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왜구, 그림자로 살다

왜구, 그림자로 살다

윤성익 (지은이)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9,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9,500원 -0% 2,500원
470원
11,5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7,8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7,600원 -10% 380원 6,460원 >

책 이미지

왜구, 그림자로 살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왜구, 그림자로 살다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아시아/극동아시아사
· ISBN : 9788955866636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1-05-27

책 소개

이 책은 왜구가 ‘나쁜 놈’이었는지 ‘좋은 놈’이었는지를 말하려는 것이 아니다. 그저 “왜구는 무엇이었는가?”라는 주제에 대해 과거와 현재를 아우르며 가능한 한 과거의 기록을 통해서 그들이 어떤 존재였는가를 생각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목차

프롤로그
왜구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전근대의 ‘해적’
‘왜’와 ‘구’-‘왜구’라는 말의 의미

1장 그림자의 서막, 왜구
1. 왜가 고려로 도적질을 하러 오다!
2. 충렬왕과 쿠빌라이가 말한 ‘왜구’
3. ‘왜구’의 시작
4. 왜구시대의 개막
5. 중국 대륙과 일본의 상황
6. 왜구는 왜 바다를 건넜을까?

2장 고려에 드리우는 그림자
1. 등경광의 복수
2. 더 격렬하고 더 잔인해진 왜구
3. 고려의 반격
4. 슈퍼히어로 ‘신궁 이성계’
5. 슈퍼빌런 ‘아지발도’의 정체

3장 그림자가 된 사람들
1. 미스터리 가득한 고려 말의 대규모 왜구
2. 대규모 왜구는 ‘고려인’이 주체?
3. 고려 말의 왜구에는 고려인·중국인도 섞여 있었을까?

4장 옅어진 그림자와 조선
1. 조선의 건국과 왜구 진압을 위한 노력
2. 왜구의 변신
3. 왜구의 ‘최대’ 소굴-쓰시마섬
4. 리멤버! 1419!
5. 태종이 쓰시마섬을 정벌한 속내는 무엇이었나?

5장 잠잠해진 왜구의 여러 가지 사정들
1. 조선인이 바라본 왜구 -『삼강행실도』와 『속삼강행실도』의 왜구
2. 왜구가 서쪽(중국)으로 간 까닭은?-전기왜구의 종막
3. ‘배고프다던 왜구’는 정말 먹을 게 없었을까?
4. 왜구가 아니었던 ‘왜구’-왜구로 몰린 표류자와 항해자

6장 16세기의 후기왜구
1. ‘왜구’가 된 사람들-16세기에 주력이 된 중국인 왜구
2. 왕직, 왜구의 왕이 되다
3. ‘왜구(일본인 해적)’ 없는 ‘왜구(일본의 해적)’에 의한 ‘을묘왜변’
4. 무조건 싹 잡아서 죽여라!

에필로그
왜구의 최대 특징은 ‘다양성’
왜구는 무엇이었나?

저자소개

윤성익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이후 동 대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국내의 여러 대학에서 강의 및 연구 활동을 하다가 일본 도쿄대학교에서 외국인 연구원으로 잠시 머물렀고, 현재는 경희대학교에서 강의 중이다. 주 연구 분야는 왜구를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관계 사이며, 최근에는 근대 동아시아의 번역 문제나 역사 인식과 관련한 주제에도 관심을 쏟고 있다. 논저로 「21세기 동아시아 국민국가 속에서의 왜구상(倭寇像)」, 「‘후기왜구(後期倭寇)’로서의 을묘왜변(乙卯倭變)」, 「설화를 통해 본 ‘제주도의 왜구’」, 『명대 왜구의 연구』, 『동양문명의 역사』(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윤성익의 다른 책 >

책속에서

‘역사적 존재’에 대한 이미지는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그때그때의 여러 사정에 의해 변형되고 가공되어 온 결과이다. ‘왜구’는 지금으로부터 수백 년 전의 존재이다. 그렇다면 현재 우리가 갖고 있는 왜구의 이미지는 과연 어떨까? 과거 역사에서의 실제 왜구에 어느 정도나 가까운 것일까? 혹은 동떨어진 것일까? _프롤로그


왜의 도적질에 대해 고려의 조정에서는 그다지 심각하게 생각을 했던 것 같지는 않다. 2년 뒤인 1225년 4월에 왜선 2척이 다시 경상도 연해 지역을 도적질했는데, 『고려사』에 의하면 군대를 동원해 그들을 모두 사로잡았다. 그리고 그런 일이 있었던 며칠 뒤 고려의 왕(고종)은 유유낙낙하게 무사들이 벌이는 격구를 관람했다. _1장 그림자의 서막, 왜구


우왕 때에는 왜구 금지를 요구하는 사절이 모두 5번 일본으로 향해 일본의 바쿠후나 지역의 유력자들과 교섭을 가졌다. 잡혀갔던 고려인들이 송환되어 오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지만, 결과적으로 외교적 교섭을 통해 왜구를 진정시킬 수는 없었다. 왜구를 이루던 사람들은 대부분 고려가 교섭했던 세력들의 통제 밖에 있던 사람들이었기 때문이다. _2장 고려에 드리우는 그림자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58675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