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간호학 > 기초 간호학
· ISBN : 9788955966855
· 쪽수 : 624쪽
· 출판일 : 2014-05-01
책 소개
목차
서문
서문에 대하여
기본 간호 기술에 대한 생각
PART 1 간호 행위에 공통되는 기술
1장 커뮤니케이션 (이지우에 사치코)
1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간호의 의의
2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기초지식
A : 커뮤니케이션의 요소와 방법 / B : 커뮤니케이션의 흐름 / C : 커뮤니케이션의 필요조건
3 커뮤니케이션 실무
A : 말투(말하는 방법, 언어) / B : 이야기 듣는 법과 대응 / C : 커뮤니케이션 실습으로서 롤플레잉 / D : 기기를 사용한 커뮤니케이션
2장 정보 수집과 관찰, 기록, 보고 (이노우에 도모코)
1 정보 수집과 관찰, 기록, 보고에 관한 간호의 의의
2 정보 수집과 관찰, 기록 보고에 관한 기초지식
A : 정보의 의미와 정보원 / B : 진료 정보와 개인 정보의 보호 / C : 정보 수집과 물리적 평가 / D : 정보 수집의 내용 / E : 기록의 양식 / F : 보고의 목적과 종류
3 정보 수집과 관찰, 기록, 보고의 실제
A : 정보 수집·관찰 / B : 기록
3장 바이털 사인 Vital Signs (이노우에 도모코)
1 바이털 사인에 관한 간호의 의의
2 바이털 사인에 관한 기초지식
A : 맥박 / B : 체온 / C : 혈압 / D : 호흡 / E : 의식 수준
3 바이털 사인 관찰의 실제
A : 맥박·심장의 관찰 / B : 체온의 관찰 / C : 혈압의 관찰 / D : 호흡의 관찰 /
E : 의식 수준의 관찰
4장 신체 각 부위의 측정 (아소 요코)
1 신체 각 부위의 측정에 관한 간호의 의의
2 신체 각 부위의 측정에 관한 기초지식
A : 신장 / B : 앉은키 / C : 체중 / D : 가슴둘레 / E : 복부둘레 / F : 시력 / G : 청력 /
H : 피하지방두께(피지두께) / I : 악력 / J : 폐활량
3 신체 각 부위 측정의 실제
A : 신장 측정 / B : 앉은키 측정 / C : 체중 측정 / D : 가슴둘레 측정 / E : 복부둘레 측정 /
F : 시력 측정 / G : 청력 측정 / H : 피하지방두께(피지두께)의 측정 / I : 악력 측정 /
J : 폐활량 측정
5장 자세·동작 (아소 요코)
1 자세·동작에 관한 간호의 의의
2 자세·동작에 관한 기초지식
A : 보디 메커닉스 / B : 키네스테틱
3 자세·동작에 대한 지원
A : 이동 동작의 지원 / B : 체위 변환의 지원 / C : 이동 동작·체위 변환을 활용한 지원
6장 안전·안락 (아소 요코)
1 안전·안락에 관한 간호의 의의
2 안전·안락에 관한 기초지식
A : 안전을 저해하는 요인 / B : 안락을 저해하는 요인
3 안전·안락의 지원
A : 안전에 대한 대책 / B : 안락에 대한 대책 / C : 제품을 이용하여 안락한 자세를 유지하는 방법
PART 2 일상생활에 대한 지원 기술
1장 일상생활 리듬 (이지우에 사치코)
1 일상생활 리듬에 관한 간호의 의의
2 일상생활 리듬에 관한 기초지식
A : 생활 리듬 / B : 생활 리듬으로서의 활동과 운동 / C : 생활 리듬으로서의 피로와 휴식·수면
D : 일상생활 활동(동작)
3 일상생활 리듬의 지원
A : 수면에 대한 지원 / B : 일상생활 활동(동작)의 지원
2장 생활 환경 (이지우에 사치코)
1 생활 환경에 관한 간호의 의의
2 생활 환경에 관한 기초지식
A : 병실 내 환경의 구성 요소 / B : 병동과 병상의 종류
3 생활 환경의 지원
A : 병실 내의 환경 / B : 병상 / C : 병상을 만드는 방법과 정비 / D : 병실의 정비
3장 의생활 (이지우에 사치코)
1 의생활에 관한 간호의 의의
2 의생활에 관한 기초지식
A : 의류를 착용하는 목적 / B : 요양생활을 배려한 환자복과 관리 / C : 신발류
3 의생활에 대한 지원-환자복 교체
A : 환자복 교체의 목적 / B : 환자복 교체 시 일반적인 유의사항 / C : 실시방법
4장 신체의 청결 (아소 요코)
1 신체의 청결에 관한 간호의 의의
2 신체의 청결에 관한 기초지식
A : 피부의 구조와 기능 / B : 모발의 구조와 기능 / C : 클렌저의 작용
3 신체의 청결에 대한 지원
A : 두부 청결 / B : 피부 청결 / C : 점막 기타 청결
5장 영양과 식사 (이노우에 도모코)
1 영양과 식사에 관한 간호의 의의
2 영양과 식사에 관한 기초지식
A : 음식 섭취 기준, 식품군, 식사 밸런스 가이드 / B : 에너지와 주요 영양소의 작용 /
C : 섭식·연하와 소화·흡수 / D : 음식의 맛 / E : 입원 환자의 식사
3 영양과 식사에 관한 지원
6장 배설 (아소 요코)
1 배설에 관한 간호의 의의
2 배설에 관한 기초지식
A : 배뇨의 생리 / B : 배변의 생리 / C : 사용기구와 시설 / D : 기저귀 / E : 대상과 지원
3 배설의 보조
A : 변기를 사용할 때 / B : 소변용기를 사용할 때 / C : 기저귀를 사용할 때
PART 3 진료 기술
1장 의료에 관한 공통 기초 기술 (아소 요코 / 이지우에 사치코)
1 감염 예방 (아소 요코)
A : 감염 예방에 관한 간호의 의의 / B : 감염 예방에 관한 기초지식
2 살균과 소독 (아소 요코)
A : 살균과 소독에 관한 간호의 의의 / B : 살균과 소독에 관한 기초지식 /
C : 감염 예방을 위한 살균·소독 기법
3 의료기기 (아소 요코)
A : 의료기기에 관한 간호의 의의 / B : 의료기기에 관한 기초지식 / C : 의료기기 사용 시의 지원
4 진찰 (아소 요코)
A : 진찰에 관한 간호의 의의 / B : 진찰에 관한 기초지식 / C : 진찰·검사의 보조와 지원
5 붕대와 붕대 감는 법 (이지우에 사치코)
A : 붕대와 붕대 감는 법에 관한 간호의 의의 / B : 붕대에 관한 기초지식 / C : 붕대 이용의 실제
6 찜질 (아소 요코)
A : 찜질에 관한 간호의 의의 / B : 찜질에 관한 기초지식 / C : 찜질의 지원
2장 약물요법 (이노우에 도모코)
1 약물 치료에 관한 간호의 의의
2 약물 치료에 관한 기초지식
A : 약물 관리와 법률 / B : 약물의 적용방법과 특징 / C : 약물의 적용방법 / D : 약물 치료의 안전관리 / E : 주사기의 종류와 구조 / F : 주사에 적합한 부위
3 약물 치료에 대한 지원
A : 주사 / B : 내복 / C : 기타
3장 산소 요법 (아소 요코)
1 산소 요법에 관한 간호의 의의
2 산소 요법에 관한 기초지식
A : 산소 공급 설비와 용기 / B : 흡입 기구
3 산소 요법(산소)의 지원
4장 영양 요법 (이노우에 도모코)
1 영양 요법에 관한 간호의 의의
2 영양 요법에 관한 기초지식
A : 적용방법의 종류와 선택 / B : 영양제의 종류와 특징 /
C : 경장 영양법에 사용되는 경장 영양 카테터와 경장 영양 주입 세트
3 영양 요법에 대한 지원
A : 경비경관 영양법 / B : 위루·장루
5장 도뇨 (아소 요코)
1 도뇨에 관한 간호의 의의
2 도뇨에 관한 기초지식
3 도뇨의 지원
A : 일시적 도뇨 / B : 지속적인 도뇨(유치 카테터법, retention catheter)
6장 관장 (아소 요코)
1 관장에 관한 간호의 의의
2 관장에 관한 기초지식
3 관장의 지원
7장 흡인 (이노우에 도모코)
1 흡인에 관한 간호의 의의
2 흡인에 관한 기초지식
A : 흡인 장치 / B : 기도용 흡인 카테터
3 일시적 흡인에 따른 호흡 지원
PART 4 기본 간호 기술을 종합한 간호 행위
1장 간호 과정(너싱 프로세스) (아소 요코)
1 간호 과정에 관한 간호의 의의
2 간호 과정에 관한 기초지식
A : 정보와 평가 / B : 간호 진단 / C : 계획의 수립 / D : 실시(실천) / E : 평가
3 간호 과정의 실제(계획의 수립까지)
A : 정보와 평가(문제의 명확화) / B : 간호 진단 / C : 계획의 수립
2장 상담·지도 기능 (이노우에 도모코 / 이지우에 사치코)
1 상담·지도 기능에 관한 간호의 의의
2 상담·지도 기능에 관한 기초지식
A : 간호 현장에서의 상담·지도 기능 / B : 간호와 정보에 대한 동의
3 상담·지도 기능의 실제
A : 간호 현장에서의 상담·지도 기능 / B : 면접 기술
3장 욕창의 예방 (아소 요코)
1 욕창에 관한 간호의 의의
2 욕창에 관한 기초지식
A : 욕창의 요인 / B : 증상 / C : 욕창에 걸리기 쉬운 환자와 예방 원칙
3 욕창 예방 지원
4 치료 시 지원
4장 위독·임종 시의 간호 (이노우에 도모코)
1 위독·임종 시 간호의 의의
2 위독·임종 시의 기초지식
A : 임종 시 사망의 판단 / B : 환자의 상태
3 위독·임종 시의 지원
색인