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가
· ISBN : 9788955751772
· 쪽수 : 112쪽
· 출판일 : 2014-10-23
책 소개
목차
【작품 목록】
Field 들
Wild field 황야
From 존재로부터
Relationship 상존의 관계
From today 1987 오늘로부터 1897
The times are hurled 던져진 시간
Review 960404 논평 960404
Field-good place 축복의 땅
The Route 통로
Moon 9ea 아홉 개의 달
Blessing field 축복의 땅
New_Jersey 뉴저지
Memory in field 들의 기억
Digiscape 2012 디지털풍경 2012
Diverse memory 다른 기억
Draw a map of field 지형도
For the Duet of Deconstruction and Incommensurability _ Kwang-rae Lee . 004
해체와 불가공약성의 이중주를 위하여 _ 이광래
In pieces of life, I listen to the whispers of numerous beings _ Myung-shik Cho . 044
삶의 한 틈에서 나에게 다가오는 수많은 존재의 속삭임들에 귀 기울여 본다 _ 조명식
Biography Myung-Shik Cho's Life . 103
조명식 작가연보
저자소개
책속에서
I seek for an image found in pieces of life or the feeling; the feeling which exists at a distance, which came from objects. From cracked cement walls I imagine deserts, performances, and also alchemy. These dreams of "Trips in daily life" are reflected in studies of techniques for print making and tests fo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ainting. For an artist cannot run away from frozen routines of daily life, I suppose being absorbed to objects which do not identify the artist could be a pleasant trip, too.
나는 일상의 틈에서 만난 이미지나 사물의 느낌에서 지시하는 좀 더 멀리 있는 어떤 느낌을 추구한다. 금 간 시멘트벽면의 낙서를 보다가 사막과 퍼포먼스 그리고 연금술을 상상한다. 이러한 일상여행의 꿈은 판화의 기법연구와 회화의 물리적 속성 등의 실험에 반영되기도 한다. 답답한 일상에서 멀리 벗어날 수 없는 고단한 작가의 처지에서 아무도 자신을 알아보지 못하는 사물 속으로의 몰입은 어쩌면 또 하나의 여행이 될 수도 있겠다 싶다.
Ever since, my artworks remind me of windows. It may be due to an imperative conception for communicating, of the cold workplace. The windows; which are placed between the interior and outside, and which serves as a tool for communicating, keys; which are used to open the doors, or even buttons; which are used to tighten or loosen-are popular guests in my artworks. I think that the hidden order of field and energy can be found only by an open heart. I believe that an artwork can link memories and experiences. Nan Ji Do, which I had lived from ten to twenty four, was literally a “trash heap”. But it have turned into a forest as the time went by. I face the deconstruction of prejudice against them. That even among the forest of the discarded exists the order of life and energy makes me dream of painting similar to the energy of life. The energy which have spread itself from autonomy to power to regenerate.
언제부턴가 내 그림에는 창문 느낌이 가득하다. 소통에 대한 강박인지 창 넓어 유난히 추운 작업실 탓인지 그러하다. 내부와 외부의 중간에 있으면서 서로를 소통하는 역할을 하는 창과 더불어 문을 따고 여는 열쇠나 옷을 여미는 단추 역시 무언가를 열고 닫는 매개체로 내 그림의 단골이다. 나는 열린 마음으로만 대지의 숨은 질서와 에너지를 느낄 수 있다는 생각을 한다. 나는 그림이 기억과 경험을 나누는 창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초등학교 3학년부터 대학 졸업할 때까지 살았던 난지도는 말 그대로 쓰레기 산이었다. 단지 시간이 지났을 뿐인데 그곳은 숲으로 변해갔다. 버려진 것에 대한 고정관념의 해체를 바라보게 된다. 버려진 것들의 숲에도 생명의 질서와 에너지가 숨 쉬고 있다는 경험은 자율성에서 자생력으로 관심이 확장되고 내재된 생명의 에너지를 닮은 회화를 꿈꾸게 한다.
- 조명식의 작업노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