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도시 빌딩 블록 디자인의 기초

도시 빌딩 블록 디자인의 기초

loadbearing System (지은이), 김도년, 김지엽, 손세형, 이중원, 정동섭 (옮긴이)
스페이스타임(시공문화사)
9,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9,020원 -5% 2,500원
280원
11,2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도시 빌딩 블록 디자인의 기초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도시 빌딩 블록 디자인의 기초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론/비평/역사
· ISBN : 9788955922134
· 쪽수 : 72쪽
· 출판일 : 2012-01-27

책 소개

본서는 학생들에게 도시 디자인의 기초에 대한 실용적이고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시의 핵심적 구조와 디자인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 책에서는 전형적인 도시의 빌딩 블록과 그 특성에 관해 언급하고 있다.

목차

0. 서론: 개별 건물에서 빌딩 블록까지

1. 거리
1.1 형태와 공간 구조
1.2 도시공간의 형성
1.3 기능, 방향 및 접근성
1.4 역사적 사례

2. 도시블록
2.1 형태와 공간구조
2.2 도시공간의 형
2.3 기능, 방향 및 접근성
2.4 역사적 사례

3. 중정
3.1 형태와 공간구조
3.2 도시공간의 형성
3.3 기능, 방향 및 접근성
3.4 역사적 사례

4. 중정
4.1 형태와 공간구조
4.2 도시공간의 형성
4.3 기능, 방향 및 접근성
4.4 역사적 사례

5. 리본
5.1 형태와 공간구조
5.2 도시공간의 형성
5.3 기능, 방향 및 접근성
5.4 역사적 사례

6. 솔리테어
6.1 형태와 공간구조
6.2 도시공간의 형성
6.3 기능, 방향 및 접근성
6.4 역사적 사례

7. 그룹
7.1 형태와 공간구조
7.2 도시공간의 형성
7.3 기능, 방향 및 접근성
7.4 역사적 사례

8. 셰드
8.1 형태와 공간구조
8.2 도시공간의 형성
8.3 기능, 방향 및 접근성
8.4 역사적 사례

9. 결론: 도시의 블록 단위에서 도시 구조까지
부록
참고문헌

저자소개

loadbearing System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김도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에서 도시설계를 가르치며 스마트 그린 시티 랩Smart Green City Lab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 UN 지속가능개발목표 선도거점대학의 대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용산 도심재생 계획을 총괄하고 있다. 국가 스마트시티위원회 위원이며 대통령직속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과 녹색성장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상암 디지털미디어시티DMC, 2012 여수 세계엑스포 마스터 플랜과 국가 과학비즈니스벨트IBS 사업의 기획설계 등 다수의 도시설계 프로젝트의 마스터 플래너로서 주도적인 참여를 해왔다. 이러한 공로로 근정포장을 받았다.
펼치기
김지엽 (옮긴이)    정보 더보기
법으로 도시공간을 해석하는 우리나라에서 매우 드문 건축 및 도시 전문가이다. 성균관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도시설계를 전공했으며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와 서울연구원에서 도시설계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해군 시설장교로 군복무 후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에서 도시 계획으로 석사 학위, 페이스대학교 로스쿨에서 법무 박사(Juris Doctor) 학위를 받았으며, 뉴욕주와 뉴저지주 변호사 자격을 취득했다. 2009년부터 아주대학교 건축학과에 재직하다가 2019년 9월부터 성균관대학교 건축학과에서 교수로 일하고 있다. 주로 도시계획과 도시설계, 법·제도와 관련한 여러 논문과 공동 저서를 펴냈으며, 도시계획 및 설계 프로젝트에도 꾸준히 참여하고 있다. 서울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위원, 평택고덕신 도시와 김포신도시 등 신도시 개발을 위한 총괄계획가(Master Planner), 화성진안공공주택지구의 도시개념계획가(Urban Concept Planner), 북촌 도시재생사업 총괄코디네이터 등 공공 부문에서도 활발하게 활동 중이다.
펼치기
손세형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AA스쿨(영), 킹스턴대(영) 성균관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영국왕립건축사.
펼치기
이중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 건축학과 정교수이며 학과장(2023~2026)을 맡고 있다. CADRO(Contemporary Architecture Design & Research Office) LAB 대표이자 ism-architects.com 공동 대표이다. 수원 일월호수(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와 성남시 판교, 서울시 도곡동, 서울 문묘(성균관대 인문사회캠퍼스)를 주로 오가며 1990~2040년 건축과 도시에 대해 고민하는 건축가이다. 특히 『건축으로 본 뉴욕 이야기』를 쓰면서 던졌던 주요 질문 “맨해튼에 있는 200개가 넘는 스트리트 중에서 유독 14번, 23번, 34번, 42번, 59번 스트리트가 번영한 이유는 무엇일까?”를 시작으로, “어떠한 길을 번영하게 만든 조건은 무엇이고, 이때 건축의 역할은 무엇일까?”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고민과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번영의 조건으로 건축이 도시에 나타나기도 하지만, 훌륭한 건축이 길의 번영을 촉진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보스턴, 뉴욕, 시카고에 이은 세계 건축 도시 기행 네 번째인 이 책은 시애틀에서 이와 동일한 질문 아래 씨름한 흔적을 담아냈다.
펼치기
정동섭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서울대·서울대 호서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도시설계가.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