념 = 337
2. 정부의 부동산시장개입의 필요성 = 337
3. 정부의 부동산시장 개입방법 = 338
2. 우리나라 부동산정책의 변천
1. 연대별 부동산정책 = 339
2. 국토종합개발정책 = 341
3. 토지정책
1. 토지정책의 목표 = 344
2. 토지공개념제도 = 344
3. 토지투기억제대책 = 346
4. 개발이익환수제도 = 347
5. 토지이용규제 = 350
6. 국가지리정보체계 = 353
4. 주택정책
1. 주택정책의 목표 = 356
2. 주택정책의 유형 = 356
3. 주택정책의 과제 = 357
4. 분양가 규제와 자율화 = 357
5. 임대주택정책 = 358
6. 불량주택정책 = 360
핵심예상문제 = 3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