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1년 출생, 1961년 김수근 건축연구소를 개소했다. 1966년 월간 종합예술지 「공간」창간, 1971년 공간 연구소를 개소한 후 활발한 건축활동을 전개했다. 세계건축가연맹(U.I.A) 이사, 한국 건축가협회(K.I.A) 회장, 국민대학교 조형대학장, 미국 건축가협회 명예회원(Hon.FAIA)를 지내고 1986년 타계했다.
생전에 국민 포장, 범태평양 건축상, 보관문화회장, 이태리공화국 문화공로훈장, 철탑산업훈장, 은탑산업훈장 등을 수상받았다. 주요 건축 작품으로 워커힐 힐탑바(1961), 자유센터(1963), 한국과학기술연구소본관(1967), 부여박물관(1967), 오사카엑스포한국관(1970), 공간사옥(1971), 서울대 환경예술관(1974), 잠실 올림픽주경기장(1977), 마산양덕성당(1978), 경동교회(1980), 춘천어린이회관(1980), 주카타르한국대사관(1982), 국립과학관(1984), 주미한국대사관저(1985), 서울법원종합청사(1986) 등이 있다.
펼치기
장세양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7년 부산시 서구 완월동1가에서 태어났으며, 1996년 9월 공간 사무실에서 과로로 타계했다. 그는 1973년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1977년 김수근의 공간연구소에 입문하면서 본격적인 건축수업을 시작하여 20여 년의 시간을 공간에서 머물렀다. 공간과 함께했던 시간 중 전반의 10년은 김수근 선생의 문하에서 있었고, 이후 10년은 김수근 선생 사후의 공간그룹을 이끌며 1996년까지 40여 개의 작품과 120여 편의 글과 작품 관련 기사를 남겼다. 김수근 문하에서 설계를 담당했던 국립진주박물관을 비롯하여 국립대구박물관, 국립김해박물관과 경기도박물관 등 4개의 박물관과 사후에 준공된 공간신사옥과 부산아시안게임 주경기장은 장세양의 대표적 작품들이다.
펼치기
조명환 (사진)
정보 더보기
사진가. 1965년 부산에서 태어나 부산 배정고등학교, 울산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를 졸업했다. 청암건축사진 연구소, 이상건축 등에서 일했고 1995년부터는 프리랜서로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