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91169192705
· 쪽수 : 314쪽
· 출판일 : 2024-12-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제1장
프롤로그: 2018년 개헌 논쟁의 의미 찾기
1. 2018년 개헌 논쟁과 헌법적 언어의 갈등
2. 개헌의 역사와 2018년 개헌 논의
3. 집단상징으로서 헌법의 언어
제2장
정치적 근대에 대한 새로운 상상: 성스러운 이념의 세계로서 근대
1. 이념국가, 근대국가의 본성
2. 구조로서 언어: 정치적 언어에의 적용
3. ‘성과 속’, 종교에서 정치로
제3장
근대국가 한국과 정치적 주체의 탄생: 인민에서 국민으로
1. 정치적 근대와 네이션(nation)의 형성
2. 한반도 분단과 적대적 두 이념체제의 성립
3. 국민, 대한민국의 헌법적 주체가 되다
제4장
내전과 전쟁이 잉태한 국민: ‘빨갱이에 맞서 자유민주를 지킬 한백성’
1. 제주 4·3과 여순 10·19: ‘인민’의 부활
2. 국민, 통합의 덕성체로서 일민(一民)
3. 반공이념의 구현체로서 국민
4. 자유와 민주, 반공하는 일민의 이념적 유토피아
제5장
박정희 체제와 국민의 탄생: ‘민족을 위해 일하는 반공 근로자’
1. 반공주의 국민의 국가적 호명
2. 민족중흥의 희생체로서 국민
3. 국민, 근대화를 위해 부지런히 일하는 근로자
4. 박정희 체제, 자유민주적 질서의 탄생과 헌법적 신성화
제6장
반정부운동, 이승만·박정희 체제의 신성한 언어에 대한 도전
1. 민주화운동과 자유민주주의: 공허한 형식에서 실질적 이념을 향해
2. 노동운동의 전개: 근로자가 아니라 노동자로
3. 통일운동과 국민 개념의 변화: 반공하는 국민에서 통일하는 국민으로
제7장
진보권력의 탄생과 남남갈등: 보수와 자유민주주의 위기 인식
1. 진보권력의 집권과 재집권 그리고 뉴라이트의 등장
2. 남남갈등과 상징투쟁: ‘자유민주주의’의 신성한 공간을 둘러싼 싸움
제8장
보수와 진보의 권력교체와 이념대결의 재연
1. 보수의 연속 집권과 ‘건국절’의 정치언어학
2. 진보의 재집권과 보수: 자유민주주의의 신성화 투쟁
제9장
에필로그: 개헌의 정치언어학, 실천적 지평을 향해
1. 한국 보수의 정치문법과 담론의 질서
2.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이라는 헌법적 테제에 대해
3. 한국의 정치언어, 담론에서 담화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