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일반
· ISBN : 9788955867190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2-06-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1장 하버마스의 사회 철학과 『의사소통 행위 이론』
2장 베버의 서구 근대 해석: 목적 합리성이 지배하는 자본주의의 어두운 미래
3장 베버의 합리적 행위자 모델 비판과 대안: 고독한 주체에서 소통하는 주체로
4장 서구적 합리성의 파국적 결과와 대안의 문제: 비극적 전망을 넘어
5장 미드와 뒤르켐 사회학의 해석: 의사소통 행위가 만들어 내는 도덕
6장 근대 사회의 두 원리: 체계와 생활 세계
7장 파슨스의 질서 이론 비판과 대안: 사회 통합의 진정한 무대로서 생활 세계
8장 의사소통 행위와 민주주의 실천: 새로운 사회 운동의 조명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1장 하버마스의 사회 철학과 『의사소통 행위 이론』
하버마스는 자본주의 경제와 국가 행정으로 대표되는 체계 영역 내 기술 합리성 원리가 생활 세계로 확장해 일상적 삶의 소통적 토대를 침식하고 있는 현상 속에 문제의 근원적 원인이 놓여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버마스의 관점에 서면, 사람들은 자연, 도시 환경, 사회적 관계가 파괴되는 것에 불만을 가지고 있고 그에 대한 저항을 이야기하지만, 문제의 본질을 찾지 못하고 있다. 하버마스에 따르면, 답은 자신이 말하는 “의사소통 합리성”의 회복 속에 있다.
2장 베버의 서구 근대 해석: 목적 합리성이 지배하는 자본주의의 어두운 미래
베버는 이러한 범주로 구현된 서구의 합리주의를 가시적이고 다양한 현상 속에서만 관찰하려 하지 않는다. 그는 그러한 합리주의 현상들을 가로지르는 궁극의 원리를 찾아간다. 그것은 베버가 자신의 사회학에서 사회적 행위를 전통적 행위, 감정적 행위, 합리적 행위(목적 합리적 행위, 가치 합리적 행위)로 구분한 것에서 발견할 수 있다. 앞의 두 행위가 비합리적 행위이기 때문에 서구의 합리주의는 결국 목적 합리적 행위와 가치 합리적 행위 속에서 그 원리를 파악할 수 있다.
3장 베버의 합리적 행위자 모델 비판과 대안: 고독한 주체에서 소통하는 주체로
이처럼 하버마스는 형식적 실증성과 절차적 규범성의 교차 지점에서 법의 근대적 원리를 사유함으로써 근대를 합리성의 두 차원으로 이해해야 할 필요성을 역설하는 것처럼 보인다. 근대는, 베버가 말하는 것처럼 법의 실증성과 도덕성이 나뉘면서 정당성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그 두 차원의 합리성이 결합하는 방식 위에서 확보되는 것이다. 이것은 베버 사상의 한계이기도 하지만 서구의 근대정신에 대한 문명사적 해석을 시도한 초기 비판 이론의 한계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